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제시 구조라 및 망치 연안에 출현하는 까나리(Ammodytes japonicus) 자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Larval Ammodyte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Gujora and Mangchi of Geoje,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2 no.2, 2020년, pp.97 - 102  

강다연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남기문 (부경해양생물연구소) ,  최옥인 (수산자원관리공단 남해본부) ,  박경현 (수산자원관리공단 남해본부) ,  김병섭 (수산자원관리공단 남해본부) ,  김윤정 (수산자원관리공단 남해본부)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제시 구조라 및 망치 연안에서 우점하여 출현한 까나리(Ammodytes japonicus) 자어는 조사기간인 2019년 1월과 2월 동안 총 208개체가 채집되었고 척생장의 범위는 1.46~8.00 mm였다. 까나리 자어의 주먹이생물은 요각류가 가장 우점하였고, 그 중 긴노요각목 요각류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으며, 검물벼룩목 요각류를 그 다음으로 많이 섭식하였다. 요각류 외에도 어류 난, 패충류, 갑각류 유생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까나리 자어의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3개의 크기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2 mm, 3~4 mm, ≥5 mm, Notochord length), 성장함에 따라 긴 노요각목 요각류의 섭식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검물벼룩목 요각류는 감소하였으며,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와 부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Ammodytes japonicus were examined. A total of 208 individuals were collected by RN80 Net from January to February, 2019 in the coastal waters of Gujora and Mangchi, Geoje, Korea. Range of notochord length of larval A. japonicus was 1.46~8.00 mm and fed mainly on copep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는 수산자원생태학적 가치가 높은 거제시 구조라 및 망치 연안에 서식하는 까나리 자어의 식성 분석을 통하여 수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에 필요한 자원생태학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까나리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농어목 (Perciformes) 까나리과 (Ammodytidae)에 속하는 까나리 (Ammodytes japonicus)는 어식성 어종의 먹이생물로서 저차 생산을 고차 생산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겨울부터 초봄까지 사질 연안에 산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Hamada, 1983; Kim et al., 2000; Yoo, 2011).
총 208개체의 까나리 자어 중 공복인 개체를 제외한 87개체의 소화관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요각류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는데, 이 요각류 중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9%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나타내어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다.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Calanoida) 요각류가 66.7%의 출현빈도, 48.
까나리 생태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까나리 생태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로는 성어를 대상으로 하여 생물학적 연구, 성장, 식성, 산란장 분포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까나리 자치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내 선행 연구로는 강원 연안산 까나리 자치어의 분포 연구만 이루어져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Chun, 1974, 1977, 1979; Jeong et al., 1997; Han et al., 1999; Kim et al., 1999, 2000; Kim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lstrom, E.H. 1954.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egg and larval populations of the Pacific sardine. Fish. Ball., 56: 83-140. 

  2. Cha, S.S. 2002. Review on the Studies of Ecology of Fish in their Early Life Stages off Korea. Korean J. Ichthyol., 14: 76-82. 

  3. Chun, C.I. 1974. Biological studies on the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GIRARD. Bull. Korean Fish. Soc., 7: 215-220. 

  4. Chun, C.I. 1977. Biological Studies on the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GIRARD. Bull. Kor. Fish. Tech. Soc., 13: 5-7. 

  5. Chun, C. I. 1979. Variation in the Vertebral Number of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GIRARD. Bull. Kor. Soc. Fish. Tech., 15: 1-3. 

  6. Hamada, T. 1985. Fishery biology of the sand-lance (Ammodytes personatus GIRARD) in Japan. Japan Fisheries Resource Conservation Association, Tokyo, Japan, 1-85. 

  7. Han, K.H., B.K. Kim, S.H. Choi, K.Y. Kim, Y.U. Kim and J.K. Cho. 1999. Distribution of Larva and Juvenile of Sand Eel, Ammodytes personatus in Kangwon-do Coast, Korea. Korean J. Ichthyol., 11: 155-162. 

  8. Heath, M.R. 1992. Field investigations of the early life stages of marine fish. Adv. Mar. Biol., 28: 1-174. https://doi.org/10.1016/s0065-2881(08)60039-5. 

  9. Hjort, J. 1926. Fluctuations in the year classes of important food fishes. J. du. Conseil., 1: 5-38. https://doi.org/10.1093/icesjms/1.1.5. 

  10. Huh, S.H. and G.W. Baeck. 2003. Feeding habits of Repomucenus valenciennei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 Korean J. Ichthyol., 15: 289-294. 

  11. Huh, S.H. and S.N. Kwak. 1997. Feeding habits of Pholis nebulosa. Korean J. Ichthyol., 9: 22-29. 

  12. Hunter, J.R. 1981. Feeding ecology and predation of marine fish larvae. In: Marine fish larvae: morphological, ecology, and relation to fisheries. In: Lasker, R. (ed.), Marine fish larvae morphology, ecology and relation to fisheries. Washington Sea Grant, U.S.A., pp. 343-355. https://doi.org/10.1016/0044-8486(83)90215-6. 

  13. Jang, M.C., S.H. Baek, P.G. Jang, W.J. Lee and K.S. Shin. 2012. Patterns of Zooplankton Distribution as Related to Water Masses in the Korea Strait during Winter and Summer. Ocean Polar Res., 34: 37-51. https://doi.org/10.4217/opr.2012.34.1.037. 

  14. Jeong, D.S, K.H. Choi, C.S. Park and J.H. Park. 1997. Age growth and maturity of the sand eel, Ammodytes personatus in the East Sea, Kor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53: 37-42. 

  15. Kim, H.J. 2016.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and dominant species of feeding habits with larval fishes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Ph. 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ongyoung, Korea, 21pp. 

  16. Kim, H.Y., B.K. Kim, E.K. Kim, C.D. Kim, J.B. Jeong and C.R. Lee. 2015.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ie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South Eastern Sea of Korea in 2014. J. Nat. Park Res., 6: 91-102. 

  17. Kim, J.K., S.E. Bae, S.J. Lee and M.G. Yoon. 2017. New insight into hybridization and unidirectional introgression between Ammodytes japonicus and Ammodytes heian (Trachiniformes Ammodytidae). PLoS ONE, 12: e017800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78001. 

  18. Kim, J.K., S.J. Lee, W.C. Lee, J.B. Kim and H.C. Kim. 2015. Restricted separation of the spawning areas of the two lineages of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in the Yellow and East Seas and taxonomic implications. Biochem. Syst. Ecol., 61: 319-328. https://doi.org/10.1016/j.bse.2015.06.038. 

  19. Kim, Y.H., Y.J. Kang and D.K. Ryu. 1999. Growth of Ammodytes personatus in Korean waters, Daily Growth Increment, Early Growth and Spawning Time in Juvenile Stage. J. Korean Fish. Soc., 32: 550-555. 

  20. Kim, Y.H., Y.J. Kang and D.K. Ryu. 2000. Growth of Ammodytes personatus in the South Sea, Korea. Korean J. Ichthyol., 12: 166-172. 

  21. Lasker, R., H. Feder, G. Theilacker and R. May. 1970. Feeding, Growth, and survival of Engraulis mordax larvae reared in the laboratory. Mar. Biol., 5: 345-353. 

  22. Marlowe, C.J. and C.B. Miller. 1975. Patterns of vertical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zooplankton at Ocean Station "P". Limnol. Oceanogr., 20: 824-844. https://doi.org/10.4319/lo.1975.20.5.0824. 

  23. May, R.C. 1974. Larval mortality in marine fishes and the critical period concept. In: Blaxter, J.H.S.(ed.), The early life history of fish.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U.S.A., pp. 3-20. https://doi.org/10.1007/978-3-642-65852-5_1. 

  24. Nakano, N., Y. Iwatsuki, Y. Okazaki and H. Nakata. 2001. Feeding strategy of Japanese sand lance larvae in relation to ciliated protozoa in the vicinity of a thermohaline front. J. Oceanogr., 57: 155-163. 

  25. Park, C., C.R. Lee and J.C. Kim. 1998.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Front Zone of the East Sea (the Sea of Japan), Korea: 2.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Distribution and Seawater Temperature. J. Korean Fish. Soc., 31: 749-759. 

  26.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7. Sassa, C., Y. Tsukamoto and Y. Konishi. 2008. Diet composition and feeding habits of Trachurus japonicus and Scomber spp. larvae in the shelf break region of the East China Sea. Bull. Mar. Sci., 82: 137-153. 

  28. Seo, M.H., K.S. Shin, M.C. Jang and H.Y. Soh. 2013. Occurrence Patterns of Zooplankton Present in Ports of Korea during Summer. Korean J. Environ. Biol., 31: 448-457. https://doi.org/10.11626/kjeb.2013.31.4.448. 

  29. Soh, H.Y. and S.Y. Moon. 2010. Invertebrate fauna of Korea-Marine Planktonic Copepod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21: 1-199. 

  30. Takatsu, T., Y. Suzuki, A. Shimizu, K. Imura, Y. Hiraoka and N. Shiga. 2007. Feeding habits of stone flounder Platichthys bicoloratus larvae in Mutsu Bay, Japan. Fish. Sci., 73: 142-155.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7.01312.x. 

  31. Wang, L., F. Du, Z. Wang, Y. Li and J. Ning. 2017. Distribution and role of the genus Oithona (Copepoda: Cyclopoida) in the South China Sea. Oceanologia., 107: 1-11. https://doi.org/10.1016/j.oceano.2017.03.009. 

  32. Yamaji, I. 1984. Illustration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Japan, 470pp. 

  33. Yamashita, Y, D. Kitagawa and T. Aoyam. 1985. Diel vertical migration and feeding rhythm of the larvae of the Japanese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Bull. Jap. Soc. Sci. Fish., 51: 1-5. https://doi.org/10.2331/suisan.51.1. 

  34. Yoo, C.W. 2011. Sand mining and marine benthic environment. In: Yoon, Y. H., H.Y. Soh, H.S. Yang and S.J. Oh (ed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252pp. 

  35. Young, J.W. and T.L.O. Davis. 1990. Feeding ecology of larvae of southern bluefin, albacore and skipjack tunas(Pisces: Scombridae) in the Eastern Indian. Mar. Ecol. Prog. Ser., 6: 17-29. https://doi.org/10.3354/meps061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