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 정신건강,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암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on Cancer Adjustment of Women with Cancer in Nursing Hospita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8 no.2, 2020년, pp.29 - 39  

임선영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마예원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  박혜선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adjustment of cancer, mental health, and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of women with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adjustment of cancer of women and improve women's mental health to form family p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성 암 환자의 정신건강,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암 적응의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고, 정신건강과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암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암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신건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설명력은 19.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여성 암 환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암 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고자 함이며, 여성 암 환자의 정신건강 및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여성 암 환자의 적응능력을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중재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 정신건강,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암 적응의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 하고, 정신건강과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암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교육 정도, 자조그룹 참여가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암 적응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정신건강 변수가 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요양병원에 입원한 여성 암 환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및 암 적응을 파악하고 암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에 입원하여 상급의료기관으로 항암요법과 방사선요법 등을 위해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 암 환자의 정신건강과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암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여성암 환자의 우울 등 정신건강 관련 문제를 감소시키고 가족문제 해결을 위해 긍정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암 적응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는 암환자에게 어떤 역할을 하는가? 암 환자가 질병에 대처하고 장기간 치료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자원인 사회적 지지는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고 치료에 대처능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암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Lee 등, 2011), 건강증진행 위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Jeong 등, 2014). 암과 같이 치료기간이 장기화되고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된 질병인 경우 가족지지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등, 2009).
여성 암 환자의 삶에 있어 가족지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여성에게 정서적 관심, 위로,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며, 자신이 가족에게 사랑받고 있는 존재로 지각하는 여성일수록 우울은 낮다(Heo & Tae, 2014). 대부분의 여성 경우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가족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그 안에서 실질적 도움을 받기 때문에(Kim과 Cho, 2015), 질병으로 인해 가족체계의 변화를 가져온 여성 암 환자의 삶에 있어 가족지지는 매우 중요하다.
상급의료기관에서 암 치료를 받고, 요양병원에 입원하여 보완대체요법을 병행하며 치료하는 환자들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로 나타났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9). 암 환자들은 수술 후 상급의료기관에서 퇴원을 하게 되고, 지속적인 다양한 치료과정에서 도움이 필요하지만, 상급병원에 입원하는 것은 어렵고, 가정에서 자가간호나 가족의 보살핌을 받는 것도 어려운 점이 있다(Chae & Kim, 2013). 이에 상급의료기관에서 암 치료를 받고, 요양병원에 입원하여 다양한 보완대체요법을 병행하며 치료를 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Jang & Park,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HS(2015). Patient care and management in long term care hospitals.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12(3), 90-94. 

  2. Arambasic J, Sherman KA, Elder E, et al(2019). Attachment styles,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8(5), 1134-1141. https://doi.org/10.1002/pon.5068. 

  3. Brandao T, Schulz MS, Matos PM(2017). Psychological adjustment after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 Oncology, 26(7), 917-926. https://doi.org/10.1002/pon.4230. 

  4. Byun HS, Kim GD(2012). Impacts of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 Nurs, 12(1), 27-34. https://doi.org/10.5388/aon.2012.12.1.27. 

  5. Chae SY, Kim KH(2013). Physical symptoms, hope and family support of cancer patients in the general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J Adult Nurs, 25(3), 298-311. https://doi.org/10.7475/kjan.2013.25.3.298. 

  6. Choi BJ, Park JH, Choi BM, et al(2011). Factors influenc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17(1), 87-95. 

  7. Coreil J, Wilke J, Pintado I(2004). Cultural models of illness and recovery in breast cancer support groups. Qulitative Health Research, 14(7), 905-923. https://doi.org/10.1177/1049732304266656. 

  8. Edib Z, Kumarasamy V, Abdullah N, et al(2016). Most prevalent unmet supportive care needs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in Malaysia. Health Qual Life Outcomes, 14(1), Printed Online. https://doi.org/10.1186/s12955-016-0428-4. 

  9. Goldberg DP, Williams P(1988). A user's guide to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indsor, Nfer-Nelson. 

  10. Hashemi, S, Rafiemanesh H, Aghamohammadi T, et al(2020). Prevalence of anxiety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east Cancer, 27(2), 166-178. https://doi.org/10.1007/s12282-019-01031-9. 

  11. Head BA, Schapmire TJ, Keeney CE, et al(2012). Use of the distress thermometer to discern clinically relevant quality of life differenc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Quality of Life Research, 21(2), 215-223. https://doi.org/10.1007/s11136-011-9934-3. 

  12. Heo JE, Tae YS(2014).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Adult Nurs, 26(2), 181-190. https://doi.org/10.7475/kjan.2014.26.2.181. 

  13. Holland J, Andersen B, Breitbart WS, et al(2010). Distress management. JNCCN, 8(4), 448-485. 

  14. Howell DD(2018). Supported self-management for cancer survivors to address long-term biopsychosocial consequences of cancer and treatment to optimize living well. Current Opinion in Supportive and Palliative Care, 12(1), 92-99. https://doi.org/10.1097/SPC.0000000000000329. 

  15. Jang AY, Park JS(2018).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hospitals. J Korean Gerontol Nurs, 20(1), 35-44. https://doi.org/10.17079/jkgn.2018.20.1.35. 

  16. Jeong K, Heo J, Tae Y(2014) Relationships among distress,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ian Oncol Nurs, 14(3), 146-154. https://doi.org/10.5388/aon.2014.14.3.146. 

  17. Kang JI, Chung HC, Kim SJ, et al(2008).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adjustment to cancer (K-Mini-MAC) scal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o Oncology, 17(6), 592-597. https://doi.org/10.1002/pon.1277. 

  18. Kang JI, Namkoong K(2007). Psychosocial aspects and mental health in cancer 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46(5), 421-429. 

  19. Kim HS, Lee MG, Kim HY, et al(2018).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in patients with surgical removal of benign breast tumor. Korean J Women Health Nurs, 24(2), 163-173. https://doi.org/10.4069/kjwhn.2018.24.2.163. 

  20. Kim HY, Ko E(2012). Psychosocial adjustment between younger and older breast cancer survivors. Asian Oncol Nurs, 12(4), 280-288. https://doi.org/10.5388/aon.2012.12.4.280. 

  21. Kim HJ, Ko Y(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general physical health. Kor J Psychol Health, 21(4), 815-828. 

  22. Kim J, Cho EY(2015). How the middle-aged women view her own life?. JCCT, 1(3), 47-68. https://doi.org/10.17703/JCCT.2015.1.3.47. 

  23. Kim KH, Chung BR, Kim KD, et al(2009).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sian Oncol Nurs, 9(1), 52-59. 

  24. Kim YJ, Baek YM(2017). The influence of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health locus of control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Kor J Psychol Health, 22(1), 81-101. https://doi.org/10.17315/kjhp.2017.22.1.005. 

  25. Kornblith AB, Powell M, Regan MM, et al(2007). Long-term psychosocial adjustment of older vs younger survivors of breast and endometrial cancer. Psycho Oncology, 16(10), 895-903. https://doi.org/10.1002/pon.1146. 

  26. Lauriola M, Tomai M(2019). Biopsychosocial correlates of adjustment to cancer during chemotherapy: The key rol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9, Printed Online. https://doi.org/10.1155/2019/9750940. 

  27. Lee BY, Jo HS, Kwon MS(2010). Survey on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4(1), 49-60. https://doi.org/10.5932/JKPHN.2010.24.1.049. 

  28. Lee EH, Chu YS(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factors to mental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JKAIS, 13(4), 1619-1624. https://doi.org/10.5762/KAIS.2012.13.4.1619. 

  29. Lee EK, Ryu EJ, Kim KH(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 Nurs, 11(2), 101-107. https://doi.org/10.5388/jkon.2011.11.2.101. 

  30. McCubbin MA, McCubbin HI, Thompson AI(1996).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FPSC).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p.639-688. 

  31. Moon HN, Chai CG, Song NK(2018). Analysis of the effect of perceived neighborhood physical environment on mental health. The Seoul Institute, 19(2), 87-103. 

  32. Park JH, Chun M, Jung YS, et al(2016). Changes of supportive care need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 Nurs, 16(4), 217-225. https://doi.org/10.5388/aon.2016.16.4.217. 

  33. Park BW, Hwang SY(2009). Depression and cop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J Breast Cancer, 12(3), 199-209. https://doi.org/10.4048/jbc.2009.12.3.199. 

  34. Park YE(2013). A comparative study on mental for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companion animals.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35. Rohani C, Abedi HA, Omranipour R, et al(2015).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he predictive role of sense of coherence, spirituality and religious coping in a sample of Iranian women with breast cancer: a prospective study with comparative design. Health Qual Life Outcomes, 13, Printed Online. https://doi.org/10.1186/s12955-015-0229-1. 

  36. Shin SI(2001).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KGHQ) KGHQ-20 and KGHQ-30. Korean J Soc Welf, 46(9), 210-235. 

  37. Seo J(2018). Construction of a model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breast cancer survivors based on family resilienc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38. Watson M, Greer S, Young J, et al(1988).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measure of adjustment to cancer: the MAC scale. Psychol Med, 18(1), 203-209.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02026. 

  39. Wi ES, Yong J(2012). Di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spiritual needs of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sian Oncol Nurs, 12(4), 314-322. https://doi.org/10.5388/aon.2012.12.4.314. 

  40. Yi M, Ryu YM, Hwang E(2014). The experience of self-help group activities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Korean J of Adult Nurs, 26(4), 466-478. https://doi.org/10.7475/kjan.2014.26.4.466. 

  4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Trend analysis of cancer incidence, 2019.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3/contents.do/ Accessed December 30,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