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발생가능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Risk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Migrant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24 no.6/1, 2021년, pp.781 - 786  

임형덕 (인제대학교 재난관리학) ,  라지타 가우설야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  남기훈 (창신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domestic workers are trend to avoid harmful and dangerous jobs calls 3D work due to the poor working conditions. Therefore, the incoming population of foreign workers is increasing to fulfill the required labor force. Mostly these foreign workers are placed in small and medium-size industrie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근래에 기계의 자동화ㆍ고도화를 통해 업무상 질병 중 근골격계 질환은 매년 증가하여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각지대에 놓인 외국인근로자의 작업환경을 조사하여 근골격계 질환 발생가능성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외국인근로자들이 작업하는 환경은 중량물과 손목, 팔꿈치의 반복된 작업이 많아 근골격계질환 발생가능성은 아주 높다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 W. Jung,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for Foreign Workers", Law and Policy centre of Jeju University, 22(2), 357-362, 2016. 

  2. S. G. Park, H. I. Chae, J. Y. Shin, etc, "Relationship of Burdened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to- medium-sized Enterpri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18(1), 59, 2006. 

  3. D. Kang, Y. Kim, Y. L. Lee, H. Lee, etc,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korea provoked by workers' collective com pensation claims against work intensification", In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26, Issue 1, p. 19) 2014. https://doi.org/10.1186/2052-4374-26-19. 

  4. M. A. Don RK, S. C. Hong, "Sri Lankan migrant worker perceptions of workplace hazard and safety awareness: Case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Int J Occup Saf Ergon. 2021; doi:10.1080 /10803548.2021.1992158. 

  5. K. H. Lee, H. H. Jo, G. H. Yu,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Occupational Injury Rate and Mortality Rate of the Total Workers and Foreig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7(1), 100-101, 2012. 

  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 business introduction | occupational health |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 investigation of harmful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 summary. (n.d.). Retrieved May 23, 2021, from https://www.kosha.or.kr/kosha/business/musculoskeletal_c_a.do. 

  7. J. Y. Lee, S. I. Cho, "Prohibition on changing workplaces and fatal occupational injuries among chinese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18), 2019. 

  8. W. I. Jeong, K. S. Lee, Y. G. Jeon, "Occupational Accidents and Foregone Working Days", Journal of Korean Economics Studies, 29(2), 169-170,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