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기식 온라인창업교육의 학습자만족 모델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l of Learner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1 no.2, 2020년, pp.119 - 135  

변영조 (한밭대학교 미래산업융합대학) ,  이상한 (순천향대학교 엔터프라이즈스쿨) ,  김재영 (고려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ing to pandemic (COVID-19), the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education methods. Using a real time-based video conference system, synchronous education can be adopted by face-to-face class easily.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의 만족도와 관련한 이론들과 그 과정을 결합하여 확장함으로써 온라인 교육환경에서의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과정을 탐색적으로 설명하고자 다음 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게다가 실시간 문제해결 중심의 창업교육분야에 있어 동기식 수업 관련 연구는 그 추세와 시대적 중요성에 비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 분야에서 실시간 온라인 화상 플랫폼 등을 활용한 동기식 교육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생간 효과적인 교육운영 및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며,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온라인교육에서 도출되었던 온라인교육 실재감과 수업구성요인, 시공간적 효과성을 중심으로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이 가지는 문제해결중심 학습에 있어 온라인 교육환경에서의 특성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조모형에 설정된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판단되어 잠재변수 사이의 경로계수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PLS 알고리즘에 의해 경로계수 (path coefficients: β)를 구하고, PLS에서 제공하는 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하여 각 경로계수의 t-값을 검증하였다(Chin 1998).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 분야에서 실시간 온라인 화상 플랫폼 등을 활용한 동기식 교육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생간 효과적인 교육운영 및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며,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온라인교육에서 도출되었던 온라인교육 실재감과 수업구성요인, 시공간적 효과성을 중심으로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게다가 실시간 문제해결 중심의 창업교육분야에 있어 동기식 수업 관련 연구는 그 추세와 시대적 중요성에 비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 분야에서 실시간 온라인 화상 플랫폼 등을 활용한 동기식 교육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생간 효과적인 교육운영 및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며,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온라인교육에서 도출되었던 온라인교육 실재감과 수업구성요인, 시공간적 효과성을 중심으로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공학에서 말하는 동기식 교육이란? 이후 교육공학에서는 이처럼 채팅과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을 포함하는 동일시간(실시간) 교육진행 학습방식을 동기식(synchronous) 교육으로 정의하였다(Mindflash 2020). 초기 동기식 교육은 채팅과 메신저 등을 통해 학생의 질문에 즉각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가상 교실의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사회적 변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온라인 비대면 교육이 더욱 보편화 되면서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한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박찬욱·강인원 2010; 정미숙 등 2005).
비대면 학습의 한계점은? 전통적인 교육방식인 강의실 교육은 참여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서로 다른 공간에서의 비대면 학습은 학생의 면학 분위기 및 수업 시간내 모둠 활동 및 동료의식 등 공동체 형성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다(유홍준·정태인 2013).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문제해결을 위해 그동안 교육공학에서는 교육 실재감(Arbaugh et al.
온라인 교수자의 역량에 있어 교수법, 상호작용, 수업 운영 및 기술적인 분야에 익숙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은? 둘째, 교수자 및 학습자 양쪽 모두 실시간 비대면 온라인 플랫폼의 기능구현의 원활함이 전제되어야 한다. 실시간 비대면 수업환경 내에서는 오프라인 환경과는 달리 교수자 1인이 교육 및 수업보조 멘토링을 동시에 진행하여야 한다. 이에 온라인 교육의 교수자는 멘토의 역할 중의 하나인 실시간 화상회의도구에 대한 기능을 파악하고 교육진행 과정에서 교육 및 플랫 폼 운영 전문성을 갖추어 오프라인 교육과 유사한 실재감을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는 온라인 교수자의 역량에 있어 교수법, 상호작용, 수업 운영 및 기술적인 분야에 익숙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Keengwe and Kidd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명희, 김민정 2006.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2:4), pp. 1-27. 

  2. 김계수 2010.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 한나래아카데미. 

  3. 김근아, 김상현 2019. "정보기술의존 기업에 대한 민첩성의 역할 및 결정요인", 경영학연구, (48:4), pp. 879-912. 

  4. 김선우, 신은정, 김형주, 홍성민, 박기범, 천새롬, 고혁진, 박진서, 신영규 2014. "이공계 대학의 창업교육 혁신방안", 정책연구, pp. 1-272. 

  5. 김정주, 임지연 2010. "원격교육기관에서 사회적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6:1), pp. 1-24. 

  6. 김혜영, 이준엽, 조용대, 오태헌 2012. "사이버교육에서 실재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사회문화 (3:2), pp. 103-132. 

  7. 김효근.정미숙.안동윤 2005. "지식경영과 e러닝통합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 LG전자 사례를 중심으로 -," 지식경영연구 (6:1), pp. 105-122. 

  8. 남정민 2017. "기업가정신 온라인교육의 효과성검증," 벤처창업연구 (12:2), pp. 31-40. 

  9. 박찬욱, 강인원 2010. "콘텐츠 조직화를 통한 e-러닝 학습환경 최적화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1:1), pp. 115-128. 

  10. 변영조, 김재영 2018. "디지털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4차산업혁명시대의 창업교육체계 제안," 고려대학교 경상논집 (38:1), pp. 39-52. 

  11. 변영조, 최종인, 김재영 2018. "창업주기별 온라인 창업교육 콘텐츠 개발 및 운영현황 분석,"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pp. 125-133. 

  12. 손맥, 조은영, 김희웅 2014. "e러닝 성공 평가에 관한연구," 지식경영연구 (15:2), pp. 67-88. 

  13. 유병준, 전성민, 석민성 2018. "멘토역량과 멘토링기능이 창업멘토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창업가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3:6), pp. 15-25. 

  14. 유홍준, 정태인 2013. "사이버(Cyber) 강의의 교육성과 평가 및 내실화연구(II); 해외 사이버교육 현황분석과 교양기초 사이버강좌 우수모델 제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pp. 1-37. 

  15. 이상수 2004.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교육공학연구 (20:1), pp. 63-88. 

  16. 조장현, 박정열 2017. "창업 멘토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벤처창업연구 (12:5), pp. 67-77. 

  17. Akarasriworn, C. and Ku, H.Y. 2013. "Graduate Students' Knowledge Construction and Attitudes Toward Online Synchronous Video Conferencing Collaborative Learning Env ironment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14:1), pp. 35-48. 

  18. Allen, T. D. and Poteet, M. L. 1999. "Developing Effective Mentoring Relationships: Strategies form the mentor's viewpoint,"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8:1), pp. 59-73. 

  19. Anderson, J. C. and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Rev iew a nd Recom mended Two -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pp. 411-423. 

  20. Arbaugh, J. B., Cleveland-Innes, M., Diaz, S. R., Garrison, D. R., Ice, P., Richardson, J. C., and Swan, K. P. 2008. "Developing a community of inquiry instrument: Testing a measure of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using a multi-institutional sample,"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1:3-4), pp. 133-136. 

  21. Atuahene­Gima, K., and Wei, Y. S. 2011. "The Vital Role of Problem­solving Competence in New Product Succes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8:1), pp. 81-98. 

  22. Bailey, C. J., and Card, K. A. 2009. "Effective pedagogical practices for online teaching: Perception of experienced instructor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2:3), pp. 152-155. 

  23. Bolliger, D.U., and Martindale, T. 2004. "Key factors for determining student satisfaction in online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on E-Learning (3:1), pp. 61-67. Retrieved from http://www.aace.org/pubs/ijel/. 

  24. Chen, Y., Chen, N.S., and Tsai, C.C. 2009. "The use of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for web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Computers & Education, (53:4), pp. 1155-1166. 

  25. Chin, W. W. 1998.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295:2), pp. 295-336. 

  26. Coppola, N. W., Hiltz, S. R., and Rotter, N. G. 2002. "Becoming a virtual professor: Pedagogical roles and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8:4), pp. 169-189. 

  27. Garrison, D. R., Anderson, T., and Archer, W. 2000.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2-3), pp. 87-105. 

  28. Garrison, D. R., and Arbaugh, J. B. 2007. "Researching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Review,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 pp. 157-172. 

  29. Goodhue, D. L., Lewis, W., and Thompson, R. 2012. "Does PLS have advantages for small sample size or non-normal data?," MIS Quarterly (36:3), pp. 981-1001. 

  30. Hahn, D., Minola, T., Van, G., A., and Huybrechts, J. 2017.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learning at universities: exploring multilevel contingencies,"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29: 9-10), pp. 945-974. 

  31. Hair Jr, J. F., Hult, G. T. M., Ringle, C., and Sarstedt, M. 2017.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Sage Publications. 

  32. Heeter, C. 1992. "Being The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 and Virtual Environments (1:2), pp. 262-271. 

  33. Jolliffe, A., Ritter, J. and Stevens, D. 2001. The online learning handbook: Developing and using web-based learning. London, England, pp. 1-323. 

  34. Keengwe, J., and Kidd, T. T. 2010. "Towards best practices in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6:2), pp. 533-541. 

  35. Leong, P., Ho, C., and Saromines-Ganne, B. 2002.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Web-based courses.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s World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 Higher Education (E-LEARN), pp. 1792-1795. Montreal, Canada. Retrieved from http://www.editlib.org/p/9442. 

  36. Leong, P., 2011. "Role of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absorp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Distance Education (32: 1), pp. 5-28. 

  37. Lowenthal, P. R., and Dunlap, J. C. 2014. "Problems measuring social presence in a community of inquiry," E-Learning and Digital Media (11:1), pp. 20-31. 

  38. Mayfield, J., Mayfield, M., and Kopf, J. 1995. "Motivating Language: Exploring Theory with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2:4), pp. 329-344. 

  39. Mindflash 2020. http://mindflash.com/elearning-glossary/asynchronoussynchronous. 

  40. Moore, M., and Kearsley, G. 2012. Distance educat ion: A systems view of on line learning (3rd ed.), Belmont, CA: Wadsworth. 

  41.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42. Piccoli, G., Ahmad, R., and Ives, B. 2001. "Web-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 Research Framework an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Effectiveness in Basic IT Skills Training," MIS Quarterly (25:4), pp. 401-426. 

  43. Pittaway, L., and R. Thorpe. 2012. "A Framework for Entrepreneurial Learning: A Tribute to Jason Cope,"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 24:9-10), pp. 837-859. 

  44. Politis, D. 2005. "The Process of Entrepreneurial Learning: A Conceptual Framework,"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9:4), pp. 399-424. 

  45. Saris, W. E., Satorra, A., and Van der Veld, W. M. 2009.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 detection of misspecific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6:4), pp. 561-582. 

  46. Sosik, J. J. and Lee, D. L. 2002. "Mentoring in organizations: A social judgment perspective for developing tomorrow's leaders,"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8:4), pp. 17-32. 

  47. Sun, A., and Chen, X. 2016. "Online education and it effective practice: A research review,"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 15), pp. 157-190, Retrieved from http://www.informingscience.org/Publicatios/3502. 

  48. Tallent-Runnels, M. K., Thomas, J. A., Lan, W. Y., Cooper, S., Ahern, T. C., Shaw, S. M., and Liu, X. 2006. "Teaching courses online: A review of the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6:1), pp. 93-135. 

  49. Wang, M., J. and Kang, M. 2006.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Dordrecht, pp. 225-253. 

  50. Zantow, K., Knowlton, D. S., and Sharp, D. C. 2005. "More than Fun and Games: Reconsidering the Virtues of Strategic Management Simulations,"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and Education (4:4), pp. 451-4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