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9 no.2 = no.110, 2011년, pp.89 - 99  

박계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이지민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177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1st to 6th grade in DC are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interests in school and the whole-sch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실태를 살펴보고, 아동의 가정에서의 다문화 적응과 의미 있는 타인의 사회적 지지(지지원, 지지유형)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실질적인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문화 적응, 사회적 지지(지지원, 지지유형) 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 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 적응성, 가족 및 사회적 맥락에서 살펴본 사회적 지지원' 지지유형 등 다양한 변인을 함께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실태를 살펴보고, 아동의 가정에서의 다문화 적응과 의미 있는 타인의 사회적 지지(지지원, 지지유형)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실질적인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문제의 초점을 파악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한 점과 다문화 가정 아동의 건강하고 올바른 학교생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고유미(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외국인 어머니가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9).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3. 김경란(2007).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수진(2009).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순종(2007). 초등교원의 사기저해요인의 분석을 통한 근무 의욕 제고 방안 : 전라남도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매일경제(2009. 02. 16). 다문화가정 자녀 70% 고교교육 못 받아. 

  7. 문은식(2005).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발전논집(충남대학교), 147-162. 

  8. 박민서(2007).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샤론(2010).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은혜(2010).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 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3.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2006).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 

  14. 백종진(2008). 아시아 여성결혼이민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정혜(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서현?이승은(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 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17. 설동훈(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 방안: 보건복지부. 

  18. 신혜정(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신효선(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안은미(2007).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연소이(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성별 및 문화적응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간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오성배(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지, 32(3), 61-83. 

  23. 이경주(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이영주(2007).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윤호(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애착,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일반가정 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지애(2007).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연구 -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전푸르나(2010).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자녀의 학교적응 비교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윤정(2007). 결혼 이민자 가정의 특성과 아동들의 학교적응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정현영(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아시아 여성과 한국 남성의 이중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제갈종기(2007).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적응.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최옥희(2007). 생태학적 변인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2. 통계청(2009). 혼인통계결과. 

  33. 한국일보(2009. 09. 09). 다문화가정 올바른 인식을. 

  34.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한정애(2009).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과정분석. 경성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홍영숙(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홍정미(2008).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 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Anderson, M. (1999). Children in-between : constructing identities in the bicultural family. Journal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5(1), 13-26. 

  3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40. Dubow, E. & Ulman, D.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3-64. 

  41. Thoits, P. (1982).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3, 14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