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교양영어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독해력, 영어읽기동기, 협동학습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Languag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Awaren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81 - 91  

이영은 (서원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 목적은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활용 가능한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독해력과 영어 읽기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소집단 협동학습 인식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북도의 4년제 종합대학교의 필수 교양영어 수업에 참여한 신입생 62명을 연구대상으로 2019년 9월 2일에서 12월 13일까지 실험반(34명)은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 맞춤식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반(28명)은 전형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은 학업 숙달도 영역을 영어 독해력으로, 정의적 영역은 영어 읽기 동기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실험 전 학습자들의 영어 독해력은 국가 수준 교육 성취도 평가문제를 발췌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영어 독해력 점수와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독해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영어 읽기동기 점수와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 읽기동기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셋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인식변화가 실험 전과 실험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수업 시 대학생들 간의 협동학습을 통해 영어 독해력, 영어 읽기동기, 협동학습 인식이 상승했으며, 이를 통한 자아정체성, 자신감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roup co-learning on English reading ability and motivation and the change in group co-learning perception after planning and applying a group co-study class program that can be applied in university liberal arts English class. In order to achiev...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EFL 환경의 교양 영어 수업에서 영어 능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으로 소집단 협동학습을 고찰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교육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둘 째, 본 연구는 명확한 협동학습의 개념을 중심으로 대학 교양영어 읽기 수업에 협동학습이 적용된 최근의 광범위 한 사례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영어 독해력과 영어읽기 동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이 영어 읽기에 효과적인 이유를 분석하여 협동학습과 영어 읽기 수업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 목적은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활용 가능한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독해력과 영어 읽기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소집단 협동학습 인식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실 험 반 및 통제 반 수업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 프로그램을 구상, 적용한 후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독해력과 영어 읽기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소집단 협동학습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이 영어 읽기에 효과적인 이유를 분석하여 협동학습과 영어 읽기 수업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는 단일 협동학습 모형을 다룬 선행연구와 차별되게 영어 읽기 수업환경과 수업목표에 맞게 협동학습 모형을 선택하고 통합하여 협동학습 운영 원리와 영어 읽기 수업의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안을 구상하고 적용해 보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현 교양영어 읽기수업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구현하는 것이다.
  • 둘 째, 본 연구는 명확한 협동학습의 개념을 중심으로 대학 교양영어 읽기 수업에 협동학습이 적용된 최근의 광범위 한 사례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영어 독해력과 영어읽기 동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이 영어 읽기에 효과적인 이유를 분석하여 협동학습과 영어 읽기 수업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는 단일 협동학습 모형을 다룬 선행연구와 차별되게 영어 읽기 수업환경과 수업목표에 맞게 협동학습 모형을 선택하고 통합하여 협동학습 운영 원리와 영어 읽기 수업의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안을 구상하고 적용해 보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현 교양영어 읽기수업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구현하는 것이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EFL 환경의 교양 영어 수업에서 영어 능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으로 소집단 협동학습을 고찰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교육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둘 째, 본 연구는 명확한 협동학습의 개념을 중심으로 대학 교양영어 읽기 수업에 협동학습이 적용된 최근의 광범위 한 사례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영어 독해력과 영어읽기 동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집단 협동학습은 무엇인가? 소집단 협동학습은 수업이라는 특정 환경에서 협동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조직화한 구조를 통해 특정 학습 목표 달성의 목적을 가진 학습을 협동학습이다. 즉, 협동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개인은 자신과 모든 소집단 내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결과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협동학습은 소집단(4∼6명)내의 학습자들이 스스로와 다른 구성원의 학습을 최대화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소집단의 교육적 사용”이며.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 독해력 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의 영어 독해력 점수와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하지 않은 집단의 영어독해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능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선행 연구들[13, 14]의 결과와 상응한 동시에, 대학 영어 수업 환경이라는 특정한 수업 환경에 적용되기 위해 통합되고 구상된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독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라는 것을 검증해 주고 있다. 즉, “소집단 협동학습의 협동과정”이 영어 독해력 상승에 끼친 영향이다. 구성원들과의 협동과 상호작용을 통해 영어 텍스트를 이해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수용되는 유연한 학습 분위기가 학습자들의 독해력 상승에 일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협동학습에서 텍스트를 예습하고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하며 활발하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진다.
최근 한국 교육계는 공교육 정상화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나? 최근 한국 교육계는 공교육 정상화를 목표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많은 변화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도 설명식, 문제풀이 위주의 현행 교수방식을 벗어나 교과 간 통합에 기초한 프로젝트, 협동 및 토론 중심 교육으로 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Kwon, J. Lee, S. Han, & S. Bhang. (2017). A Study on Utilization of e-learning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Level : Focus on Contents Sharing among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9-32. DOI : 10.31888/JKGS.2017.7.1.289 

  2. I. Lee. (2002). "e-learning", Muneumsa. 

  3. J. Kim. (2016). Design and Development of English e-Learning Content to Facilitate Interaction, Korea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1(4), 863-891. DOI:10.31888/JKGS.2016.62.1.317 

  4. P. M. Kim. (2017). Learner Attitudes, Perceptions, and Beliefs in Language Learning, Foreign Language Annals, 45, S98-S117. DOI : 10.31888/JKGS.2017.25.4.219 

  5. E. K. Seo. (2018). The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of beginning university foreign language student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2(3), 283-294. DOI : 10.31888/JKGS.2018.30.4.1409 

  6. R. L. Hong. (2016). University students' beliefs about learning English and French in Lebanon, System, 34(1), 80-96. DOI : 15.31998/JKGS.2016.5.3.219 

  7. E. K. Hwang. (2015). Using student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foreign language methods course, Foreign Language Annals, 18(4), 333-340. DOI : 11.21008/JKGS.2015.23.1.038 

  8. E. K. Lee. Cultural and situational influences on foreign language learner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a review of BALLI studies, System, 27(4), 557-576, 9. DOI : 11.26381/JKGS.2017.6.2.364 

  9. K. Kim. (2017). Language learning belief factors affecting English achievement, English Teaching, 67(4), 173-194. DOI : 11.33385/JKGS.2017.8.1.449 

  10. Y. M. Son & B. S. Jung, (2017). Convergence Development of Video and E-learning System for Education Disabl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113-119. DOI:11.81442/JKGS.2017.32.2.369 

  11. J. T Kim. (201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bile-based English Speaking Test Converge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2), 25-31. DOI : 13.21009/JKGS.2017.7.8.324 

  12. Greive, D. (2018). Teach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adjunct facul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ED 428 804). 

  13. Cameron. B. (2019). Active learning, Halifax, Canada: Society for Teaching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14. Mc Keachie, W. (2012). Active learning: cooperative, collaborative, and pee learning, In W. McKeachie, McKeachie's teaching tips: strategies, research, and theory for college and university teachers,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87-195. 

  15. B, Min. (2016). Syntactic and lexical/semantic skill in foreign language reading: importance and interaction, Modern Language Journal, 70,. 343-349. DOI:11.32018/JKGS.2016.12.2.187 

  16. M. Park. (2017). Sentence-level expectancy as an aide to advanced reading, TESOL Quarterly, 7(3), 269-277. DOI : 11.36853/JKGS.2017.7.3.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