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임목, 임상, 토양의 탄소량 비교
Carbon Stocks of Tree, Forest Floor, and Mineral Soil in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Stand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2, 2020년, pp.169 - 178  

김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백경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최병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하지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배은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이광수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주요 조림 수종으로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되는 삼나무와 편백 임분의 유기 탄소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삼나무와 편백이 서로 인접한 지역에 조성된 대표적 조림지 13개 지역을 선정하고, 임목, 임상, 토양 10 cm 깊이의 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의 평균 임분 연령은 삼나무 45년, 편백 43년이었으며, 임분밀도는 삼나무가 989본 ha-1으로 편백 1,223본 ha-1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평균 흉고직경과 우세목의 평균 수고는 삼나무가 27.4 cm와 20.4 m, 편백은 23.9 cm와 17.9 m로 삼나무가 유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임분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흉고단면적과 유의적인 선형회귀 관계(삼나무: r2 = 0.82; 편백: r2 = 0.92; P < 0.05)가 있었으나, 임분밀도 및 지위지수와는 회귀식에 유의성이 없었다(P > 0.05). 지상부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삼나무 95.5 Mg C ha-1, 편백 117.7 Mg C ha-1로 편백 임분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나(P < 0.05), 임상 및 토양층의 유기 탄소 농도 및 탄소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된 두 수종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편백 임분이 삼나무 임분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상이나 토양 탄소량은 수종의 영향이 크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organic carbon stocks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stands established under a similar-site environmental condition in South Korea. C. japonica and C. obtusa stands adjacent to each other from 13 representative regions were chosen to evaluate the c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사한 입지환경의 서로 인접한 지역에조성된 삼나무와 편백 임분을 대상으로, 1) 임목, 임상,토양 탄소량과 임분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고, 2) 임목, 임상, 토양 탄소량의 정량적 평가를 통하여 수종간 탄소흡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저감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 2018). 많은 연구들은 임목 식재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저감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의 하나로 인정하고 있으며(Shutouand Nakane, 2004; IPCC 2006; Lee et al., 2018), 조림지(forest plantation) 같은 산림경영림의 탄소축적 능력에 대한 정량적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Vesterdal etal.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된 삼나무와 편백 임분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과 우세목의 평균 수고를 조사한 결과는? 유사한 입지환경에 조성된 삼나무와 편백 임분을 대상으로 임분 환경요인, 임목, 임상 및 토양 0∼10 cm 깊이의 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임분 환경요인 중 흉고직경과 우세목의 평균 수고는 삼나무가 편백에 비해 양호한 생장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두 임분 사이 흉고단면적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량은 편 백 임분이 삼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삼나무와 편백의 조림면적과 임목 축적은? 삼나무와 편백은 우리나라 온대 남부나 난대(아열대) 산림대에 중요한 조림 수종으로 조림면적과 임목 축적은 삼나무 6,296 ha, 1,326,052 m3, 편백 32,580 ha, 6,341,457 m3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삼나무와 편백은 용재 생산을 위한 경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산림 휴양 및 치유와 같은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발휘하는 산림자원으로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inkley, D. and Giardina, C. 1998. Why do tree species affect soils? The warp and woof of tree-soil interactions. Biogeochemistry 42: 89-106. 

  2. Binkley, D. and Fisher, R.F. 2020. Ecology and management of forest soils. 5th Ed. John Wiley & Sons Ltd. UK. pp. 440. 

  3. Cheng, C.H., Hung, C.Y., Chen, C.P. and Pei, C.W. 2013. Biomass carbon accumulation in aging Japanese cedar plantations in Xitou, central Taiwan. Botanical Studies 54(1): 60. 

  4. Chung, Y.G. and Lee, K.S. 2001. Biomass estimation of 40 years old Chamaecyparis obutusa stands.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4(2): 11-17. 

  5. Fang, J., Kato, T., Guo, Z., Yang, Y., Hu, H., Shen, H., Zhao, X., Kishimotomo, A.W., Tang, Y. and Houghton, R.A. 2014. Evidence for environmentally enhanced forest growth. PNAS 111(11): 9527-9532. 

  6. Fukuda, M., Iehara, T. and Matsumoto, M. 2003. Carbon stock estimates for Sugi and Hinoki forests in Japa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4(1-3): 1-16. 

  7. Garcia Villacorta, A.M., Martin, T.A., Jokela, E.J., Cropper Jr, W.P. and Gezan, S.A. 2015. Variation in biomass distribution and nutrient content in loblolly pine (Pinus taeda L.) clones having contrasting crown architecture and growth efficienc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42: 84-92. 

  8. Gwon, J.H., Seo, H., Lee, K.S., You, B.O., Park, Y.B., Jeong, J. and Kim, C. 2014.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by stand density in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2): 175-181. 

  9. Herrero, C., Turrion, M.B., Pando, V. and Bravo, F. 2016. Carbon content of forest floor and mineral soil in Mediterranean Pinus spp. and oak stands in acid soils in Northern Spain. Forest Systems 25(2): e065. 

  10. Hosoda, K. and Iehara, T. 2010. Aboveground biomass equations for individual trees of Cryptomeria japonica, Chamaecyparis obtusa and Larix kaempferi in Jap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5: 299-306. 

  11. Ichikawa, T., Takahashi, T. and Asano, Y. 2006. Comparison of changes in organic matter dynamics due to stand age between artificial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D. Don) forests and Japanese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forests. Journal of the Japan Forest Society 88(6): 525-533. 

  12.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6.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Eggelston, H.S., Buendia, L., Miwa, K., Ngara, T. and Tanabe, K. (Eds.). IPCC/OECD/IEA/IGES, Hayama, Japan. 

  13. Ishihara, M.I., Utsugi, H., Tanouchi, H., Aiba, M., Kurokawa, H., Onoda, Y., Nagano, M., Umehara, T., Ando, M., Miyata, R. and Hiura, T. 2015. Efficacy of generic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biomass: a test in Japanese natural forests. Ecological Applications 25(5): 1433-1446. 

  14. Jung, S.C., Lumbres, R.I.C., Won, H.K. and Seo, Y.O. 2014. Allometric equations,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Cryptomeria japonica in Mount Halla,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4): 177-184. 

  15. Kim, C., Lee, J.S. and Cho, K.J. 1987.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in Changsong district, Chonnam. Journal of Korea Forest Energy 7(1): 1-10. 

  16. Kim, H.S., Park, G.S., Lee, S.M., Lee, S.J., Lee, H.G., Park, H.W., Park, D.Y., Lee, C.H., Kim, J.H. and Lee, J.K. 2016.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Geumsan in Namhae-gun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30(2): 214-227. 

  17.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Forest resources and distribution of major tree species in Southern Korea. pp. 22.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Korea climatological reports. pp. 322. 

  19. Lee, S.J., Yim, J.S., Son, Y.M., Son, Y. and Kim, R. 2018.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ing in south Korea. Forests 9(10): 625. 

  20. Noguchi, K., Konopka, B., Satomura, T., Kaneko, S. and Takahashi, M. 2007. Biomass and production of fine roots in Japanese forests. Journal of Forest Research 12(2): 83-95. 

  21. Ono, K., Hiradate, S., Morita, S., Ohse, K. and Hirai, K. 2011. Humification processes of needle litters on forest floors in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and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s in Japan. Plant and Soil 338: 171-181. 

  22. SAS Institute Inc. 2003. SAS/STAT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9.1 SAS Publishing Cary, NC. 

  23. Sasaki, N. and Kim, S. 2009. Biomass carbon sinks in Japanese forests: 1966-2012. Forestry 82(1): 105-115. 

  24. Seo, Y.O. and Lee, Y.J. 2013. Estimation of above- and belowground biomass with consideration of age classes for Cryptomeria japonica stand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2): 17-23. 

  25. Shutou, K. and Nakane, K. 2004. Change in soil carbon cycling for stand development of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s following clear-cutting. Ecological Research 19(2): 233-244. 

  26. Son, Y.M., Kang, J.T., Hwang, J.S., Park, H. and Lee, K.S. 2015.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and yield in Cryptomeria japonica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3): 421-426. 

  27. Takahashi, M., Ishizuka, S., Ugawa, S., Sakai, Y., Sakai, H., Ono, K., Hashimoto, S., Matsuura, Y. and Morisada, K. 2010. Carbon stock in litter, deadwood and soil in Japan's forest sector and its comparison with carbon stock in agricultural soils.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56(1): 19-30. 

  28. Tanikawa, T., Sobue, A. and Hirano, Y. 2014. Acidification processes in soils with different acid buffering capacity in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forests over two decad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34: 284-292. 

  29. Vesterdal, L., Schmidt, I.K, Callesen, I., Nilsson, L.O. and Gundersen, P. 2008. Carbon and nitrogen in forest floor and mineral soil under six common European tree speci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 35-48. 

  30. Vesterdal, L., Clake, N., Sigurdsson, B.D. and Gudersen, P. 2013. Do tree species influence soil carbon stocks in temperate and boreal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09: 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