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난임 대처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oping Scale for Infertility-Women (CSI-W)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5, 2020년, pp.671 - 685  

김미옥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고정미 (국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ping Scale for Infertility-Women (CSI-W). Methods: The initial items were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infertile women. Forty-three items were derived from a pilot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경우 난임 여성은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처자원을 탐색하고 대처전략을 결정하며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주어진 상황을 극복해 나가는 능동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 [7]의 스트레스-대처 모형의 관점에 따라 난임 관련 선행연구와 난임 여성과의 심층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난임 여성과 주변과의 관계에서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난임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난임을 진단받고 난임 치료를 위한 시술에 1회 이상 실패를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사용하는 대처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적극적 대처양식 4가지 요인과 소극적 대처양식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여성의 난임 대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성이 난임의 진단과 치료과정을 거치면서 주로 사용하는 대처양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 여성의 난임 대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여성의 난임 대처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임은 무엇을 야기하는가? 많은 경우에서 난임은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공포, 분노, 수치심, 질투심, 외로움, 절망, 자존감 부족, 감정적 불균형, 그리고 성 기능장애 등의 부정적인 심리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큰 위기와 스트레스 요소로 작용하여 개인과 부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4]. 특히, 한국의 유교적 문화 속에서 난임은 개인 발달과업의 중요한 요소이자 가족의 존속 개념을 위협하는 문제로 이해되고 있고[5] 난임의 원인이 남성에게 있다 하더라도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되므로[6], 여성들이 난임과 관련된 문제에 어떠한 대처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적·관계적 측면에서의 적응에 이르는 지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한국에서의 난임은 어떠한 추세인가? 난임은 세계적인 공중보건문제로[1], 한국에서 난임으로 진단된 대상자는 2017년 기준 20만 8,703명으로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3.1%씩 증가하고 있다[2]. 난임은 한국의 출산율 저하의 직접적 원인 중 하나로 저출산 극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되고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2006년 난임 시술비 지원사업 도입을 시작으로 2017년 10월에는 난임 시술비의 건강보험화에 이르렀으며, 2019년에는 기준중위소득 기존 130% 이하이던 것을 180% 이하까지 확대하여 지원하고, 체외수정 시술비 지원에 이어 인공수정 시술비 지원을 추가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3].
여성의 난임 대처 구성요인 중 소극적 대처는 무엇인가? 이에 반하는 소극적 대처는 스트레스의 원인을 회피하거나 스트레스 사건을 인지적으로 재구성하거나 자아나 사건의 긍정적 측면을 선별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는 대처 반응이며[7], ‘거리두기’와 같은 행동적 시도, ‘도망, 회피’, ‘소망적 사고’와 같은 인지적 시도가 있다. 난임 여성은 난임과 관련된 상황을 회피하며 부부간에 요구 및 철회의 부정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사용하고[13,25], 시댁이나 모임에 가지 않는 등 사회적 관계를 축소시키려고 하는 행동적 시도[26-28]와 현실을 생각하지 않으려는 인지적 시도[26], 혹은 변화를 기다리고 희망하며 현실적 사고를 떠난 소망적 사고[29]를 나타내는 모습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fertility is a global public health issue [Internet]. Geneva: WHO; c2020 [cited 2020 Jun 30].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reproductivehealth/topics/infertility/perspective/en/. 

  2. Kang SH, Kim DG. The increase of infertility and the role of health insurance in low birth rate era. KIRI Aging Review. 2018;20:11-14. 

  3. Kim M, Hong JE, Lee EY.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depression among infertil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9;25(3):273-284. https://doi.org/10.4069/kjwhn.2019.25.3.273 

  4. Kim M, Nam H, Youn M. Infertility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women with infertility treatm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6;30(1):93-104. https://doi.org/10.5932/JKPHN.2016.30.1.93 

  5. Lee YH, Park JS. Factors affecting the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infertilit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9;23(3):191-201. https://doi.org/10.21896/jksmch.2019.23.3.191 

  6. Taghipour A, Karimi FZ, Roudsari RL, Mazlom SR. Coping strategies of women following the diagnosis of infertility in their spouses: A qualitative study. Evidence Based Care Journal. 2020;10(1):15-24. https://doi.org/10.22038/ebcj.2020.42136.2120 

  7.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1984. p. 117-178. 

  8. Pyo JY, Park JK. The Effect of perceived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Clinical Psychology in Korea: Research and Practice. 2018;4(1):49-67. 

  9. Maroufizadeh S, Foroudifard F, Navid B, Ezabadi Z, Sobati B, Omani-Samani R.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10) in women experiencing infertility: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Middle East Fertility Society Journal. 2018;23(4):456-459. https://doi.org/10.1016/j.mefs.2018.02.003 

  10. Rapoport-Hubschman N, Gidron Y, Reicher-Atir R, Sapir O, Fisch B. "Letting go" coping is associated with successful IVF treatment outcome. Fertility and Sterility. 2009;92(4):1384-1388.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08.08.012 

  11. Pawar A, Jadhav BS, Shah BR.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and the role of coping strategies in females with infertility. Indian Journal of Mental Health. 2019;6(2):145-156. https://doi.org/10.30877/IJMH.6.2.2019.145-156 

  12. Cunha M, Galhardo A, Pinto-Gouveia J. Experiential avoidance, self-compassion, self-judgment and coping styles in infertility. Sexual & Reproductive Healthcare. 2016;10:41-47. https://doi.org/10.1016/j.srhc.2016.04.001 

  13. Martins MV, Peterson BD, Almeida VM, Costa M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women's infertility-related stress. Human Reproduction. 2011;26(8):2113-2121. https://doi.org/10.1093/humrep/der157 

  14. Casu G, Zaia V, Fernandes Martins MDC, Parente Barbosa C, Gremigni P. A dyadic mediation study on social support, coping, and stress among couples starting fertility treat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19;33(3):315-326. https://doi.org/10.1037/fam0000502 

  15. Bodenmann G. A systemic-transactional conceptualization of stress and coping in couples. Swiss Journal of Psychology. 1995;54(1):34-49. 

  16. Kim SH. Male subjects in the reproductive medical field: The invisibilization of infertile men in the us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South Korea. Economy and Society. 2019;124:12-43. https://doi.org/10.18207/criso.2019..124.12 

  17. Schmidt L, Christensen U, Holstein BE. The social epidemiology of coping with infertility. Human Reproduction. 2005;20(4):1044-1052. https://doi.org/10.1093/humrep/deh687 

  18. Hwang N.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3):161-187. https://doi.org/10.15709/hswr.2013.33.3.161 

  19. Jung YJ, Kim HY. Factors influencing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Focusing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7;23(2):117-125. https://doi.org/10.4069/kjwhn.2017.23.2.117 

  20.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6. p. 1-280. 

  21. Lazarus RS, Coyne JC, Folkman S.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The doctoring of Humpty-Dumpty. In: Neufeld RWJ, editor. Psychological Stress and Psychopathology. New York (NY): McGraw-Hill; 1982. p. 218-259. 

  22. Zandi M, Mohammadi E, Vanaki Z, Shiva M, Bagheri Lankarani N, Zarei F. Confronting infertility in Iranian clients: A grounded theory. Human Fertility. 2017;20(4):236-247. https://doi.org/10.1080/14647273.2017.1283447 

  23. Sormunen T, Aanesen A, Fossum B, Karlgren K, Westerbotn M. Infertility-related communication and coping strategies among women affected by primary or secondary infertilit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8;27(1-2):e335-e344. https://doi.org/10.1111/jocn.13953 

  24. Hwang NM, Lee SY, Jang IS, Park SI, Kang AR. Evaluation and analysis on 2015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Nov. Report No.: 11-1352000-001891-01. 

  25. Lee YS, Choi SM, Kwon JH. Psychosocial predictors of infertile women's dist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9;23(2):136-146. https://doi.org/10.21896/jksmch.2019.23.2.136 

  26. Loftus J. Women’s infertility and the self.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s. 2005;65(11):4363A. 

  27. Jeon SC, Lee SH.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ubfertile women's experience of a sense of loss: Focusing on Christian women.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018;29(1):149-178. https://doi.org/10.23909/KJCC.2018.02.29.1.149 

  28. Ryu SJ. Infertility, the social context of deferred motherhood: A qualitative inquiry based on an online infertility community. The Journal of Asian Women. 2019;58(2):5-38. https://doi.org/10.14431/jaw.2019.08.58.2.5 

  29. Aflakseir A, Zarei M. Association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infertility stress among a group of women with fertility problem in Shiraz, Iran. Journal of Reproduction & Infertility. 2013;14(4):202-206. 

  30.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4. p. 1-413. 

  31.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32. Noh GS. The proper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for dissertation: SPSS & AMOS 21. Seoul: Hanbit Academy Inc; 2019. p. 141-193. 

  33. Kim JH, Lee JH. The components and the relationship of stress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The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1985;7:127-138. 

  34.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3):381-399. 

  35. Choi CH, You YY. The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FA and CF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10):103-111.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103 

  36. Kang H.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587-594.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87 

  37. Kim WP.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eoul: Wise in Company Co; 2017. p. 478. 

  38. Khalid A, Dawood 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cognitive cop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infertile women. Archive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2020;302(2):423-430. https://doi.org/10.1007/s00404-020-05614-2 

  39. Lee YS, Kwon JH.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demands of infertility counseling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infertility counseling deliver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20;24(1):52-63. https://doi.org/10.21896/jksmch.2020.24.1.52 

  40. Kwon JH.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infertility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infertility counseling delivery system.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Dec. Report No.:11-1352000-001853-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