$\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동향연구
The Review of Studies 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y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3 no.1, 2020년, pp.41 - 50  

김세훈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  강휘진 (서강대학교 ICT융합 재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문건설 업체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구축·운용은 안전시스템 도입과 운영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건설 안전 분야 기술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열악한 환경에서 안전시스템 구축 및 인증 취득 및 정착으로의 선순환 체계 구축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관련 문헌을 조사·검토하고 실태 등 다양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하여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인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전문건설 업체와 인증 취득 후 사후심사 및 연장심사를 이행 중인 전문건설업체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roductio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have a problem incurred in the cost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the safety system.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system to build a safety syste...

Keyword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개선방향을 연구하는 데 있다
  • 다만 현장의 실질적인 작업 운용 주체인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의 도입 동기와 운용의 장점, 개선방안, 구축 방법론, 운영실태, 실효성제고, 실행력 향상, 문제점 등을 다루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현재까지 발간된 문헌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수집 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분류 기준에 따라 정리하였다 
  • 본 연구는 열악한 전문건설업체의 안전보건경영활동 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내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동향들을 관련 문헌을 통해 조사하고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 ? 정리하면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가설 설정

  • 위험성 평가 활동을 기반으로 기준과 절차에 의한 자율적인 안전 활동을 지속적으로 운용하는 접근이다. 셋째, 작업자 중심의 안전 관리 이다. 작업자 중심의 안전 인식과 안전 행동인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 안전제일의 의식과 신념, 태도, 습관, 공유 및 배려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 개념의 안전문화(Safety Culture) 조성이다(Lee,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란 무엇인가?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란 최고 경영자가 경영방침에 안전보건정책을 반영하고 이에 대한 실행 계획을 수립, 실행및 운영, 점검 및 시정 조치하며 그 결과를 최고 경영자가 검토하는(Plan-Do-Check-Action) 체계이다.
국내 건설 산업의 특징은 무엇인가? 건설 작업자들이 직면하는 위험도 매우 높다(Song, 2014). 국내 건설 산업의 작업환경 및 조건은 글로벌화, 초고층화, 첨단화로 대형, 복잡해 지고 최근 건설경기 악화로 최저가 입찰제, 노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들의 유입으로 안전관리는 더욱 취약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건설업 최고경영자 및 사업주가 안전에 대해 가지는 태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전문건설업 최고경영자 및 사업주는 안전을 최우선 중요 가치로 생각한다며 안전제일을 입버릇처럼 말하곤 한다. 그러나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인증 취득 시 인증 취득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 발생과 건설 안전 분야 기술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환경과 공사금액이나 품질, 공기 등의 문제로 안전을 도외시하는 경우가 많다. 중소기업의 현실과 맞지 않고 매년 신규 인증 업체 증가 대비 안전보건공단 담당 인력의 정체로 전문건설 업체의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취득으로의 진입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H. K., Seo, H. C., Kim, J. H., and Kim, J. J. (2010).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Kosha18001 System Introduction Enlargement of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Industry. Society of Visual Engineering Estimate Conference, 10(2): 145-148. 

  2. Jang, B. J. (2005).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Performance of a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a Construction Company. Degree Thesis (Dr.).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138p. 

  3. Kim, M. Y. and Kang, K. S. (2017). Safety Culture and Suggestions for the KOSHA-18001 Implementation.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Association Spring Conference. pp.23-31. 

  4. Korea Mech. Const. Contractors Association (2012). KOSHA18001, OHSAS 18001 - Domestic Accredit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s in Construction. KMCCA Journal. 262: 53-57. 

  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9).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18001 Regulations for Certification of KOSHA. 2019.05.02. No.871. 

  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9). The Standards for Certific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KOSHA-MS.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7. Lee, C. H. (2015). Safety Management Cafe. Korean Academic Information. 

  8. Lee, J. S. (2015). A Study on Usability Improvement of KOSHA 18001 in Construction Industry. Degree Thesis (Dr.). Inche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149p. 

  9. Lee, J. S., Lee, D. Y., and Oh, T. G. (2015). A Study on Usability Improvement of KOSHA 18001 Util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Evaluat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afety. 30(4): 135-141 

  10. Lee, J. S., Lee, M. G., Lee, D. Y., and Oh, T. G.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of KOSHA 18001 in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afety. 30(3): 80-84. 

  11. Oh, B. H., Choi, B. J., Han, M. H., Lim, H. T., and Cho, T. G. (2017). Accident Prevention Effect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Management System (KOSHA 18001)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isaster Safety Paper. 1(1): 19-26. 

  12. Park, D. J., Kang, B. H., and Kim, H. K. (2015). OHSAS Practices Analysis : A Case Study using Audit Results.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32(2): 79-89. 

  13. Park, H. C.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mplementation and Enhancement of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Management System. Degree Thesis (Dr.). Inche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171p. 

  14. Park, H. C. (2016). Impact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s. Degree Thesis (Dr.).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186p. 

  15. Park, K. T. and Sohn, K. S. (2004). A Study on the Application Instance of KOSHA 18001 to Construction Fi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19(4): 86-93. 

  16. Seo, Y. H., Woo, I. S., Jang, C., and Hwang, M. H. (2015).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Journal of the Korea Risk Management Society. 26(3): 1-27. 

  17. Shim, H. S. (2019). Impact of Human Factors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Construction. Degree Thesis (Dr.).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145p. 

  18. Sohn, I. M. (2012). Strategie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WOT/AHP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7): 2895-2902. 

  19. Sohn, I. M. and Kwak, H. Y. (2011). The Review of Studies on the Occupational Healths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Journal. 13(2): 19-30. 

  20. Song, C. S. (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Specialty Construction. Degree Thesis (Dr.).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122p. 

  21. Song, C. S. and Kang, K. S.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Professional Construction Companies. November at the Korea Society of Safety and Management Science. pp.341-366. 

  22. Song, K. I. and Choi, B. K. (2019). Characteristics and Case Study of ISO 45001:2018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24(1): 19-24.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