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똥쑥 첨가에 따른 느타리의 생육 특성 및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oyster mushroom with the addition of Artemisia annua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8 no.2, 2020년, pp.174 - 177  

이찬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이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민경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박혜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이은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인 개똥쑥을 배지재료로 활용하여 느타리 재배를 위한 적정 혼합비율을 설정하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균사생육과 균사밀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육은 배양 23일 후 개똥쑥 5% 첨가된 배지에서 12.7 cm였고,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8:2)배지에서는 12.5 cm로 개똥쑥 첨가배지와 균사생육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 보다 균사생육이 느렸으며, 개똥쑥 70%에서는 2.1 cm로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개똥쑥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의 직경은 대조구보다 개똥쑥 첨가에서 높았지만, 갓의 두께는 대조구에서 조금 높았다. 대의 두께는 개똥쑥 15%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길이는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지만 대조구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개똥쑥 5%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19 g/850 ml였고, 개똥쑥 5%에서 122 g/850 ml으로 가장 높았고,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감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Korean cultivated Artemisia annua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oyster mushrooms. After 23 days of cultivation, mycelial growth was 12.7 cm in medium supplemented with 5% A. annua and 12.5 cm in control. Mycelial growth progressively slowed w...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자생 약용식물인 개똥쑥을 느타리 배지재료로 활용하여 적정 혼합비율을 설정하고, 기능성이 강화된 느타리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똥쑥의 정의 및 분포지역은?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쑥속(Artemisia L.) 식물로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며 북아시아를 중심으로, 북반구의 극지방, 남반구의 열대 및 아열대, 더운 사막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Lodari et al., 1989).
개똥쑥의 특징은? , 1989). 개똥쑥은 독특하고 강한 향기로 인해 다른 쑥속 분류군들과 구별되며 (Lee, 2009), 청호(菁蒿), 황화호(黃花蒿) 등의 생약명으로 불려져 오고 있다 (Sung, 2008). 또한 개똥쑥의 추출물 중 Artemisinin은 sesquiterpenperoids 화합물은 내성을 가진 말라리아 원충에 강한 억제효과를 보여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말라리아의 천연치료제로 추천하고 있다(Klayman, 1985; Gonzalez et al.
개똥쑥의 최근 유방암 질병에 관한 연구는? , 2011). 최근에는 유방암 세포를 선택적으로 괴사시 키는 항암 효능이 입증되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Singh and Lai, 2001; Kwon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very MA, Chong WKM, Jennings-White C. 1992. Stereoselective total synthesis of (+)-artemisinin, the antimalarial constituent of Artemisia annua L. J Am Chem Soc 114: 974-979. 

  2. Gal SW, Lee SW. 2002. Development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mushroom.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nol 45: 71-76. 

  3. Garamszegi LZ. 2011.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risk of malaria in birds. Global Change Biol 17: 1751-1759. 

  4. Hur JM, Yang EJ, Choi SH, Song KS. 2006. Isolation of phenolic glucoside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49-152. 

  5. Hur JM, Jun MR, Yang EJ, Choi SH, Park JC, Song KS. 2007. Isolation of isoprenoidal compound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 Kor J Pharmacogn 38: 67-70. 

  6. Klayman DL. 1985. Qinghaosa (Artemisia): An antimalarial drug from China. Science 228: 1049-1055. 

  7. Kwon MC, Kim CH, Kim HS, Lee SH, Chio GP, Park UY, You SG, Lee HY. 2007. Optimal extract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Korean J Med Crop Sci 15: 233-240. 

  8. Lee CJ, Moon JW, Yoo YM, Han JY, Cheong JC, Kong WS, Kim YG, Yoo YJ. 2015.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oyster mushroom according to adding of Salvia miltiorrhiza. J Mushrooms 13: 262-265. 

  9. Lee JH. 2009. A taxonomy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to develop medicinal resources in Korea. Ph.D Thesis. Kyungsung University. pp. 123-125. Busan, South Korea 

  10. Lodari C, Hattori K, Futsuhara Y. 1989. Morphological difference on leaf surface and pollen grains in genus Artemisia. Japan J Breed 39: 9-14. 

  11. MFAFF, 2017. Actual yield of industrial product. 

  12. Royse DJ, Sanchez JE. 2007. Ground wheat straw as a substitute for portions of oak wood chips used in shitake (Lentinula edodes) substrate formulae. Biores Technol 98: 2137-2141. 

  13. Singh N, Lai H. 2001. Selective toxicity of dihydroartemisinin and holotransferin toward human breast cancer cells. Life Sci 70: 49-56. 

  14. Sung JS, Lee JH, Lee JW, Bang KH, Yeo JH, Park CG, Park HK, Seong NS, Moon SH. 2008. Phylogenetic analysis of Artemisia spp.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organs in Korea. Korean J Med Crop Sci 16:218-2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