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World Religion' in Daesoon Jinrihoe 원문보기

大巡思想論叢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35, 2020년, pp.73 - 107  

권동우 (영산선학대학교)

초록

대순진리회는 교단 내부 구성원들에 있어서나 학계에 있어서나 '민족종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민족종교의 성격이 꽤 복잡하다. 곧 민족종교로서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선민사상을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인류와 세계를 구제하겠다는 세계종교의 보편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민족종교의 특수성과 세계종교의 보편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특수성과 보편성의 논리는 단지 대순진리회에만 국한된 특징이 아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종교들이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고 하는 이중성을 보여 왔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근대 일본에서 형성된 교파신도다. 근대 일본 정부가 국가신도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교파신도는 총 13개 종파가 형성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일본인의 민족적 전통을 계승하는 민족종교라고 하면서도,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세계종교를 표방하면서 해외포교에 나선다. 그렇다면 이처럼 민족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했던 교파신도의 해외포교는 어떻게 귀착되었고, 이들의 세계종교화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처럼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이중성을 보여 왔던 교파신도의 사례를 통해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대순진리회가 지향해야 하는 길에 대해 약간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민족종교'론 또는 '민중종교'론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한국에서 민족종교이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하고 있는 원불교의 사례도 점검하는 것으로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경계에 서 있는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지향점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esoon Jinrihoe tends to be perceived as a 'nationalistic religion' by both internal members of the religious body and outside scholars of religious studies. However, the character of this particular nationalistic religion is rather complex. On top of emphasizing the special status of the Korean et...

주제어

참고문헌 (44)

  1. 「대순지침」,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2. 강돈구, 「민족종교와 민중종교」, 「한국종교연구회회보」 1-1, 1989. 

  3. 강돈구,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 서울: 집문당, 1992. 

  4. 권동우, 「신도의 조선 유입에 관한 재검토」,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6, 2018. 

  5. 김낙필, 「민족종교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 「한국종교사연구」 9, 2001. 

  6. 김석근,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과 '민중'」,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4, 2017. 

  7. 김종서, 「현대 신종교 연구의 이론적 문제」, 김종서.박승길.김홍철 공저, 「현대 신종교의 이해」,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8. 김홍철, 「한국문화와 민족종교」, 「종교연구」 3, 1987. 

  9. 노길명, 「증산의 민족 주체사상」, 「증산사상연구」 6, 1980. 

  10. 노길명, 「한국의 종교운동」,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11. 대순진리회 교무부, 「Q&A 게시판: 대순진리회는 왜 민족종교라고 하나요?」, 「대순회보」 177호, 2016. 

  12. 류남상, 「계룡산 신흥종교의 계보와 교리 연구」, 「철학연구」 8, 1969. 

  13. 류병덕, 「한국 신흥종교의 유사종교 규정에 관한 연구」, 「논문집」 4, 1969. 

  14. 류병덕, 「한국종교연구의 현황과 과제-종교학 방법의 성찰과 개발」, 「한국종교사연구」 3, 1973. 

  15. 류병덕 편, 「한국민중종교사상론」, 서울: 시인사, 1985. 

  16. 류병덕.김홍철.김낙필.양은용, 「한국근세종교의 민중사상연구」, 「한국종교」 14, 1989. 

  17. 민동근, 「계룡산 일대 종교의 실태조사」, 「철학연구」 8, 1969. 

  18. 안연희, 「'세계종교'와 종교 가르치기」, 「종교문화비평」 29, 2016. http://uci.or.kr/G704-SER000003135.2016.29.29.011 

  19. 유흔우, 「민족종교의 특수성과 보편화 가능성」, 「제2회 대순사상학술대회 자료집」, 2000.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0.10..017 

  20.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2, 서울: 집문당, 1988. 

  21. 윤이흠, 「세계종교사에 있어서 한국 민족종교의 의미」, 「한국종교연구」 권3, 서울: 집문당, 1991. 

  22. 윤이흠, 「한국민족종교의 역사적 실체」, 「한국종교」 23, 1998. 

  23. 윤이흠, 「일제강점기의 민족종교운동」, 한국민족종교협의회 엮음, 「한국민족종교운동사」, 서울: 한국민족종교협의회, 2003. 

  24.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감」, 서울: 도서출판 대흥기획, 1992. 

  25. 이경원, 「한국민족종교의 특성과 대순사상」, 「신종교연구」 18, 2008. http://doi.org/10.22245/jkanr.2008.18.18.209 

  26. 이재헌, 「1970년대 이후 한국 신종교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종교연구」 3, 2000. 

  27. 이정립, 「증산교행동강령」, 「증산교요령」, 1966. 

  28. 장병길, 「한국민간신앙의 구조」,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엮음, 「장병길교수논집 한국종교와 종교학」, 서울: 도서출판 청년사, 2003. 

  29. 추헌수 편, 「자료 한국독립운동」 1,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71. 

  30. 황선명, 「민중운동과 종교-종교운동의 본질에 관한 고찰」, 「종교학연구」 2, 1979. 

  31. 일본 문화청 종교 통계자료 (https://www.bunka.go.jp/tokei_hakusho_shuppan/tokeichosa/shumu/index.html) 

  32. 記者, 「朝鮮布敎異聲問答」, 「道之友」 713, 1937. 

  33. 不動, 「全??導職に告ぐ」, 「?之?」 124, 1906. 

  34. 社說, 「歲端の希望」, 「道之友」 169, 1906. 

  35. 新田邦光, 「敎道大意」 1권, 京都: 修成講社, 1873. 

  36. 牧野榮一, 「朝鮮布敎の實際」, 「道之友」 497, 1927. 

  37. 小熊英二, 「?一民族神話の起源」, 東京: 新曜社, 1995. 

  38. ?野半, 「扶桑?」, 東京: 扶桑敎會講學堂, 1882. 

  39. 井上順孝, 「?派神道の形成」, 東京: 弘文堂, 1991. 

  40. 諸井慶五郞, 「海外布敎論」, 「道之友」 501, 1927. 

  41. 朝鮮總督府警務局編, 「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況?昭和八年?」, 京城: 巖南堂書店, 1933. 

  42. 朝鮮總督府學務局宗敎課, 「朝鮮ニ於ケル宗?及享祀一?」, 京城: 朝鮮總督府, 1928. 

  43. 天理?校, 「?道地誌」, 天理市: 天理?道友社, 1938. 

  44.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 京城: 朝鮮?督府, 193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