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1인당 주거면적 추정에 관한 연구 - 서울의 단독 및 다세대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stimating Housing Area per capita using Public Big Data - Focusing on Detached houses and Flats in Seoul -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1, 2020년, pp.51 - 67  

임재빈 (LH 토지주택연구원) ,  이상훈 (LH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축물대장, 주민등록대장 등 공공빅데이터의 활용성을 탐구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진 맨큐-와일(MW)모형을 활용해 1인당 주거면적 추정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기조사 방식에 버금가는 모형을 수립할 수 있고, 기존 정기조사 방식으로는 어려웠던 기초자치단체별 모형수립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빅데이터로부터 일반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샘플을 판별하는 과정을 설계하여, 10세 연령대별 1인당 주거면적을 추정하고, 인구주택총조사, 주거실태조사 등 기존 정기조사 자료를 활용한 결과와 비교해 일치시킨 후,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1인당 주거면적을 도출하였다. 공공빅데이터는 지식영역을 확장시켜주는 장점이 있지만 본래의 작성의도와 다른 목적으로 생성된 자료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근본적 한계는 존재한다. 또 개인정보 접근이라는 어려운 과정은 분석을 보다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부담을 주고, 비식별화를 거친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연구설계가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 향후 공공빅데이터가 기존 통계조사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도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 등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housing area per capita for verifying if the public Big Data, of the building ledger and resident registration ledger, can be used as well as the National Census and Housing Survey. The Mankiw and Weil (MW) model was constructed by extracting samples of g...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공 받은 공공빅데이터 자료가 동호가 분리되지 않고 도로명주소 단위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대규모 아파트단지는 처음부터 제외하고 분석해야 했으며, 연립주택도 단지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일괄 제외해야 했다. 그럼에도 한정된 정보라는 불리함을 역이용해 간결하고 안정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또, 비식별화 등은 연구자 개인의 한계로, 자료접근이 자유로운 기관의 경우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맨큐-와일 모형을 활용하여 1인당 주거면적을 추정함에 있어 건축물대장과 주민등록대장을 연계한 공공빅데이터가 기존 정기조사(인구주택총조사, 주거실태조사)에 못지않은 수준에 이르는지, 또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을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건축물대장과 주민등록대장을 연계하여 전수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일반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샘플을 일괄판별 추출하는 조건을 설정하여 MW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빅데이터인 건축물대장과 주민등록대장을 활용하여 MW모형 구축 일괄처리화 과정을 수립하고, 그 결과가 기존의 정기조사(인구주택총조사,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한 모형과 차별화된 효용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물론 전문적인 통계 보정이 이뤄지는 정기 조사보다 높은 신뢰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 본 연구의 차별성은, 첫째로 이제까지 인구주택총조사, 주거실태조사와 같은 주기적인 전문 조사에 의존해 수립되어온 MW모형에 공공빅데이터를 접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국토개발연구원(1997),김경환(1999)이 MW모형에 한국가구패널을 사용한 이후, 주거실태조사(이창무·박지영, 2009; 김진유·박지윤, 2017), 가계동향조사(신미림·남진, 2011), 한국노동패널(황종규, 2016; 정보선 외, 2018), 가구소비실태조사(정의철·조성진, 2005; 조성진·조주현,2013), 인구주택총조사(전성애·형남원, 2012) 등의 자료를 활용해 왔다.
  • MW모형 수립을 위해 주소지별 연령별 가구원 수,주거면적의 관계를 분석한다. 주민등록대장과 건축물대장의 주소 체계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을 상호 연동하면 MW모형 구축에 필요한 연령별 가구원 수와 전체 주택면적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착안점이다. 행정안전부가 관리하는 주민등록대장은 세대(가구)별 주소, 세대원의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연령) 세대원 간의 관계 등을 기록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맨큐-와일(Mankiw-Weil) 모형이란 무엇인가? 맨큐-와일(Mankiw-Weil) 모형(또는 ‘MW 모형’)은 연령별 1인당 주거면적 등의 주택수요를 추정함으로써 미래 주택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이다(Mankiw & Weil, 1989). 가구별 구성원들의 연령과그들의 주거면적만 알고 있어도 가격변화에 의한 자본 이득, 조달금리, 주택 관련 세제 등 변동 요인을 배제하고 기본적인 모형 구축이 가능하다.
공공빅데이터의 범위는 어떠한가? 공공빅데이터는 거의 전 분야를 망라하기 때문에,행정 영역에 따라 구체적인 정의와 활용 방법이 다양하다(김기환, 2013; 성욱준, 2017). 통계청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부터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한 등록센서스를 도입하였고, 기본적인 전수 조사항목은 주민등록대장, 건축물대장 등 11개 기관의 21종 행정자료를 활용하게 되었다.
개인정보의 접근이 어려운 탓에 생긴 문제는 무엇인가? 또 개인정보의 접근이라는 어려운 과정은 분석을 보다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부담이 될 수 있고, 비식별화를 거친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연구설계가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었다. 제공 받은 공공빅데이터 자료가 동호가 분리되지 않고 도로명주소 단위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대규모 아파트단지는 처음부터 제외하고 분석해야 했으며, 연립주택도 단지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일괄 제외해야 했다. 그럼에도 한정된 정보라는 불리함을 역이용해 간결하고 안정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민성.서원석, 2018, 가구생애주기 및 점유형태별 주거격차 분석: 거주면적과 주택수요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2), pp.117-135. 

  2. 경기연구원, 2015, 경기도 주택.부동산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체계 연구. 

  3. 국토개발연구원, 1997, 주택수요구조 변화전망에 관한 연구. 

  4. 권기동.주재홍.진장원, 2015, 정보화연구, 12(4), pp.515-523. (??논문제목이 없어요) 

  5. 김경렬.권헌영, 2014,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제도의 개선 과제, 경제규제와 법, 7(2), pp.22-37. 

  6. 김경환, 1999, 인구의 연령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및 주택 가격, 대한부동산학회지, 17, pp.69-84. 

  7. 김기용.이창무, 2010, 고령화 사회와 주택수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협동학술대회 논문집. 

  8. 김기환, 2013, 공공부문 빅데이터의 활용성과 위험성,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3(2), pp.1-27. 

  9. 김미경.이창무.송기범, 2014, 세대(탄생코호트) 효과를 고려한 실용적 장기 주택수요 모형, 국토계획, 49(8), pp.35-48. 

  10. 김연우.김병훈.고건식.최민웅.송희섭.김기훈.유승훈.임종태.복경수.유재수, 2017, 실시간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홍수 재난안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pp.351-362. 

  11. 김준형.김경환, 2011, 고령화와 주택시장: 은퇴전후 주택소비 변화를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17(4), pp.59-71. 

  12. 김준형.천현숙.김민철, 2013, 주택수요의 규모별 분포 예측: 맨큐-와일 모형에서 추계가구자료의 활용, 국토계획, 48(2), pp.263-279. 

  13. 김진유.박지윤, 2017, 가구원 수별 가구수를 활용한 주택수요추정 모형 연구, 부동산학연구, 23(4), pp.65-76. 

  14. 김홍범.심영석, 2018, 연관규칙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관광지 이미지 빅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30(12), pp.57-76. 

  15. 리우쥐엔.황은정.박환용, 2013, M-W모형을 이용한 상하이시 주택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1(2), pp.205-218. 

  16. 박천규.이수욱.손경환, 2009, 가구생애주기를 감안한 주택 수요특성 분석 연구, 국토연구, 2009.3, pp.171-187. 

  17. 서원석.강민성, 2017,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가구의 장기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특성 분석, 대한부동산학회지, 35(3), pp.5-23. 

  18. 성욱준, 2017, 데이터 생애주기 관점에서 본 공공부문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2), pp.25-41. 

  19. 신미림.남진, 2011,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국토계획, 46(4), pp.131-145. 

  20. 양승혁.강준호, 2019, 프로스포츠구단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프로야구 심판 금전거래 사건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4(2), pp.15-31. 

  21. 윤상오.현지우, 2019,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33(1), pp.219-247. 

  22. 윤주현.강미나.박천규, 2006, 인구주택총조사로 본 주거특성 변화 및 정책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101, pp.1-8. 

  23. 은기수, 2007, 인구주택총조사 종합분석. 

  24. 이경민.김호기.서범준.정창무, 2012, 보금자리주택이 규모별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예측, 국토계획, 47(2), pp.83-98. 

  25. 이상훈.양동석.임재빈, 2016, 주택분야 수요분석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적용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6. 이성엽, 2018, 한국의 데이터주도 혁신에 대한 법의 대응과 진화, 경제규제와 법, 11(2), pp.147-167. 

  27. 이영은.안정근, 2003, 수도권 권역별 주택수요 분석, 국토계획, 38(6), pp.61-74. 

  28. 이종소.이상은.최진영, 2019, 국가하천 친수지구 공간관리를 위한 통신 빅데이터 활용성 검토: 자료검증과 이용지표 선정, 국토연구, 101, pp.3-18. 

  29. 이주형.임종현.이천기, 2009,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의 점유형태 및 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3), pp.79-93. 

  30. 이창무.박지영, 2009, 가구특성을 고려한 장기주택 수요 예측모형, 국토계획, 44(5), pp.149-161. 

  31. 임종태.복경수.유재수, 2019,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대중교통 경로 안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pp.460-468. 

  32. 임종현.이천기.이주형, 2007, 서울시 인구구조에 따른 공동주택수요 특성 및 전망, 국토연구, 2007.6, pp.147-162. 

  33. 장재일.안건혁, 2008, 경제변수와 확률을 이용한 주택 수요 예측, 국토계획, 43(7), pp.31-42. 

  34. 장철민.강정규, 2013, 가격-면적 군집에 의한 주택 수요에 관한 연구: 부산시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1(1), pp.205-219. 

  35. 장혜정, 2019, 안전도시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적용 알고리즘 연구, 도시설계, 19(1), pp.37-51. 

  36. 전성애.형남원, 2012, 인구구조 및 가구특성 변화를 고려한 주택수요의 예측, 국토계획, 47(3), pp.191-208. 

  37. 정보선.조용경.이상엽, 2018, 고령자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수요추정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연구, 8(1), pp.37-52. 

  38. 정의철.조성진, 2005,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3), pp.37-46. 

  39. 정창무, 2008, 맨큐-웨일 장기주택수요모형의 적정성 평가-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계획계, 24(2), pp.245-252. 

  40. 조성진.조주현, 2013, 주택 수요변화 분석을 통한 장기주택 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2000년, 2010년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8(5), pp.251-268. 

  41. 조영임, 2013, 빅데이터의 이해와 주요 이슈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6(3), pp.43-65. 

  42. 조정희.이강우, 2018, Marmot: 공간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하둡 기반의 고성능 데이터 저장 관리 시스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6(1), pp.3-10. 

  43. 진미윤.김경선, 2010, 주택수요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연구, 국토연구, 2010.12, pp.3-23. 

  44. 한국인구학회, 2012, 인구주택총조사 표본결과 심층분석. 

  45. 황종규, 2016, 2인 가구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4(2), pp.21-32. 

  46. 황현정.심보람.임업, 2009, 경기도 인구구조에 따른 주택 수요 추정, 지역연구, 25(4), pp.107-121. 

  47. Bakshi, G. & Chen, Z., 1994, Baby boom, population aging, and capital markets, Journal of business, pp.165-202. 

  48. Cutler, D., 1990, An aging society: Opportunity of challenge. 

  49. Mankiw, N. & Weil, D., 1989, The baby boom, the baby bust, and the housing market,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19(2), pp.235-258. 

  50. Muellbauer, J., & Murphy, A., 1997, Booms and busts in the UK housing market, The Economic Journal, 107(445), pp.1701-1727. 

  51. Swan, C., 1995, Demography and the demand for housing A reinterpretation of the Mankiw-Weil demand variable,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25(1), pp.41-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