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 study on work-family compatibility of female wage workers with underage children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6, 2020년, pp.171 - 181  

Kang, Myung-Hee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성년 자녀를 둔 임금근로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실증 연구이다. 분석 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7차 웨이브의 1,1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적 지원(가정 내 지원, 모성보호 지원, 보육 및 교육서비스)'과 '일자리 특성', '인구사회학적 변인', '남편의 특성'이 '일과 가정의 양립' 및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남편의 직장생활지지, 기업 내의 성차별, 여성의 교육연수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업 내의 성차별, 보육 및 교육시설 이용도, 미성년 자녀수, 남편 연령, 남편의 돌봄 도움만족도, 남편의 직장생활지지는 일과 가정의 갈등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강화하는 방향이 장기적인 정책 방향이라면, 단기적으로는 갈등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의 보완 및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성년 자녀를 둔 임금근로 여성들의 모성보호와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강화시키기 위한 객관적이고 학술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n empirical study that analyzes factors affecting the work-family compatibility of female wage workers with underage childr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113 women from the 7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s for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성년 자녀를 둔 임금근로 여성들의 일과 과정의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조사의 7차 웨이브 데이터 중 미성년 자녀를 둔 임금근로 여성 1,11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일-가정양립의 강화(혹은 갈등) 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미성년 자녀를 둔 임금근로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따라서 상기의 선행연구와 이론적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요인분석의 방법 중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analysis)을 활용하여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이 주성분분석은 서로 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여러 변수들을 그보다 훨씬 적은 변수들의 관계로 간단하게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30]. KMO는 값이 적을수록 요인분석이 적합하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31].
  •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과 일자리 특성, 그리고 여성의 특성과 남편의 특성이 일과 가정의 양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는 연구가 아닌, 기존의 여성가족패널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에 해당하므로 탐색적 연구로 실시되었음을 밝혀둔다.
  • 따라서 상기의 선행연구와 이론적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즉 사회적 지원, 임금근로 여성의 일자리 특성, 여성의 인구사회적 특성, 남편의 특성이 일-가정 양립의강화(혹은 약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에 다음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을 가정 내 지원, 모성보호제도, 양육서비스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가정은 사회생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집단이다. 한국은 빠른 속도로 남성 생계부양 모델(one male breadwinner model)에서맞벌이 생계부양 모델(dual earner model)로 변화하였다.
  •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여성의 정규직 여부[21], 평균 임금과 근로시간[13, 22, 23, 24], 공공부문종사여부[13] 등을 주요한 변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셋째, 개인특성과 남편의 특성이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일과 가정의 양립은 강화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13, 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능동적이고 활동적인 복지국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그결과 리스본 정상회의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하여사회적 통합과 좋은 일자리의 창출을 주요 과제로 선정하게 된다. 능동적이고 활동적인 복지국가는 빈곤 및 사회적약자의 지원 등 기존의 전통적인 복지국가의 역할을 강조함과 동시에, 사람들이 생애주기에 걸쳐 능동적이고 활동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복지국가를 지향한다. 그 결과 여성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투자’의 개념이 강조되는 복지국가 모델을 지향하게 되었다.
인구절벽의 시대는 무엇을 초래하는가? 이러한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인구절벽 현상을 가져올 것이다. 인구절벽의 시대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부양대상자의 증가로 인해 국가 전반의 성장동력이 감소할 것이며, 동시에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증가하여 국가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일과 가정의 양립 문제가 한국 사회에서는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나? 그 이유는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운 현실에서 출산과 아동 양육은 여성의 일자리 이탈을 초래할 것이고, 반대로 노동시장의 이탈을 방지하려면 출산을 기피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사회의 경우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여성들이 출산과 양육의 어려움으로 시장노동(market work)을 포기 혹은 단절하고 돌봄 노동(care work)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tatistics of Korea, movement of population statistical yearbook, 2018. 

  2. G. Esping-Andersen,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P. Taylor-Gooby, "New risks, new welfare: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 W. Luts, V. Skirbekk, and M. R. Testa, "The low fertility trap hypothesis: forces that may lead to further postponement and fewer births in europe", Vienna Yearbook of Population Research, 2006. 

  5. P. McDonald, "Low fertility and the state: the efficacy of policy". Population Development Review, Vol. 32, No. 3, pp. 485-510. Sep. 2006. 

  6. H. Gwak, and E. Choi, "Influence Factor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for Married Women", The Women's Studies, 429-456. Mar. 2015. 

  7. E. Choi, "A Study on Married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and Number of Children", The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 Vol. 13, No. 1, pp. 51-70. Jun. 2016. 

  8. H. Engelhardt, and A. Prskawetz, "On the changing correlation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over space and time",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Vol. 20, pp. 35-62, Mar. 2004. 

  9. J. Lewis, "Employment and care: the policy problem, gender equality and the issue of choice", Journal of Comparative Policy Analysis, Vol. 8, No. 2, pp. 103-144, Aug. 2006. 

  10. S. Leitner, "Varieties of Familialism: the caring fuction of the family in comparative perspective", European Societies, Vol. 4, No. 5, pp. 353-375, Jun. 2003. 

  11. S. F. Mennion, and A. Frayfield, "Job-family trade off", Work and Occupation, Vol. 29, pp. 226-256, May. 2002. 

  12. D. Y. Song, S. J. Jang, and E. J. Kim,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Work-Family Conflict of Korean Working People: Focusing the Effect of Workplace Support and Familial Support", The Journal of Social Welfare Policy, Vol. 37, No. 3, pp. 27-52, Sep. 2010. 

  13. S. Kim, "Analysis of determinants of women's WFC in public organizations",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48, No. 1, pp. 171-196, Mar. 2010. 

  14. S. Cohen, and T. S.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 98, No. 2, pp. 310-357, Feb. 1985. 

  15. S. Lee, and J. Hong, "Does family-friendly policy matter? testing its impact on turnover and perform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76, No. 1, pp. 870-879, Nov. 2011. 

  16. E. Kossek, and C. Ozeki,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2, No. 2, pp. 139-149, Apr. 1998. 

  17. S. Won, and J. Park, "Does Gender Difference Matter?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upon Work-Family Conflicts and Work-Family Enhancement", Women's Studies Review, Vol. 26, No. 2, pp. 3-32, Jun. 2009. 

  18. G. Yoo, "Work-Family Balance Policies Responding to Low Fertil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Society, Vol. 18, No. 1, pp. 111-125, Jun. 2012. 

  19. D. Y. So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Service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The Journal of Social Welfare Policy, Vol. 34, No. 9, pp. 7-33, Sep. 2008. 

  20. M. Ha, and G. Kwon,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Family Income Increase with Child care Service",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Vol. 20, No. 2, pp. 231-256, Jun. 2010. 

  21. Y. Lim, B. Lee, and K. K. Park, "The Causes and Effects of Job-Family Conflict of Married Employee", The Journal of Korean Business Studies, Vol. 34, No. 5, pp. 1417-1443, Oct. 2005. 

  22. S. K. Kim, "The Effects of Korean Working Mothers' Charac teristics on Work-Family Positive Spillover and Negative Spil lover", The Journal of Korean Family Welfare, Vol. 33, pp. 69-94, Aug. 2011. 

  23. S. M. Colllins, R. A. Karasek, and K. Costas, "Job strain and autonomic indice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Vol. 48, No. 3, pp. 182-193, Aug. 2005. 

  24. J. Michel, L. Koraba, J. Mitchelson, M. Clark, and B. Baltes, "Antecedents of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32, pp. 689-725, Jul. 2011. 

  25. J. Zhang, and Y. Liu, "Antecedents of work-family conflict: Review and Prospect",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Vol. 6, No. 1, pp. 89-103, Jan. 2011. 

  26. K. Byron,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7, pp. 169-198, Oct. 2005. 

  27. A. Grandey, L. Bryanne, and A. Crouter, "A longitudinal and multi-source test of the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8, pp. 305-323, Oct. 2005. 

  28. S. E. Cha, and K. H. Han, "Family Role Status and Physical /Mental Health of Men and Women", The Journal of Korean Demography, Vol. 29, No. 2, pp. 167-194, Jun. 2006. 

  29. H. Kim, and M. U. Kim, "The Effect of Confucian Philosophy and gender egalitarian ideology on the Work-Family Balance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Women's Studies, Vol. 81, No. 2, pp. 33-67, Jun. 2011. 

  30. S. Michael, A. Bryman, and F. Tim,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7. 

  31. E. G. Ji, J. H. Son, and M. J.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that Social Workers to Recognize and Examining the Validity",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Vol. 31, No. 1, pp. 161-192, Feb. 2015. 

  32. J. J. Song,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 21 Century Books, 2015. 

  33. J. K. Kim, and J. S. Yang,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Work-Family Balance: A Focus on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50, No. 4, pp. 251-280, Dec. 2012. 

  3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Certification Standards of family-friendly company, 2016. 

  3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anual of improving work style and culture for work-life balance, 2014. 

  36. L. L. Martins, K. A. Eddleston, and J. F. Veiga,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areer satisf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5, No. 2, pp. 399-409, Feb. 2002. 

  37. S. Y. Heo, and H. S. Kim, "Time Use and Division of Housework in Dual-earner Househol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64, pp. 5-29, Jun. 2019. 

  38. S. E. Seibert, M. L. Kraimer,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58, pp. 1-21, Feb. 2001. 

  39. D. Gimeno, F. G. Benavides, B. C. Amick, J. Benach, and J. M. Martinez, "Psychosocial factor and work related sickness absence among permanent and non-permanent employe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 58, pp. 870-876, Oct. 2004. 

  40. G. Kaufmann, and T. Beehr, "Interactions between job stressors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1, No. 3, pp. 522-526, Aug. 1986. 

  41. L. Artazcoz, C. Borrell, and J. Benach, "Gender inequalities in health among workers: the relation with family demand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 55, No. 9, pp. 639-647, Oct. 2001. 

  42. B. Hewitt, J. Baxter, and M. Western, "Family, work and health: the impact of marriage, parenthood and employment on self-reported health of Austrian men and women", Journal of Sociology, Vol. 42, No. 1, pp. 61-78, Mar. 2006. 

  43. I. Kim, "Differences of married women by work status and childbirth",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Vol. 13, No. 1, pp. 1-28, Feb. 2020. 

  44. M. Sun,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experience of marred working women with a infant and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 Women's Studies Review, Vol. 30, No. 1, pp. 77-111, Apr. 2020. 

  45. G. S. Park, "The effect of worker-to-home compatibility on the satisfaction of a spous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10, No. 1, pp. 128-138, Jau.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