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드라마의 연애 서사와 담론 분석 : <연애 플레이 리스트> 중심으로
Analysis of Love Narratives and Discourse of Web Drama : Focusing on the Web Dram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6, 2020년, pp.64 - 76  

태보라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제작된 웹드라마는 대부분 젊은 세대를 타깃으로 하였으며 연애를 주요 소재로 콘텐츠를 구성한다. 따라서 '삼포 세대'가 증가하며 연애와 결혼이 사회의 중요한 쟁점이 되는 현시점에 젊은 세대들이 열광하는 콘텐츠에서는 어떠한 연애서사와 담론이 생성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높은 누적 조회수를 기록하며 국내 최초 시즌4까지 제작된 웹 드라마 <연애 플레이 리스트>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연애서사의 특성을 이해하고, 서사 구조 및 댓글을 토대로 어떠한 담론이 형성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작품의 서사에서는 네 커플의 연애과정을 에피소드식으로 구성하여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커플들의 만남, 이별과 재회를 현실적으로 조명하였고, 연애과정에서 겪는 고민과 갈등의 해결법을 제시하며, 인물들의 감정적 상태를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또한 이용자 댓글에서는 이성(異性)친구 사이에서 우정과 사랑을 혼동하는 관계적 담론, 연인 외 제3의 인물을 적대시하는 담론, 연애과정에서 정형화된 성역할 담론 등이 생성되었으며, 주체적인 연애 스타일을 추구하고 연애사를 공유하고 공감하는 문화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웹 드라마 연애서사의 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댓글을 통해 생성된 담론과 사회적 실천과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후속 콘텐츠 제작 및 분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nted to examine what narratives and discourse were being formed in web drama contents young generations were going crazy abou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ove epics and to know what narratives were being formed based on narrative structures and comments, this researc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부각되는 담론의 주제와 의미를 알아내고, 댓글의 분석을 통해 주요 담론과 사회적 실천이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 고찰할 것이다. 결국 미디어의 비판적 담론 분석이라는 광의의 개념 안에서 웹 드라마 속에 나타난 젊은 계층의 연애 서사와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 단, 이 연구에서는 웹 드라마의 주 이용자 계층의 연령대와 관심사를 고려하여 정치적 권력의 담론 영역을 벗어나, 젊은 계층의 주요 관심사이자 콘텐츠의 중심 소재인 연애에 초점을 맞추어 어떠한 담론이 생성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하며, 이러한 담론이 사회적 실천과 어떠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웹 드라마는 영상 중심의 콘텐츠이기 때문에 텍스트 분석 과정에서 언어학적으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보다는 통합체적으로 서사 구조의 특성을 분석한 내용에 중점을 두어 주요 담론을 추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의 서사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여 젊은 계층의 지지를 받는 웹 드라마에 나타난 연애 서사의 주요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 단, 이 연구에서는 웹 드라마의 주 이용자 계층의 연령대와 관심사를 고려하여 정치적 권력의 담론 영역을 벗어나, 젊은 계층의 주요 관심사이자 콘텐츠의 중심 소재인 연애에 초점을 맞추어 어떠한 담론이 생성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하며, 이러한 담론이 사회적 실천과 어떠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웹 드라마는 영상 중심의 콘텐츠이기 때문에 텍스트 분석 과정에서 언어학적으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보다는 통합체적으로 서사 구조의 특성을 분석한 내용에 중점을 두어 주요 담론을 추출하고자 한다. 실제 페어클라우의 비판적 담론 분석에서 텍스트 분석은 단순한 언어학적 구조의 분석에 목적을 두기보다 심층적 의미 분석이 주요하다고 본다.
  • 이 연구 에서는 웹 드라마에서 주요 소재로 사용되는 연애 서사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플리>의 전체 에피소드를 통합체 분석하여 웹 드라마에 나타난 서사와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텍스트의 전체적인 연애 서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보면 채트먼(Chatman)의 통합체 분석을 통해 웹 드라마의 서사적 특성을 살펴본 기존 연구에서는 단순한 플롯 구성과 분절된 서사구조를 지향하는 특성을 발견하였고[8], 서사분석을 통해 소수의 인물이 등장하며 단순하고 계열체적 특성이 강한 에피소드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아냈다[19]. 이 연구 에서는 웹 드라마에서 주요 소재로 사용되는 연애 서사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플리>의 전체 에피소드를 통합체 분석하여 웹 드라마에 나타난 서사와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텍스트의 전체적인 연애 서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웹 드라마 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연애 서사의 특성을 이해하고, 서사 구조와 이용자 댓글을 바탕으로 어떠한 연애관련 담론이 형성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호학적 분석과 담론 분석을 실시하였다.
  • 예를 들어 전형적인 성역할이 작용하는 서사에서는 여성이 남성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자신의 삶이나 연애를 계획하고 살아나 가려는 모습을 추가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 작품의 서사는 젊은 세대의 연애과정을 자연스럽고 현실적으로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유형의 커플 사례를 제시해 줌으로써 정형화된 성역할과 성 평등의 가치가 혼재된 젊은 세대의 연애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 <연플리>의 댓글에서는 단순한 응원의 글부터 배우의 외모 및 연기평가, 캐릭터의 특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특히 다양한 커플의 서사 속 연애과정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밝힌 댓글을 다수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댓글을 통해 작품 속 연인의 행동을 비판 하거나 응원하며 공감을 하는 차원을 넘어서 본인의 연애 사를 비교하거나 함께 공유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댓글에서는 타 이용자와의 감정적 공감과 의견 공유를 위해 논하고자 하는 영상의 정확한 분(minute)과 초 (second)를 제시하였다.
  • 준모는 오랫동안 썸의 관계에 있던 도영에게 용기내서 고백을 한다. 현승과 지원은 이별을 극복하기 위해 애쓰고, 그 과정에서 지원은 자상한 승혁 선배를 만나보려고 한다. 그러나 이후 현승과 지원은 진솔한 마음을 털어놓고 서로를 이해하게 되며 다시 재회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 S. Lee, "Web Series, YouTube, and Politics: Affective and Emotional Dimensions of WIGS Lauren's User Comments," Social Media+Society, Vol.5, No.1, pp.1-12, 2019. 

  2. S. Kruger and G. C. Rustad, "Coping with Shame in a Media-saturated Society: Norwegian Web-series Skam as Transitional Object," Television & new media, Vol.20, No.1, pp.72-95, 2019. 

  3. M. Tofler, C. Batty, and S. Taylor, "The comedy web series: Reshaping Australian script development and commissioning practices," The Australasian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8, No.1, pp.71-84, 2019. 

  4. 정윤경, "웹드라마의 선택 요인과 소비 집중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28권, 제1호, pp.53-85, 2016. 

  5. 박수철, 반옥숙, 박주현, "웹드라마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6권, 제2호, pp.47-70, 2015. 

  6. 김동하, 남정숙, "웹드라마의 등장과 한국 포털의 대응전략-네이버의 영상 서비스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3권, 제3호, pp.35-50, 2015. 

  7. 차동민, 성정환, "온라인 동영상 시청 플랫폼의 정보구조 탐색-웹드라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135-143, 2019. 

  8. 김미라, 장윤재,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298-330, 2015. 

  9. 김은성, 강지영, "새로운 장르로서 웹드라마의 가능성 고찰-장르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69-83, 2016. 

  10. 류재형, "웹드라마 의 내레이션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399-413, 2018. 

  11. 정지윤, 웹드라마의 부상과 모바일 콘텐츠로서의 가치, KT 경제경영연구소, 2014. 

  12. 문선영, "웹으로의 이동과 확장, 최근 학원물 드라마의 경향," 한국극예술연구, 제62호, pp.95-122, 2018. 

  13. 강여경, 양옥빈, 임성준 "한국 웹 드라마의 흥행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략경영연구, 제21권, 제3호, pp.1-28, 2018. 

  14. 유세경, 김명소, 이윤진,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1호, pp.245-288, 2004. 

  15.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6. 김인식, "롤랑 바르트의 초기 기호학: 바르트의 기호학적 모험1," 기호학연구, 제1권, 제1호, pp.39-61, 1995. 

  17. 김지운, 방정배, 정재철, 비판 커뮤니케이션 비판이론.정치경제.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8.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1,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9. 전경란,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및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pp.463-489, 2015. 

  20. 박은하,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이야기구조와 남녀주인공의 특성: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48-59, 2014. 

  21. 김정애, " 에 나타난 남녀 관계의 특성과 긍정적 연애서사의 가능성," 고전문학과 교육, 제19호, pp.31-57, 2010. 

  22. 김수아, "드라마에 나타난 사랑과 분노: 아침 일일 연속극 내러티브와 여성 인물 분석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제7권, 제1호, pp.133-167, 2014. 

  23. 김지혜, "TV드라마에 나타난 연애 각본의 변형과 젠더/섹슈얼리티 재현에 대한 연구," 젠더와 문화, 제7권, 제2호, pp.7-40, 2014. 

  24. 백선기, 미디어 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25. P. Brian, Discourse analysis, Bloomsbury, 2012. 

  26. N. Fairclough, Discourse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1992. 

  27. N. Faircl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ongman, 1995. 

  28. 정재철, "한국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소통학보, 제28권, pp.297-322, 2015. 

  29. 김은성, 강지영, "새로운 장르로서 웹드라마의 가능성 고찰-장르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69-83,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