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인의 커뮤니티 케어 실현방안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Ways to Promote Community C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531 - 540  

신준옥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정부에서 취약계층의 돌봄 체계를 시설보호(Institution Care) 중심에서 커뮤니티 케어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발달장애인의 탈시설화를 위한 커뮤니티 케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과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커뮤니티 케어의 궁극적 목적인 일상적 삶에 있어서 주도적이고 참여적인 삶을 실현하기 위해 외국의 발달장애인 커뮤니티 케어 정책들을 알아보고 추진 과정상의 주요 쟁점과 문제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탈시설화와 커뮤니티 케어 관련법의 정비·제정, 정책 시행상의 주체와 수행 과제, 소요재정 추계와 조달계획 및 예산확보 방안 등을 구체화 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주거공간 형태와 서비스 이용의 주체성을 명확하게 하는 것,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장애정도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계 마련, 탈시설화 후 커뮤니티 케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권유린 요인에 대한 고민,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 등 다양한 과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해 나가는 것,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성공을 담보하는 데 있어서 핵심요소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정책적 차원에서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ways and task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community care that the korea government recently aimed to convert the care system of the vulnerable from the center of institutional care to the community-based care system. As a research method, we tried to f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커뮤니티 케어의 궁극적 목표인 일상적 삶에 있어서 주도적이고 참여적인 삶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과 외국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들을 비교해 보고, 한국의 발달장애인이 한 사회의 시민으로서 지역사회의 범주 내에서 주체성을 가지고 일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케어의 실현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장애인 복지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가? 한국의 장애인 복지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생활시설에서 수용·보호하는 차원이었으며, 또한 장애인은 지역사회의 소외계층으로 낙인과 차별의 대상이 되어 대부분 가족들의 전적인 책임으로 부양이 전가되었다. 지금까지는 장애인의 자립문제를 한 개인과 가족의 문제라고 치부하였다면 앞으로는 국가적인 사회문제로 인식해야 한다고 본다.
커뮤니티케어에 관련된 영국의 사례는? 커뮤니티 케어는 단지 지역사회에서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용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참여를 통하여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는것이다. 대표적으로 영국은 1990년에「국민보건서비스와 커뮤니티 케어 법(National Health Service and Community Care Act, NHSCCA)」을 제정해 돌봄체계를 시설의존도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재편하였다. 미국은취약계층이 자신의 집에 거주할 권리를 인정한 1999년연방정부 대법원 판결 이후 주정부가 시설입소 대신에 지역사회기반서비스(Home and Community BasedServices, HCBS)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다양한조치들을 시행하였다.
커뮤니티 케어는 무엇인가? 2018년 3월, 우리정부는 노인·장애인·정신질환자 등에대한 돌봄 체계를 종래의 시설보호(Instittution care)중심에서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 중심으로 전환한다고 정책을 발표하고, 커뮤니티 케어를 “돌봄을 필요로 하는 이가 자택이나 지역-홈 등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개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부합하는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받고, 지역사회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면서 자아실현과 스스로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려는 사회서비스체계”라고 정의했다. 2019년 1월 시범사업으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사업을 발표하고 12개 시·군·구 에서 노인(4곳), 장애인(4곳), 정신질환(2곳), 노숙인(2곳) 등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케어 추진본부’가 구성되어 운영하고있으며, 정신질환자의 경우 병원에서 퇴원한 후 지역사회에서 생활이 가능한 ‘독립생활 체험홈’으로 주거를 옮겨 지역사회 내의 복귀를 준비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 S. Cho. (2018). Tasks for Activating Community Care monthly public policy, 157, 62-65. 

  2. M. J. Sung. (2019).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ivil and Social Welfare. 

  3. Y. D. Kim. (2012). Disability and Social Welfare, Seoul: EM. 

  4. H. W. Choi. (2020). Master's thesis, research on the realiza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for the severely disabled (focused on the disabled). 

  5. S. K. Park. (2017). The Actual Condition for the Preparation of the Deconstruction Plan for the Disabled,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6. J. I. Jeon. (2000). Practical Implications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Community Welfare, Research on Social Welfare, 6(2). 

  7. J0 An. (2006).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people liv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cused on social welfare facilities, Law and Social Theory Society. 

  8. Seattle Regional Office of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Deinstitutionalizion of the mentally disabled in Oregon. 1976. 

  9. Y. D. Kim. (2018). Deinstitutionalization and Building Community-Based Personal Special Services: Community Care that Comments Independence and Interdepende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3), 492-520.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11. Emerson, Deinstitutionalization Tizard Learning Disability Review, 2005. 

  12. Collins, J. From hospital to home: the drive to suppor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5. 

  13. Asylum Essays on the Social Situation of Mental Patients and Other Inmate, Harmonds worth: penfuin Books, 1961. 

  14. Institutional Neuroses, Bristol: Wright, 1959. 

  15. Bradley, Creating Individual Support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led, Baltimore: MD Brooks, 1994. 

  16. Mean and Smith, Community Care: Policy and Practice(4 Edition), 1998. 

  17. J W. Kim. (2012).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K and the promotion of residence and subjectivity in the commun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8. M. Y. Kim. (2016). Dignity deprivation policy for the disabled with dignified life, Korean Society of Public Engineers, Vol.44 (3), 61-101. 

  19. J. H. Jeon. (2015).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focusing on the Assistance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AS) and the Care for the Disabled (PCA), Korean Community Welfare 52. 

  20. S. H. Kim. (2013). Supporting Plan for Independent Living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Disable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1. Ericsson,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living for persons with an intellictual disability in sweden, 2000. 

  22. D, H, Kim. (2018).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Care, Monthly Welfare Trend (236), 52-56. 

  23. Y. I. OH. (2018). A critical perspective for the correct direction of Korean community integrated ca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