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의 분자 아형 분석
Molecular Subtyp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Nasal Cavit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2 no.2, 2020년, pp.128 - 135  

김상하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박성배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박희철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김준성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김정호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이지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임재원 (대구한의대학교 의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김영권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김성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총 39건의 MRSA 분리 배양 균주를 이용해 mecA 유전자 검출,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임상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MRSA 총 39주 중 SCCmec type-II가 24건, type-II/IVa가 2건, type-II/V가 1건, type-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분석되었으며, mec complex type A가 29건, not-typeable이 10건이었으며, type B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된 MRSA 분리 배양 균주 중 SCCmec type-II와 mec complex type A 아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의료기관 획득 MRSA에 관한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후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not-typeable 아형의 MRSA 균주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MRSA 아형 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MRSA 분리 배양 균주의 아형을 분석함으로써 그 분자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bacterium that causes infections in different parts of the body and causes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SSTI).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and molecula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RSA isolat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후 환자에서 분리된 MRSA 분리 배 양 균주를 대상으로 분자유전학적인 분석을 통해 mecA 및 mecB 유전자를 검출하고,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SCC) 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시행하여, MRSA 분리 배양 균주의 아형을 분석한 후,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의료기관 환경에서 분리된 MRSA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분석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항생제 내성 세균에 관한 병원 내 감염관리 및 소독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총 39건의 MRSA 분리 배양 균주를 이용해 mecA 유전자 검출,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임 상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MRSA 총 39주 중 SCCmec type-II가 24건, type-II/IVa가 2건, type-II/V가 1건, type-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분석되었으 며, mec complex type A가 29건, not-typeable이 10건이었 으며, type B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색포도알균은 무엇인가?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병원감염 및 지역사회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의 피부감염, 패혈증 및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등 광범위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S.
포도알균 속의 다양한 종 가운데 황색포도알균이 의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포도알균 속(genus)의 다양한 종(species) 가운데 황색포도알균 (황색포도구균, S. aureus)은 세균 중 가장 병독성(virulence) 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다양하고 심각한 질병을 흔히 일으키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Staphylococcus 속에 속하는 S.
황색포도알균의 주요 형성지와 이동 방식은 무엇인가? 건강한 사람의 피부, 점막, 상기도, 비뇨기, 소화기 등에 정상 상재균 및 주변 환경에도 존재하지만, 피부의 상처나 호흡기를 통하여 쉽게 인체에 감염될 수도 있다. 주요 집락 형성 부위는 비강(nasal cavity)이며, 비강 내 집락화 된 S. aureus는 비말을 통하여 비강에서부터 인체의 다른 부위로 이동 및 정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포도알균 속(genus)의 다양한 종(species) 가운데 황색포도알균 (황색포도구균,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rcher GL, Mayhall CG. Comparison of epidemiologic markers used in investigation of an outbreak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J Clin Microbiol. 1983;18:395-399. 

  2. Bouvet A, Fournier JM, Audurier A, Branger C, Orsoni A, Girard C. Epidemiological markers for epidemic strain and carrier isolates in an outbreak of nosocomial oxa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Clin Microbiol. 1990;28:1338-1341. 

  3. Park JY, Kim SD, Lee JS. Inf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nasal carriage in the community pediatric population. Korean J Epidemiol. 2006;28:171-181. 

  4. Williams RE. Healthy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its prevalence and importance. Bacteriol Rev. 1963;27:56-71. 

  5. Cuevas O, Cercenado E, Bouza E, Castellares C, Trincado P, Cabrera R,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Spain: a multicentre prevalence study (2002). Clin Microbiol Infect. 2007;13:250-256. https://doi.org/10.1111/j.1469-0691.2006.01672.x 

  6. Fujino T, Sekiguchi J, Kawana A, Konosaki H, Nishimura H, Saruta K,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 Tokyo hospital in 2003. Jpn J Infect Dis. 2004;57:83-85. 

  7. Chambers HF. Methicillin resistance in Staphylococci: molecular and biochemical basis and clinical implications. Clin Microbiol Rev. 1997;10:781-791. 

  8. Kim YM, Oh CE, Kim SH, Lee J, Choi EH, Lee HJ.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0;17:9-15. https://doi.org/10.14776/kjpid.2010.17.1.9 

  9. Kim HS, Park SB, Kim SH, Kim S, Hyun SH, Kim YK.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and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 intensive care unit in a Chungnam province, Korea. Korean J Clin Lab Sci. 2018;50:110-117. https://doi.org/10.15324/kjcls.2018.50.2.110 

  10. Zhang K, McClure JA, Elsayed S, Louie T, Conly JM. Novel multiplex PCR assay for characterization and concominant subtyping of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s I to V in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Clin Microbiol. 2005; 43:5026-5033. 

  11. Landrum MI, Neumann C, Cook C, Chukwuma U, Ellis MW, Hospenthal DR, et al. Epidemiology of Staphylococcus aureus blood an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in the US military health system, 2005-2010. JAMA. 2012;308:50-59. https://doi.org/10.1001/jama.2012.7139 

  12. Okuma K, Iwakawa J, Turnidge JD, Grubb WB, Bell JM, O'Brien FG, et al. Dissemination of new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us aureus clones in the community. J Clin Microbiol. 2002;40: 4289-4294. https://doi.org/10.1128/jcm.40.11.4289-4294.2002 

  13. Song JS, Choe PG, Song KH, Cho JH, Kim SH, Bang JH, et al. Multicenter study for frequenc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 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Infect Chemother. 2006;38:325-333. https://doi.org/10.14776/piv.2019.26.e2 

  14. Kang CK, Cho JE, Choi YJ, Jung Y, Kim NH, Kim CJ et al. agr dysfunction affects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dependent clinical outcomes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5;59:3125-3132. https://doi.org/10.1128/AAC.04962-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