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직무적합성과 조직적합성이 직무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Personal Job-Organizational Fit of Social Workers on Job Loss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6, 2020년, pp.211 - 219  

김태형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상실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러한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로,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적합성 정도는 보통 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은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보상 공정성은 보통 보다는 조금 낮은 수준, 절차 공정성은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종속변수인 직무상실감 정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둘째로,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상실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러한 영향은 조직공정성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 job-organizational fit and job loss perceived by social work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orkers in Gwangju.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직무 및 조직적합성이 직무 상실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직공정성(보상공정, 절차공정)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은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모든 변인에서 VIF 계수가 3.
  • 본 연구는 개인직무·조직적합성이 직무상실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기관 종사자의 개인직무 및 조직적합성과 직무상실감의 관계를 검증함에 있어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연구모형을 검증하기에 앞서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수의 평균치를 중심으로 센터링(평균 중심화)시킨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방법은 해당 변수의 평균을 빼서 편차 점수(예: 독립변수 - 독립변수 평균)를 구하는 방법으로 독립변수와 상호작용변수 간에 생기는 높은 상관관계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한다. 4단계에서는 3단계에서 투입된 변수와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을 추가로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실제로 선행연구를 통해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생산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와 심리적 일탈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10]를 보고하고 있으며, 인사고과 상황에서의 직무만족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11]. 이러한 선행 연구의 이론과 실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 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개인직무적합성 및 조직적합성은 개인이 조직을 위해 헌신하고 노력을 기울이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1]되고 있으며, 조직원의 직무에 대한 심리적·정서적 욕구 충족[14], 사회복지사의 일탈적 과업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6].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개인직무적합성 및 조직적합성이 직무상실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침을 가정하며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실제로 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직무상실의 위협감을 인식하지 않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강조되고 있는데[7][8], 이는 단순히 구성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 차원을 넘어 조직의 가치를 공유하고 조직의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준을 유지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에 조직구성원 개인의 직무와 조직의 문화에 얼마나 적응하고 가치를 공유하는지에 대한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적합성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직무상실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보상공정성은 개인직무 및 조직적합성과 직무상실감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셋째, 과정공정성은 개인직무 및 조직적합성과 직무상실감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첫째, 개인직무 및 조직적합성은 직무상실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임진섭, 정혜원, 김태형, "사회복지사의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2호, pp.35-69, 2017. 

  2. 김태형, 손인봉,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및 네트워크의 조절효과," 장애인복지연구, 제10권, 제1호, pp.39-64, 2019. 

  3. 문호성,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9권, 제1호, pp.53-81, 2014. 

  4. 손인봉, 김태형, "조직신뢰가 업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중증장애인 생산품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GRI연국논총, 제21권, 제2호, pp.23-50, 2019. 

  5. 장윤정, "공공, 민간 사회복지사가 이직의도 결정요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61-382, 2011. 

  6. 정상원, 송은지, 이혁준, "사회복지사의 직무적합성과 직무상실가능성이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435-463, 2014. 

  7. U. Kinnunen, S. Mauno, J. Natti, and M. Happonen, "Organizational antecedents and outcomes of job insecurity: A longitudinal study in three organizations in Finland,"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No.4, pp.443-459, 2000. 

  8. S. J. Koesterer, "The reliability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 security in the survivors of a corporate downsizing (Webster University, 1994),"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Vol.55, No.12, pp.39-15, 1994. 

  9. 박재춘, "절차 및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분배공정성의 조절효과," 교육행정학연구, 제31권, 제3호, pp.97-130, 2013. 

  10. 박상언, 김민용, "직무요구와 직무소진 그리고 조직공정성 요인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2호, pp.367-388, 2006. 

  11. 이광희, 황규대, "고과결과에 대한 지각, 결과변수 그리고 공정성 지각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제10권, 제1호, pp.27-54, 2002. 

  12. J. R. Edwards,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John Wiley & Sons., 1991. 

  13. K. J. Lauver and A. Kristof-Brown,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 organization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9, No.3, pp.454-470, 2001. 

  14. M. Meckler, B. H. Drake, and H. Levinson, "Putting psychology back into psychological contracts,"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 Vol.12, No.3, pp.217-228, 2003. 

  15. 고종욱, 서상혁,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지방공무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5권, 제4호, pp.117-136, 2003. 

  16. 박종주, 류지원, "공무원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 유효성과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전라북도 일반직 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0권, 제1호, pp.25-48, 2006. 

  17. M. A. Konovsky and R. Cropanzano, "Perceived fairness of employee drug testing as a predictor of employee attitudes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No.5, p.698, 1991. 

  18. S. J. Ashford, C. Lee, and P. Bobko, "Content, cause, and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A theory-based measure and substantive tes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2, No.4, pp.803-829, 1989. 

  19. S. Mauno and U. Kinnunen, "Perceived job insecurity among dual­earner couples: Do its antecedents vary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ector and the measure used?,"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5, No.3, pp.295-314, 2002. 

  20. 서여주, 직무불안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1. D. F. Caldwell and C. A. O'Reilly III, "Measuring person-job fit with a profile-comparison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5, No.6, p.648, 1990. 

  22. 박태윤, 직무적합성, 절차적 공정성과 종업원의 태도간 관계에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3. J. R. Edwards,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John Wiley & Sons, 1991. 

  24. 정효선, 외식산업 종사원의 기업윤리 인식.실천 정도가 개인조직적합성,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5. T. R. Tyler and R. J. Bies, Beyond formal procedure: The interoersonal contest of procedural justice, IN J. Carrol (Ed.), Advances in applied social psychology, Business settings, 1989. 

  26. J. L. Price and C. W. Mueller, Handbook of organizational measurement, Marshfield, MA., 1986. 

  27. 강은나, 조직공정성이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8. R. Folger and M. A. Konovsky,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2, pp.115-130, 1989. 

  29. R. H. Moorman, The Role of Cognition and Disposition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Study of Personality and Perceived Fairness, U npublished Ph.D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199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