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1 no.1, 2020년, pp.105 - 115  

김학재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임중철 (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stud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aims to find theor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은 고등학교 진학 전단계로 향후 사회진입으로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좀 더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실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실태를 중심으로 사회・정서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실제적인 현상에 근거한 청소년 대상 다문화교육 정책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만약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한다면 이들이 앞으로 주류사회에 진입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하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고은선, 김성훈. (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72, 1-23. 

  2. 교육부. (2019).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세종: 교육부. 

  3. 김광혁. (2009).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24(2), 27-45. 

  4. 김선희, 김경연. (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55-166. 

  5. 김세원, 정익중. (2012).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23(3), 27-50. 

  6. 김영순, 신효정.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사회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0(3), 253-275. 

  7. 김유나, 김영숙, 조한익. (2018). 중학교 3학년 때의 비행가해, 피해 및 사이버비행 가해경험과 고등학교 시기의 비행가해, 피해, 사이버비행 가해경험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변화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9(1), 29-57. 

  8. 김재경, 이덕현. (2019). 청소년이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57(20), 1-30. 

  9. 김종운, 박춘자. (2011).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북한, 페루, 중국, 파키스탄, 일본, 필리핀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1(27), 41-59. 

  10. 김지경, 백혜정, 임희진, 이계오. (2010).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I.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 김현지. (2016). 청소년의 또래애착 및 사회적 위축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6. 

  12.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3. 모상현. (2018).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교사 및 또래친구 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문화포럼, 54, 68-93. 

  14.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5. 박난숙, 오경자. (1992). Methylphenidate 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인지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235-248. 

  16. 박미화, 김미정. (2015). 또래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발달지원연구, 4(1), 1-19. 

  17. 박병선, 배성우, 박경진, 서미경, 김혜지. (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위축, 우울,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보건사회연구, 37(2), 72-101. 

  18. 박은정, 이유리, 이성훈. (2018).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또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31-55. 

  19. 신미, 전성희, 유미숙. (2012).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분석. 아동학회지, 33(1), 81-92. 

  20. 신지현, 강현아. (2018).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4, 1-22. 

  21. 신현숙, 이은정, 유리향, 배민영. (2010). 초등학생의 유능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7(4), 103-125. 

  22. 여성가족부. (2018).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3. 오동균. (2019).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방임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7(3), 439-459. 

  24. 유봉애, 옥경희. (2016). 다문화가족 아동의 정서조절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1), 71-91. 

  25. 윤은영. (2019).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연구. 다문화와평화, 13(2), 1-22. 

  26. 이경상, 백혜정, 이종원, 김지영 (2011).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II.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이래혁, 채황석, 오채민. (2020).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성취동기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이중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49, 1-24. 

  28. 장혜진, 윤혜미. (2010). 농촌아동의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적응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33, 7-36. 

  29. 전경숙. (2008).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 조사: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6(1), 167-185. 

  30. 전수정, 윤혜미. (2013).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방임,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4, 153-179. 

  31. 전재천. (2000).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과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적응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32. 정일영. (2016).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학교 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42, 88-118. 

  33. 정화실. (2009).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3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MAP데이터유저가이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5. 홍나미, 박현정. (2017). 부모방임이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 우울의 매개효과. 미래사회복지연구, 8(2), 125-151. 

  36. Chin JM, Yu S. (2008).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of immigrant mothers in Taiwa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6(8), 1141-1150. 

  37. Cicchetti D, Toth SK. (2005). Child maltreatment.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1, 409-438. 

  38.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9. Kline R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Y: The Guilford Press. 

  40. Nelson NJ, Rubin KH, Fox NA. (2005).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2), 185-200. 

  41. Rosenberg ER, Rosenberg, M. (1979).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3), 279-294. 

  42. Rubin KH, Burgess, K. (2001). Social withdrawal and anxiet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