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재배 시 바이오차 펠렛 시용 수준에 따른 농업 환경 영향 및 토양 탄소격리 평가
Evaluation of Agro- Environmental Effect and Soil Carbon Sequestration to different Application Ratios of Supplemented Biochar Pellet in the Paddy during Rice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9 no.2, 2020년, pp.114 - 121  

신중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박도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김희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이선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홍승길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Biochar-based fertilizers delay the nutrient release and feature a slow release effect for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advantag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environmental effects of different application ratios of modified biochar pellets supplemented. METHOD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일 회 시용으로 탄소격리, 지력 증진, 생력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이오차 및 가축분뇨를 이용한 펠렛 형태의 완효성 비료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는 벼 재배 시 바이오차 펠렛 시용량에 따른 논물과 토양 중의 화학성 평가, 토양 탄소격리량 평가 및 벼 생육 특성을 고려한 농업 환경 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러므로 기후변화 대응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확대 방안의 하나로 탄소격리가 대두되었으나 농촌 현장에서 바이오차의 투입 시 미세분진이 형성되어 실제로 농경지 살포에 어려움이 있어 바이오차 공급 및 농경지 살포 방법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기간 탄소격리란 무엇인가? 단기간 탄소격리는 토양에서 유기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말하며, 반면 장기간 탄소격리는 열 전환 물질인 바이오차로서 저장되는 것을 말한다. 왕겨나 옥수숫대로부터 전환된 바이오차는 토양에서 장기간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가 있다[14].
왕겨나 옥수숫대로부터 전환된 바이오차는 무슨 효과가 있는가? 단기간 탄소격리는 토양에서 유기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말하며, 반면 장기간 탄소격리는 열 전환 물질인 바이오차로서 저장되는 것을 말한다. 왕겨나 옥수숫대로부터 전환된 바이오차는 토양에서 장기간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가 있다[14]. 바이오차 펠렛을 시용한 논 토양에서 탄소격리량은 2.
왕겨나 옥수숫대로 만든 바이오차 펠렛의 탄소 격리량은 얼마인가? 왕겨나 옥수숫대로부터 전환된 바이오차는 토양에서 장기간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가 있다[14]. 바이오차 펠렛을 시용한 논 토양에서 탄소격리량은 2.94 tonnes ha-1로 산정되었다[13]. 그러므로 기후변화 대응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확대 방안의 하나로 탄소격리가 대두되었으나 농촌 현장에서 바이오차의 투입 시 미세분진이 형성되어 실제로 농경지살포에 어려움이 있어 바이오차 공급 및 농경지 살포 방법 개선이 필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iu X, Zhou J, Chi Z, Zheng J, Li L, Zhang X, Zheng J, Cheng K, Bian R, Pan G (2019) Biochar provided limited benefits for rice yield and greenhouse gas mitigation six year following an amendment in a rice paddy. Catena 179, 20-28. https://doi.org/10.1016/j.catena.2019.03.033. 

  2. Zhang X, Zhang L, Li A (2017) Hydrothermal co-carbonization of sewage sludge and pinewood sawdust for nutrient-rich hydrochar production: Synergistic effects and products character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 52-62. https://doi.org/10.1016/j.jenvman.2017.06.018. 

  3. Subedi R, Bertora C, Zavattaro L, Grignani C (2017) Crop response to soils amended with biochar: expected benefits and unintended risks. Italian Journal of Agronomy, 12, 161-173. 

  4. Domene X, Enders A, Hanley K, Lehmann J (2015). Eco-toxi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iochars: role of feedstock and pyrolysis temperatur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12-513, 552-561.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4.12.035. 

  5. Genesio L, Miglietta F, Baronti S, Vaccari FP (2015) Biochar increases vineyard productivity without affecting grape quality: results from a four years field experiment in Tuscany.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201, 20-25. https://doi.org/10.1016/j.agee.2014.11.021 

  6. Liu WJ, Jiang H, Yu HQ (2015) Development of biochar-based functional materials: toward a sustainable platform carbon material. Chemical Reviews, 115(22), 12251-12285. https://doi.org/10.1021/acs.chemrev.5b00195 

  7. Sun X, Zhong T, Zhang L, Zhang K, Wu W (2019) Reducing ammonia volatilization from paddy field with rice straw derived biochar.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60, 512-518.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8.12.450 

  8. Ding Y, Liu Y, Liu S, Li Z, Tan X, Huang X, Zeng G, Zhou L, Zheng B (2016). Biochar to improve soil fertility. A review. 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36, 1-18. https://doi.org/10.1007/s13593-016-0372-z 

  9. Clough TJ, Bertram JE, Ray JL, Condron LM, O'Callaghan M, Sherlock RR, Wells NS (2010) Unweathered wood bio-char impact on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 bovine-urine amended pasture soi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74(3), 852-860. https://doi.org/10.2136/sssaj2009.0185 

  10. Laird D, Fleming P, Wang B, Horton R, Karlen D (2010) Biochar impact on nutrient leaching from a Midwestern agricultural soil. Geoderma, 158(3-4), 436-442. https://doi.org/10.1016/j.geoderma.2010.05.012 

  11. Knowles OA, Robinson BH, Contangelo A, Clucas L (2011) Biochar for the mitigation of nitrate leaching from soil amended with biosolid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9(17), 3206-3210.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1.05.011. 

  12. Zhang A, Cui L, Pa G, Li L, Hussain Q, Zhang X, Zheng J, Crowley D (2010) Effect of biochar amendment on yield and methane and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 rice paddy from Tai Lake plain, China.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39(4), 469-475. https://doi.org/10.1016/j.agee.2010.09.003. 

  13. Shin J, Jang E, Park S, Ravindran B, Chang S (2019) Agro-environmental impacts, carbon sequestration and profit analysis of blended biochar pellet application in the paddy soil-water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44, 92-98. https://doi.org/10.1016/j.jenvman.2019.04.099. 

  14. Mohan D, Abhishek K, Sarswat A, Patel M, Singh P, Pittman CU (2018) Biochar production and applications in soil fertility and carbon sequestration-a sustainable solution to crop-residue burning in India. Royal Society of Chemistry Advances, 8(1), 508-520. https://doi.org/10.1039/C7RA10353K. 

  15. Mehlich A (1984) Mehlich 3 soil test extractant: A modification of Mehlich 2 extractant.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15(12), 1409-1416. https://doi.org/10.1080/00103628409367568. 

  16. CUI YF, Meng J, WANG QX, ZHANG WM, CHENG XY, CHEN WF (2017) Effects of straw and biochar addition on soil nitrogen, carbon, and super rice yield in cold waterlogged paddy soils of North China. Journal of Integrative Agriculture, 16(5), 1064-1074. https://doi.org/10.1016/S2095-3119(16)61578-2. 

  17. Choi YS, Kim SC, Shin JD (2015) Adsorption characteristics and kinetic models of ammonium nitrogen using biochar from rice hull in sandy loam soil.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8(5), 413-420. 

  18. Lai WY, Lai CM, Ke GR, Chung RS, Chen CT, Cheng CH, Pai CW, Chen SY, Chen CC (2013) The effects of woodchip biochar application on crop yield, carbon sequestra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soils planted with rice or leaf beet. Journal of the Taiw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44(6), 1039-1044. https://doi.org/10.1016/j.jtice.2013.06.028. 

  19. Sui Y, Gao J, Liu C, Zhang W, Lan Y, Li S, Meng J, Xu Z, Tang L (2016) Interactive effects of strawderived biochar and N fertilization on soil C storage and rice productivity in rice paddies of Northeast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44, 203-210.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5.11.079. 

  20. Pokharel P, Chang SX (2019) Manure pellet, Wood chip and their biochars differently affect wheat yield and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bulk and rhizosphere soil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59, 463-472.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8.12.380. 

  21. Wang J, Pan X, Liu Y, Zhang X, Xiong Z (2012) Effects of biochar amendment in two soil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rop production. Plant and Soil. 360, 287-298. 

  22. Zhang A, Bian R, Pan G, Hussain Q, Li L, Zheng L, Zhang X, Han X, Yu X (2012) Effects of biochar amendment on soil quality, crop yield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hinese rice paddy: a field study of 2 consecutive rice growing cycles. Field Crops Research, 127, 153-160. https://doi.org/10.1016/j.fcr.2011.11.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