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 분석 : '마스크 5부제'를 중심으로
Mass Media and Social Media Agenda Analysis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5-day Rotation Mask Distribution System'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6, 2020년, pp.460 - 469  

이새미 (동아대학교 스마트 거버넌스 연구센터) ,  유승의 (동아대학교 스마트 거버넌스 연구센터) ,  안순재 (동아대학교 스마트 거버넌스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최근 이슈로 떠오르는 '마스크 5부제'에 대한 온라인 뉴스 기사와 카페글을 분석하여 언론과 대중들의 반응을 담고 있는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를 파악하고, 그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분석을 위해 네이버 뉴스 기사 전문 2,096건과 카페글 1,840건을 수집하고 데이터 전처리 과정과 정제과정을 거쳐 단어 빈도분석, 워드 클라우드,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매스 미디어에 비해 소셜 미디어는 '대리 구매', '개학 연기', '마스크 사용', '마스크 구입'과 같이 실생활 관련 토픽이 나타나 개인 미디어의 특성이 반영되어 정보 전달의 기능 보다는 개인의 의견, 감정, 정보를 교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적용된 연구방법의 적용으로 다양한 미디어 분석을 통해 사회이슈가 공중의제화되고, 정부의제로 진화하는 정책의제설정 과정에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online news articles and cafe articles on the '5-day Rotation Mask Distribution System', which is emerging as a recent issue due to the COVID-19 incident, to identify the mass media and social media agendas containing media and public reactions. This study figured out the differ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마스크 5부제에 대한 온라인 뉴스와 소셜 미디어 텍스트의 실증 분석을 통해 두 매체 간 의제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전통적 미디어인 뉴스와 인터넷 발달에 따른 온라인 사회참여로 활성화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공중의 의제설정을 살펴본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이슈로 떠오른 마스크 5부제에 대한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의제를 분석하였다. 두 미디어의 분석을 위해 뉴스 기사와 카페글을 수집하였고,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단어 빈도분석, 워드 클라우드,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마스크 5부제에 대한 온라인 뉴스와 소셜 미디어 텍스트의 실증 분석을 통해 두 매체 간 의제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전통적 미디어인 뉴스와 인터넷 발달에 따른 온라인 사회참여로 활성화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공중의 의제설정을 살펴본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전통적 미디어인 언론 즉, 매스 미디어만을 대상으로 미디어의제를 파악하였으며 정책의제설정의 관점에서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역할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7][8].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Co-creation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 현상과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특성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creation이란 무엇인가? Co-creation은 경영학에서 출발한 개념으로서 공급자만에 의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창출되는 것이 아닌, 소비자도 가치를 함께 만들어 가는 즉, 공동 가치의 창출을 의미한다[22].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Co-creation 개념을 토대로 현 시대의 온라인 사회참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마스크 5부제에 대한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의제를 분석한 텍스트 마이닝 결과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두 미디어의 분석을 위해 뉴스 기사와 카페글을 수집하였고,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단어 빈도분석, 워드 클라우드,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를 통해 매스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 의제는 상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대중의 사회참여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이러한 Co-creation 개념을 바탕으로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 사회참여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그중 소셜 미디어를 통한 대중의 사회참여는 스마트폰 사용자와 SNS 가입자 수의 증가와 더불어 사회적 의제의 선택과 트렌드 발생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소셜 미디어는 기존 매스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던 단방향 의제설정에서 벗어나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새로운 개인 미디어로서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윤화, "SNS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Report, 제16권, 제7호, pp.1-9, 2019. 

  2. F. Kujur and S. Singh, "Engaging customers through online participation in social networking sites," Asia Pacific Management Review, Vol.22, No.1, pp.16-24, 2017. 

  3. 홍순구, 유승의, 김나랑, 이태헌, 이새미, 안순재, 스마트 거버넌스 정책과정의 혁신, 유원북스, 2020 

  4. 이새미, 홍순구, "특허 및 뉴스 기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정책의제 제안,"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3호, pp.1-12, 2020. 

  5. 안순재, 유승의, 홍순구, "전이학습을 활용한 비정형 정책데이터 감성분석 모델제안,"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31권, 제2호, pp.405-414, 2020. 

  6. 정진명, 유기영, 구찬동, "교육정책관련 여론탐색을 위한 소셜 미디어 감정분석 연구," 정보화정책, 제24권, 제4호, pp.3-16, 2017. 

  7. 홍유정, 황주성, "정책의제설정에서 소셜미디어와 매스미디어의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 광주 인화학교사건(도가니) 을 사례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6권, 제1호, pp.115-151, 2015. 

  8. 이수련, 최은정,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SNS 와 언론의 이슈에 대한 반응 비교-"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2호, pp.277-284, 2020. 

  9. 남궁근, 정책학(제3판), 법문사, 2017. 

  10. 이동근, "일간신문과 블로그의 '미디어 간 의제설정': '최순실 게이트'사건 보도 비교 분석," 정치정보연구, 제22권, 제2호, pp.53-90, 2019. 

  11. 이종혁, 길우영,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뉴스 의제 분류와 미디어 다양성 분석: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관련 뉴스 분석을 통해," 한국방송학보, 제33권, 제1호, pp.161-196, 2019. 

  12. 최가희, 권상희, "영화뉴스와 소셜구전 (WoM) 의 상관관계 연구: 영화뉴스의 매체 간 의제설정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4권, 제1호, pp.289-326, 2020. 

  13. 김경래, 나인섭,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정책선거," 인문사회과학연구, 제36권, pp.5-30, 2012. 

  14. 채영길,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SNS: Save Jeju Island (SJI) 운동 사례,"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89-102, 2014. 

  15. 홍주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Social Network Service) 상의 담론 분석을 통한 인지적, 정서적 측면의 여론 변화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9권, 제3호, pp.5-29, 2011. 

  16. 김성태, 김혜령, "인터넷을 통한 의제파급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포털사이트를 중심으로," 평화연구, 제19권, 제2호, pp.297-331, 2011. 

  17. 이승희, 송진, "재난보도에 나타난 소셜 미디어와 방송 뉴스의 매체 간 의제설정: 세월호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6호, pp.7-39, 2014. 

  18. M. E. Grabe and J. G Myrick, "Informed citizenship in a media-centric way of lif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6, No.2, pp.215-235, 2016. 

  19. M. Deuze, "The changing context of news work: Liquid journalism for a monitorial citizenr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 pp.1-18, 2008. 

  20. 강성남,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정책 거버넌스의 변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제4호, pp.261-287, 2014. 

  21. 김성태, 이영환,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의제 파급 (Agenda-Rippling) 과 역의제 설정 (Reversed Agenda-Setting) 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3호, pp.175-204, 2006. 

  22. C. K. Prahalad and V. Ramaswamy, "Cocreation experiences: The next practice in value creation,"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8, No.3, pp.5-14, 2004. 

  23. 홍순구, 이현미, 한세억, 김종원, "청년층 일자리 창출문제에서 Co-creation 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91-102, 2015. 

  24. 조화순, 김정연, "소셜 미디어의 매체 특성과 참여의 커뮤니케이션: 반값등록금 관련 블로그와 트위터 내용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2호, pp.95-130, 2012. 

  25. 정지원, 이재민, 최소연,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언론에서의 장애인 노동의제 분석," 장애의 재해석, 제11권, pp.48-100, 2018. 

  26. R. Alghamdi and K. Alfalqi, "A Survey of Topic Modeling in Text M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omputer Science and Applications, Vol.6, No.1, pp.147-153, 2015. 

  27. 이새미, 유승의, "온라인 리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흰여울문화마을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Vol.19, No.1, pp.115-130, 2020. 

  28. D. M.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5, No.4, pp.77-84, 2012. 

  29. C. Jacobi, W. V. Atteveldt, and K. Welbers, "Quantitative analysis of large amounts of journalistic texts using topic modelling," Digital Journalism, Vol.4, No.1, pp.89-106, 2016. 

  30. 백영민,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한울아카데미, 2020. 

  31. W. Zhao, J. Chen, and W. Zen, "Best practices in building topic models with LDA for mining regulatory textual documents," CDER 9TH NOVEMBER, 2015. 

  32. Y. Lu, M. Qiaozhu, and Z. ChengXiang, "Investigating task performance of probabilistic topic models: an empirical study of PLSA and LDA," Information Retrieval, Vol.14, No.2, pp.178-203,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