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차 체외수정시술이 난임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Effects of Firs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on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Infertile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3, 2020년, pp.369 - 384  

하주영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반선화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미순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infertile women at different time points during the first In Vitro Fertilization (IVF) o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treatment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Seven out of 3,011 stud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차 체외수정시술 후 시술 시점별로 불안과 우울의 변화를 파악하고, 임신여성과 비임신여성의 불안과 우울을 비교하여 체외수정시술을 경험하는 난임여성의 불안과 우울 완화 중재제공의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1차 체외수정시술이 난임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결과들을 통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1차 체외수정시술이 난임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난임여성의 정서변화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를 살펴보면, 난임여성의 정신적 괴로움과 스트레스가 임신성공 여부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본 연구[19,20]와 시술 차수를 구분하지 않고 체외수정시술 전, 후의 우울과 불안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21]가 시행되었을뿐, 동일한 시술 차수의 난임여성을 대상으로 체외수정시술 시점별로 불안과 우울을 비교하거나 시술결과에 따른 임신여성과 비임신여성의 불안과 우울을 비교한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체외수정시술 첫 번째 차수의 난임여성이 체외수정시술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안과 우울의 변화를 시점별로살펴보고, 체외수정시술 결과에 따라 임신여성과 비임신여성을 구분하여 불안과 우울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1차 체외수정시술을 받는 난임여성에게 불안과 우울정서 완화를 위한 중재를 제공하는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체외수정시술 후 임신 여부에 따른 불안과 우울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임여성이 겪는 어려움은? 대부분의 난임여성들은 심리·사회적·신체적 부담감을 비롯하여 다차원적으로 고통받고 있다[4,5]. 아이를 간절히 원하는 여성에게 있어, 난임은 강력한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여,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야기한다[6].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몇년 뒤 항우울제 처방과 높은 관련성이 있었으며[7], 살아오면서 우울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면 우울과 관련된 신체·심리·행동 영역에서 두뇌 속 연결 관계가 점점 더 강화되어 우울한 감정이 보다 쉽게 재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8] 난임이 유발하는 부정적 정서에 관한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체외수정시술이란? 난임시술 가운데 체외수정시술은 자연임신이나 인공수정이 실패하게 된 경우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치료 방법으로, 과배란유도, 난자채취, 수정란 배양, 자궁내 수정란 이식 등의 여러 단계를 거치며 시행하게 된다[9]. 이때 여성은 남성보다 체외수정시술 결과에 따른 임신 실패와 성공에 더욱 민감하고 강하게 영향을 받는데[10,11], 이들이 체외수정시술에 실패한 후 겪게 되는 우울은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나 자식의 죽음을 경험한 부모의 우울과 비교되는 수준이었다[12].
15~49세 기혼 여성 중 몇 퍼센트가 난임을 경험했는가? 0을 넘기지 못하는 초저출산 국가 상태가 되었다[1]. 이러한 저출산 현상과 더불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15~49세 기혼 여성 1만 324명 중 12.1%가 난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2]. 난임은 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도 사회적·경제적 부담이 큰 문제인 만큼, 난임을 해결하여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자 정부에서는 2006년부터 ‘난임부부 의료비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지원 의료비용 또한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Regional indicators: Total fertility rat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8 [cited 2020 Feb 5]. Available from: http://kosis.kr/visual/eRegionJipyo/thema-Jipyo/eRegionJipyoThemaJipyoView.do. 

  2. Lee SY, Kim E, Park JS, Byoun S, Oh M, Lee SL, et al. The 2018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Dec. Report No.: 2018-37.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Mother and child health business guide [Internet]. Sejong: MOHW; c2019 [cited 2020 Feb 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7526. 

  4. Greil AL, Slauson-Blevins K, McQuillan J. The experience of infertility: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2010;32(1):140-162. https://doi.org/10.1111/j.1467-9566.2009.01213.x 

  5. Hwang NM. Physical, mental, and socio-economic burdens of infertile women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c2011 [cited 2019 Dec 1]. Available from: 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982. 

  6. Min SW, Kim YH, Cho YR. Stress, depr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8;12(1):19-32. https://doi.org/10.21896/jksmch.2008.12.1.19 

  7. Pedro J, Vassard D, Malling GMH, Hougaard CO, Schmidt L, Martins MV. Infertility-related stress and the risk of antidepressants prescription in women: A 10-year register study. Human Reproduction. 2019;34(8):1505-1513. https://doi.org/10.1093/humrep/dez110 

  8. Williams JMG, Teasdale JD, Segal ZV, Kabat-Zinn J. The mindful way through depression: Freeing yourself from chronic unhappiness. 1st Engl. Ed. Cha JH, translator. Seoul: People and Book; c2013. p. 12-21. 

  9.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KSRM). Infertility treatment [Internet]. Seoul: KSRM; [cited 2019 May 22]. Available from: https://www.ksfs.or.kr:4443/general/treat.php. 

  10. Verhaak CM, Smeenk JMJ, van Minnen A, Kremer JAM, Kraaimaat FW.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on emotional adjustment before, during and after consecutive fertility treatment cycles. Human Reproduction. 2005;20(8):2253-2260. https://doi.org/10.1093/humrep/dei015 

  11. Boivin J, Andersson L, Skoog-Svanberg A, Hjelmstedt A, Collins A, Bergh T. Psychological reactions during in-vitro fertilization: Similar response pattern in husbands and wives. Human Reproduction. 1998;13(11):3262-3267. https://doi.org/10.1093/humrep/13.11.3262 

  12. Pasch LA, Gregorich SE, Katz PK, Millstein SG, Nachtigall RD, Bleil ME, et 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 Fertility and Sterility. 2012;98(2):459-464.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12.05.023 

  13. Berg BJ, Wilson JF. Psychological functioning across stages of treatment for infertilit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991;14(1):11-26. https://doi.org/10.1007/bf00844765 

  14. Domar AD, Clapp D, Slawsby E, Kessel B, Orav J, Freizinger M. The impact of group psychological interventions on distress in infertile women. Health Psychology. 2000;19(6):568-575. https://doi.org/10.1037//0278-6133.19.6.568 

  15. Beaurepaire J, Jones M, Thiering P, Saunders D, Tennant C. Psychosocial adjustment to infertility and its treatment: Male and female responses at different stages of IVF/ET treat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4;38(3):229-240. https://doi.org/10.1016/0022-3999(94)90118-x 

  16. Verhaak CM, Smeenk JMJ, Evers AWM, van Minnen A, Kremer JAM, Kraaimaat FW. Predicting emotional response to unsuccessful fertility treatment: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5;28(2):181-190. https://doi.org/10.1007/s10865-005-3667-0 

  17. Slade P, Emery J, Lieberman BA.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emotions and relationships in in-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Human Reproduction. 1997;12(1):183-190. https://doi.org/10.1093/humrep/12.1.183 

  18. Greenfeld DA, Diamond MP, Decherney AH. Grief reactions following in-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1988;8(3):169-174. https://doi.org/10.3109/01674828809016784 

  19. Boivin J, Griffiths E, Venetis CA. Emotional distress in infertile women and failur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Meta-analysis of prospective psychosocial studies. British Medical Journal. 2011;342:d223. https://doi.org/10.1136/bmj.d223 

  20. Matthiesen SMS, Frederiksen Y, Ingerslev HJ, Zachariae R. Stress, distress and outcom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A meta-analysis. Human Reproduction. 2011;26(10):2763-2776. https://doi.org/10.1093/humrep/der246 

  21. Milazzo A, Mnatzaganian G, Elshaug AG, Hemphill SA, Hiller JE. Depression and anxiety outcomes associated with faile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6;11(11):e016580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65805 

  22.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The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9;62(10):1006-1012. https://doi.org/10.1016/j.jclinepi.2009.06.005 

  23.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The Cochrane Collaboration; c2011 [cited 2019 Mar 2].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24. Cummings G, Lee H, Macgregor T, Davey M, Wong C, Paul L, et al. Factors contributing to nursing leadership: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2008;13(4):240-248. https://doi.org/10.1258/jhsrp.2008.007154 

  25. Wicks-Nelson R, Israel AC. Abnorm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Engl. Ed. Jeong MS, Son YS, Jeong HH, translators. Seoul: Sigmapress; c2011. p. 144-185. 

  26. Verhaak CM, Smeenk JM, Eugster A, van Minnen A, Kremer JAM, Kraaimaat FW.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women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ycl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Fertility and Sterility. 2001;76(3):525-531. https://doi.org/10.1016/s0015-0282(01)01931-8 

  27. Teixeira JM, Fisk NM, Glover V.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nxiety in pregnancy and increased uterine artery resistance index: Cohort based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1999;318(7177):153-157. https://doi.org/10.1136/bmj.318.7177.153 

  28. Bae KE, Park CH. Experiences of infertile women in artificial insemin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07;8(2):23-35. 

  29. Won HT, Park HS, Lee MG, Kim EJ, Cho YR, Kwon SM, et al.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to psychological disorders. Seoul: Kyoyookbook; 2003. p. 225-270. 

  30. Kwon SM.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in related life events and cognitions. Psychological Science. 1996;5(1):13-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