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골격계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및 시스템 구현
A Study on the Monitoring Technique for Musculoskeletal Safety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3 no.3, 2020년, pp.267 - 276  

신영주 (Department of Healthcare IT, INJE University) ,  주하영 (Department of Healthcare IT, INJE University) ,  양진홍 (Department of Healthcare IT, INJ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조업 근로자는 근무 환경에서 반복 작업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는 신체를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직업 특성상의 문제에 기인한다. 하지만 현재 감시 및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매년 위험에 대한 근로자의 노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U 센서를 사용한 웨어러블 장치 제작을 통해 실제 작업 환경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웨어러블 형태의 장치를 착용 후, 근골격계 움직임에 따른 회전 값을 받아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해낸다. 이때, 바이어스 제거와 누적 오차를 제거해 정교한 데이터 취득하여 이를 동적 임곗값 형식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회전 운동 횟수를 측정해내어 위험도를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 팔꿈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회전 횟수를 측정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본 방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ufacturing workers are easily exposed to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caused by repetitive tasks in their working environment. This is due to problems wi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at repeatedly use the body. However, the current lack of monitoring systems for monitoring and preven...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발한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근골격계 질환을 보유하지 않은 백인제기념도서관의 근로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서관의 작업 특성상 도서 정리 업무 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기에 총 4명의 근로학생이 각각 장치를 착용하고 책을 책장에 정리하는 동작을 분당10회 이상의 반복 작업을 수행한 경우에 대한 결괏값을 기준으로 정확성을 판단하였다.
  • 특히, 지침에서 나타내는 작업 중 분석이 가능한 8개의 동작 중 7개 동작의 유해요인 동작이 반복 작업이 포함된 동작이라는 점과 안전보건공단에서 소개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의 주 원인 중 하나인 반복적인 작업만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부하를 측정하고자 한다[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감시 기법을 통해 근로 중 반복 작업에 의해 자신의 근골격계 과사용을 판단할 수 없는 근로자에게 휴식을 권고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근로자 근골격계 부하 측정을 위한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필수적인 자이로 데이터의 오차를 보완하고 동적 임곗값 형식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피크 값을 검출해내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해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동작 측정 기법을 통해 근로자에게 알맞은 웨어러블 근골격계 안전관리 장치를 제작하는것이 목표이다. 반복 작업에 대한 근골격계 부하를 측정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제정·고시('03.
  • 본 연구에서의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근골격계의 부하는 2018년 12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고시한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의 작업분석 • 평가 도구를 근거로 반복 작업에 의한 근골격계 부하를 중심으로 측정하고자 한다[3].
  • 본 연구에서의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근골격계의 부하는 2018년 12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고시한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의 작업분석 • 평가 도구를 근거로 반복 작업에 의한 근골격계 부하를 중심으로 측정하고자 한다[3]. 특히, 지침에서 나타내는 작업 중 분석이 가능한 8개의 동작 중 7개 동작의 유해요인 동작이 반복 작업이 포함된 동작이라는 점과 안전보건공단에서 소개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의 주 원인 중 하나인 반복적인 작업만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부하를 측정하고자 한다[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감시 기법을 통해 근로 중 반복 작업에 의해 자신의 근골격계 과사용을 판단할 수 없는 근로자에게 휴식을 권고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SHA,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9", pp. 22, April. 2020. 

  2.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Occupational Medical Use from Accident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pp. 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Feb, 2017. 

  3. KOSHA, "Guidelines for investigating hazards of musculoskeletal burden work", pp. 28-31, Dec, 2018 

  4. "Introduc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business", KOSHA, accessed Jun 10, 2020, http://www.kosha.or.kr/kosha/business/musculoskeletal_a_c.do 

  5. K. T. Kim, "Development of an Apparatus to Measure Musculoskeletal Load for Construction Workers Using Acceleromet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1), pp. 167-174, Jan, 2012. 

  6. H. H. Kim, "Development of motion analysis device using inertial measurement device and trend of neck joint research",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The Magazine of the IEEE 43(12), pp. 57-64, Dec, 2016. 

  7. J. H. Lim, J. H. Shim, H. Y. Jung, "IMU/UWB Sensor Fusion Using Moving Average Filter for Indoor Positioning of Mobile Robot",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26(4), pp. 242-248, April, 2020. 

  8. W. C. Jung, J. K. Lee, "IMU-based Position Estimation of Lower Limbs via a Combination of Kinematic Modeling with Minimal Utilization of Magnetometer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26(4), pp. 222-233, April, 2020. 

  9. J. B. Ko, J. S. Yoon, C. K. Lee, T. M. Byeon, J. S. Hong, "A Study on the Determining the Optimal Location of IMU Sensors in Dynamic Balance Measurement by Comparing Absolute Percentage Error between the 3D Motion Capture System and IMU Sensor",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8(6), pp. 419-434, Dec, 2019. 

  10. J. K. Lee and E. J. Park, "Minimum-order Kalman filter with vector selector for accurate estimation of human body ori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Robotics, vol. 25, no. 5, pp. 1196-1201, Oct, 2009. 

  11. G. Ligorio and A. M. Sabatini, "A novel Kalman filter for human motion tracking with an inertial-based dynamic inclinometer,"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62, no. 8, pp. 2033-2043, 2015. 

  12. M. S. Kim, S. K. Park, "Golf Swing Phase Estimation Using Single IMU Located on Different Body Parts",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1701-1702, Nov, 2019. 

  13. S. J. Park, J. K. Park, J. H Choe," Development of a 2D Posture Measurement System to Evaluate Musculoskeletal Workload",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4(3), pp. 43-52, Aug , 2005. 

  14. J. H. Jo, J. N. Kim, J. J. Kim, W. S. Chong, "Development of real-time posture analysis monitoring system by measurement of knee joint angle in ADL", The HCI Society of Korea, pp. 643-646, Jan, 2018. 

  15. Department of Labor, "Hazardous factors investigation method of musculoskeletal burden work", KOSHA, pp. 11-17, 2010. 

  16. K. Y. Pyo, D. M. Lee, H. H. Cho, K. I. Kang, "Development of Measurement Method of Musculoskeletal Load for Construction Workers using Wearable Motion Recognition Sensor",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pp. 123-124, May, 2019. 

  17. McAtamney, L., Corlett, E. N.,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 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24(2), 91-99, 1993. 

  18. Kilbom, A., Assessment of physical exposure in relation to work-related musculos- keletal disorders - Wha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systematic observ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0, 30-45, 1994. 

  19. H. S. Park, Y. K. Lee, S. H. Yim, "Prevention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t Upper or Lower Extremitie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pp. 455-463, Aug.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