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료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 1990-2015년 신문기사에 대한 내용분석
Patient Dis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A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Between 1990 to 2015 원문보기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QIH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26 no.1, 2020년, pp.35 - 45  

이지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김재원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유경 (서울대학교병원) ,  김태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도영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ients' dis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5. It focused on developing a systematic coding scheme for content analysis as well as exploring changes over time. Methods: Among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 국민의료 보험 달성 이후 지난 26년간 의료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을 보도한 언론기사의 내용을 자료로 활용하여 환자들의 불만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였고, 한국 보건의료체계의 반응성을 긴 시간 지평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 특히, 시간에 따른 기사의 내용 및 양을 분석해 지난 26년간 언론에서 보도한 의료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주목하였다.
  • 불만의 내용을 일반 인구집단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느끼는 불만, 특수 인구집단이 느끼는 불만, 특수 상황에서 발생하는 불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때 기사의 수가 많 을수록 정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7] 불만 내용별 기사의 수를 살펴보았다. 또한 시간에 따른 의료에 대한 불만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의 약분업과 건강보험 조직통합이 이루어진 2000년을 기준으로 1990~2000년과 2001~2015년으로 나누어 전체 불만 을 대상으로 한 경우와 일반 인구집단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의료에 대해 느끼는 불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로 나누어 불만 내용별 기사 수의 증감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즉, 의료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을 보도한 기사 와 그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연구 이전 시점에 대해서도 후향적으로 보건의료체계의 반응성을 살펴볼 수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0: health systems: improving performa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2. Arah OA, Westert GP, Hurst J, Klazinga N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OECD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6;18:5-13.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Enhancement of satis faction with doctor nurse service experienced by patients.; [cited 2020 January 2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140&CONT_SEQ352450&-FILE_SEQ28273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atient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of the medical service; [cited 2017 July 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140&CONT_SEQ340553&FILE_SEQ209414 

  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Statistics 2019 [cited 2020 May 11]. Available from: https://stats.oecd.org 

  6. Min HW, Lee MS, Kim EY, Kim CW, Na BJ, Bae SH. Trends in patient satisfaction studies in Korea, 1990-2015.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2007;1(1):51-8. 

  7. Otten AL. The influence of the mass media on health policy. Health Affairs. 1992;11(4):111-8. 

  8. Sohn S, Lee G, Lee S.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frames of news articles on healthcare: differences from administration changes and medias ideological orient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4;58(1):306-30. 

  9. Montini T, Noble AA, Stelfox HT. Content analysis of patient complaint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8;20(6):412-20. 

  10. Reader TW, Gillespie A, Roberts J. Patient complaints in healthcare systems: a systematic review and coding taxonomy. BMJ Quality & Safety. 2014;23(8):678-89. 

  11. Raberus A, Holmstrom IK, Galvin K, SUNDLER AJ. The nature of patient complaints: a resource for healthcare impro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9;31(7):556-62. 

  12. Elo S,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2(1):107-15. 

  13. Mirzoev T, Kane S. What is health systems responsiveness? Review of existing knowledge and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BMJ Global Health. 2017;2(4):e000486. 

  14. Mulcahy L, Tritter JQ. Pathways, pyramids and icebergs? Mapping the links betwee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s.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1998;20(6):825-47. 

  15. Kim UN, Ock M, Shin Y, Jo MW, Lee JY, Do YK. Conceptual constructs of patient centeredness: perspective of patients and family member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9;25(2):26-43.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Releasing results of first patient experience survey where patients directly participated; [cited 2018 August 9].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140&CONT_SEQ345664&\-FILE_SEQ235488 

  17. Bankauskaite V, Saarelma O. Why are people dissatisfied with medical care services in Lithuania? A qualitative study using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3;15(1):23-9. 

  18. Phillips N, Lawrence TB, Hardy, C. Discourse and institu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04;29(4):635-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