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를 이용한 간호요구도 평가
Evaluating Nursing Need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ith the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eonatal Intensive Care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2, 2020년, pp.24 - 35  

안효남 (충남대학교병원)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eonatal Care Nurses (KPCSN) properly measures neonatal intensive care needs and to compare the scale's results with those of the Workload Management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es (WMSCN). Methods :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6년에 개발된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KPCSN)를 이용하여 일 병원 신생아중환자의 간호요구도를 분류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중환자 분류도구(WMSCN) 분류 결과와 비교를 통해 KPCSN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KPCSN) 를 적용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의 간호요구 도를 평가하고 이전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던 중환자분류도구(WMSCN)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KPCSN)를 적용하여 간호요구도 분류의 타당성을 평가함으로써 신생아중환자실 인력 배치 및 간호수가 산정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KPCSN)가 신생아중환자의 간호요구도를 적절히 반영하는지 확인하고 이전에 사용되어졌던 중환자 분류도구 (WMSCN)간의 간호요구도를 비교함을 통해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KPCSN)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중환자분류도구(WMSCN)가 대부분의 중환자실에서 사용되어져 왔으나 이 도구가 신생아중환자 간호활동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Ko et al., 2012a)는 비평에 따라 2016년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 (KPCSN)를 개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신생아중환자간호 분류도구가 신생아중환자실의 간호요구도를 제대로 반영하는지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KPCSN은 간호영역별 점수에서 영양 측정 및 KPCSN 감시 입, 퇴원 관리 순으로 나타난 반면 WMSCN은 모니터링 정맥주입 및 약물요법 활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생아중환자 간호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수유 활동을 KPCSN에서 영양 간호영역에 잘 반영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 S. J., & Kim, J. H. (2014). Determinants of registered nurse skill mix and staffing level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 10-21. 

  2. Cho, Y. A., Shin, H. J., Cho, J. K., Jung, M. K., Lee, B. N., & Song, K. J.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workload management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es (WMSCNP) using WMS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71-84. 

  3. Choi, B. M. (2018).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measure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5, 107-109. 

  4. Chung, Y. H. (2013). Nurse staffing levels and days of sta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5, 87-100. 

  5. Eun, B. U. (2018). Domestic standard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44(2), 13-34. 

  6. Han, C. H., Park, J. Y., Kim, K. H., & Yun, S. G. (2010).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nursing in according to the nursing grade of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5(3), 1-16. 

  7. Hong, K. J., & Cho, S. H. (2017). Changes in nurse staffing grades in general wards and adult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1), 64-72. 

  8. Kane, R. L., Shamliyan, T. A., Mueller, C., Duval, S., & Wilt, T. J. (2007a). The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 staffing levels and patient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al Care, 45(12), 1195-1204. 

  9. Kane, R. L., Shamliyan, T. A., Mueller, C., Duval, S., & Wilt, T. J. (2007b). Nurse staffing and quality of patient care. Evidence report/technology assessment. No. 151 (Prepared by the Minnesota evidence-based practice center under contract No. 290-02-0009). Rockvill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10. Kim, N. Y., Jo, U. M., & Choi, M. H. (2005). The study of critical indicator development for establishing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NICU.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0(2), 89-101. 

  11. Kim, Y. M., Jo, S. H., Jeon, G. J., Sin, S. A., & Kim, J. Y. (2012). Effects of hospital nurse staffing on in-hospital mortality, pneumonia, sepsis, and urinary tract infection in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5), 719-729. 

  12. Ko, B. J., Yu, M., Kang, J. S., Kim, D. Y., & Bog, J. H. (2012a).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of neonatal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nursing nee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3), 354-367. 

  13. Ko, B. J., Yu, M., Kang, J. S., Kim, D. Y., Bog, J. H., Jang, E. K., . . . Choi, Y. J. (2012b). A study on identifying nursing activities and standard nursing practice time for developing a neonatal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2), 251-263. 

  14. Korean Neonatal Network. (2017). Korean Neonatal Annual Report 2017. Seoul: Korean Neonatal Network. 

  15. Park, Y. S., & Song, R. Y. (2017). Estimation of nurse staffing based on nursing workload with reference to a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a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0(1), 1-12. 

  16. Yoo, C. S., & Kim, K. S. (2013).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ing based on nursing nee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1), 33-44. 

  17. Yoo, C. S., Kwon, E. O., Kim, S. H., & Cho, Y. A. (2009). Reliability, validity, and conversion index of the workload management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es (WMSCN).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1), 48-57. 

  18. Yoo, C. S., Sim, M. Y., & Choi, E. H. (2015). Development of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3), 401-411. 

  19. Youn, K. I. (2017). The effects of nurse staffing and skill mix on in-hospital mortality in the hospita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2(1), 27-35. 

  20. Yu, M., Kim, D. Y., & Yoo, C. S. (2016). Development of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eonatal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205-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