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계상실경험자의 사건중심성과 의미재구성의 관계: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Decentering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Meaning Reconstruction on Relational Loss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6, 2020년, pp.445 - 459  

김순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이수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관계상실 경험자의 사건중심성이 의미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탈중심화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범위로 관계상실을 경험한 20세 이상 성인남녀 295명(남 109명, 여 186명)을 대상으로 상실경험 관련 질문지, 사건중심성 척도, 탈중심화 척도 및 애도에 대한 의미재구성 척도를 사용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로 사건중심성과 탈중심화는 의미재구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탈중심화가 사건중심성과 의미재구성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중심성에서 의미재구성으로 가는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사건중심성이 탈중심화를 매개할 경우에만 의미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centering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meaning reconstruction, based on relational loss experiences. To do so, surveys were conducted on 295 people(male: 109, female: 186) who would experience relational loss and be over 20 years o...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55)

  1. 홍구화,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한 효과적인 위로 사역, 한국기독교신학 논총, p.67, 2009. 

  2. 임선영, 권석만,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처리 방략과 신념 체계의 특성: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제32권, 제3호, pp.567-588, 2013. 

  3.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Evaluation Resource Gain: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Posttraumatic Growth,"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56, pp.396-406, 2004. 

  4. M. M. Danforth and J. C. Glass, "Listen to my words, give meaning to my sorrow: A study in cognitive constructs in middle-age bereaved widow," Death Studies, Vol.25, pp.513-529, 2001. 

  5. J. M. Gillies and R. A. Neimeyer, Loss, grief, and search for significance: toward a model of meaning reconstruction in bereavement: Constructing a Measure. The University of Memphis, 2006. 

  6. 박소윤, 사건중심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 D. Berensten and D. C. Rubin, "The Centrality of Event Scale: A Measure of Integrating a Trauma into One's Identity and its Relation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4, pp.219-231, 2006. 

  8. A. Boals and D. Shuettler, "Double-edged Sword: Event Centrality, PTSD and Posttraumatic Growth,"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Vol.2, pp.817-822, 2010. 

  9. 서정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외상후 성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건중심성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0. 조명숙, 이영호, "사건중심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0권, 제3호, pp.629-640, 2011. 

  11. A. Boals, J. M. Steward, and D. Shuettler,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Posttraumatic Growth by Considering Event Centrality," Journal of Loss and Trauma, Vol.15, pp.518-533, 2010. 

  12. R. G. Tedeschi, L. G. Calhoun, and A. Cann, "Evaluating Resource Gain: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Posttraumatic Growth,"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56, pp.396-406, 2004. 

  13. 김빛나,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4. R. E. Ingram and S. D. Hollon,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from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In R. E. Ingram (Eds),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es to clinical psychology (pp.259-281), London: Academic Press, 1986. 

  15. Z. V. Segal, J. M. G. Williams, and J. D. Teasdal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02. 

  16. L. G. Calhoun, A. Cann, R. G. Tedeschi, and J. McMillan,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13, pp.521-527, 2000. 

  17. L. G. Calhoun and R. G. Tedeschi,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18. 최승미, 외상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9. 장경숙, 탈중심화와 조망수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반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0. C. G. Davis, S. Nolen-Hoeksema, and J. Larson,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ing from the experience: Two construals of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5, pp.561-574, 1998. 

  21. 윤운영, "대학생의 청소년기 상실경험에 대한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조절 방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316, 2019. 

  22. R. A. Neimeyer and A. Anderson, Meaning reconstruction theory . In N. Thompson (Ed.), Loss and grief, New York: Palgrave, 2002. 

  23. S. Folkman, Revised coping theory and the process of bereavement. In M. Stroebe, R. Hansson, W. Stroebe, and H. Schut, (Eds.), Handbook of bereavement research: Consequences, coping and care (pp.563-584),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 

  24. M. Armour, "Meaning making in the aftermath of homicide," Death Studies, Vol.27, pp.519-540, 2003. 

  25.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No.3, 1996. 

  26.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7. S. E. Taylor,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A theory of cognitive adap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38, pp.1161-1173, 1983. 

  28. C. L. Park and S. Folkman,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1, pp.115-144, 1997. 

  29. 임선영, 외상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 상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0. 최선재,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1. J. D. Teasdale, R. G. Moore, H. Hayhurst, M. Pope, S. Williams, and Z. V. Segal,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elapse in depression: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0, No.2, pp.275-287, 2002. 

  32. 김준범, 탈중심화 척도개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3. 엄미선, 핵심신념 붕괴, 침투적 및 숙고적 반추,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탈중심화의 조절효과검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4. D. Berenstsen and D. C. Rubin, "When a Trauma Becomes a Key to Identity: Enhanced Integration of Trauma Memories Predic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Vol.21, pp.417-431, 2007. 

  35. L. Greening, L. Stoppelbein, and R. Docter, "The mediating effects of attributional style and event-specific attributions on postdisaster adjustment,"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6, pp.261-274, 2002. 

  36. S. Barton, A. Boals, and L. Knowles, "Thinking about Trauma: The Unique Contributions of Event Centrality and Posttraumatic Cognitions in Predicting PTSD and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26, pp.718-726, 2013. 

  37. J. M. Groleau, L. G. Calhoun, A. Cann, and R. G. Tedeschi, "The Role of Centrality of Events in Posttraumatic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Trauma, Vol.5, No.5, pp.477-483, 2013. 

  38. S. L. Lancaster, M. Kloep, B. F. Rodriguez, and R. Westaon, "Event Centrality,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the Experience of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Vol.22, pp.379-393, 2013. 

  39. P. A. Linley and S. Joseph,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17, pp.11-21, 2004. 

  40. R. Janoff-Bulman, Shattered assumptions: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ew York: Free Press, 1992. 

  41. 김경은, 애착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 정신화와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2. A. Cann, L. G. Calhoun, R. G. Tedeschi, K. N. Triplett, T. Vishnevsky. and C. M. Lindstorm,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Vol.24, No.2, pp.137-156, 2011. 

  43. 김진수, 서수균,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0권, 제3호, pp.793-809, 2011. 

  44. E. Kross and O. Ayduk, "Making meaning out of negative experiences by self-distancing,"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20, pp.187-191, 2011. 

  45. E. Kross, O. Ayduk, and W. Mischel, "When asking "why" does not hurt. Distinguishing rumination from reflective processing of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Science, Vol.16, pp.709-715, 2005. 

  46.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pp.1311-1327, 2001. 

  47. J. D. Teasdale, R. G. Moore, H. Hayhurst, M. Pope, S. Williams, and Z. V. Segal,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relapse in depression: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0, No.2, pp.275-287, 2002. 

  48. 최선재, 안현의, "상실 경험의 의미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4권, 제1호, pp.323-341, 2010. 

  49. M. Baron an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50.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 Issue and applications (pp.56-75), Newbury Park, CA: Sage, 1995. 

  51. R. J. Fazio and L. M. Fazio, "Growth through loss: promoting healing and growth in the face of trauma, crisis, and loss," Journal of Loss and Trauma, Vol.10, pp.221-252, 2005. 

  52. D. M. Fresco, Z. V. Segal, T. Buis, and S. Kennedy, "Relationship of posttreatment decentering and cognitive reactivity to relapse in major depres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5, No.3, pp.447-455, 2007. 

  53. 전희정, "애도상담자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607-608, 2018. 

  54. L. G. Calhoun and R. G. Tedeschi, Posttraumatic growth: The positive lessons of loss. In R. A. Neimeyer (Eds.), Meaning reconstruction and the experience of lo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157-172, 2001. 

  55. C. L. Park, L. H. Cohen, and R. L. Murch,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Vol.64, No.1, pp.71-105, 199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