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구강건강의 관련성: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Or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7)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309 - 316  

김예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해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017년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 설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62,276명의 대상자를 포함시켰다. 스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사용하지 않음, 2시간 미만,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 4시간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구강질환증상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을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60.1%(37,305명)의 청소년이 최근 12개월 이내 구강질환증상 경험이 있었고, 스마트폰 사용자의 61.7%가 구강질환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4시간/일 이상인 청소년은 전체 대상자 중 27.4%, 주말의 경우 53.8%로 나타났고, 스마트폰의 4시간/일 이상 사용한 청소년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청소년에 비해 구강질환증상을 경험할 위험이 주중(adjusted Odds ratio, aOR=1.78; 95% confidence interval, CI=1.67-1.91)과 주말(aOR=1.81, 95%CI=1.70-1.9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종합해보았을 때,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도한 사용은 구강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통제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구강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or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13th (2017) Korea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which included 62,276 subjects. The daily smartphone usage time was categorized as not used, less than 2 h...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구강질환증상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구강 질환증상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와 구강질환증상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건강행태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행태와 구강질환증상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사업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과 관련된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과다사용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는? 스마트 폰 과다사용은 학교 또는 직장에서의 성과 방해 또는 부적응을 초래하며, 실제 삶 속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고 사생활 침범과 같은 문제들을 유발한다[9]. 또한,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미쳐 암, 면역체계 약화, 불안, 수면장애, 피로 등의 문제들을 초래한다[10-12]. 특히 면역체계 약화는 만성 구강질환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13].
스마트폰 중독의 증상은? 스마트폰 중독은 일종의 행위중독으로서 인터넷 중독 특성과 유사하며[4], 통제력 감소, 강박적인 행동, 식욕 문제 등의 문제를 유발함에도 불구하고 행위를 지속하려고 하는 경향을 보인다[5].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은 스마트폰 과다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지표로서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6-8].
과도한 스마트폰 사 용으로 인해 구강질환이 악화 될 수 있는 이유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인터넷 사용보다 수면 저하, 우울, 불안 등 정신적 문제들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있는데[11,21,26], 이와 같은 정신적 문제는 구강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27,28]. 마찬가지로, 청소년의 경우에도 스마트폰 사용은 학교 환경에서 친구들과의 갈등, 비행 증가, 학업 성적의 요인이 될 수 있고, 가정에서는 부모와의 갈등 요인이 될 수 있다[29-31]. 또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과다한 정보 습득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다[32,33]. 이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는 면역력 저하를 초래하여 치주염과 같은 구강질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11,13,27]. 결과적으로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 용과 정신적 취약성은 복합적으로 구강질환의 위험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sta Research. Smartphone penetration as share of population in South Korea 2015-2022 [Internet]. Statista Research Department, 2018 [cited 2018 Nov 16], Available from: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321408/smartphone-user-penetration-in-south-korea/ (accessed Feb 22, 2020) 

  2. T. E. Gladwin, B. Figner, E. A. Crone, R. W. Wiers, "Addiction, adolescence, and the integration of control and motivation",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Vol.1, No.4, pp.364-376, 2011. DOI: https://doi.org/10.1016/j.dcn.2011.06.008 

  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Survey on smartphone dependence, Report,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public of Korea, pp.1-8. 

  4. J. J. Block, "Issues for DSM-V: Internet addiction". Vol.165, pp.306-307, 2008. DOI: https://doi.org/10.1176/appi.ajp.2007.07101556 

  5. Y. H. Lin, L. R. Chang, Y. H. Lee, H. W. Tseng, T. B. Kuo, S. H. Ch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SPAI)", PloS one, Vol.9, No.6, pp.e98312, 2014.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98312 

  6. S.-S. Cha, B. K. Seo,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Prevalence,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game use", Health psychology open, Vol.5, No.1, pp.1-15, 2018. DOI: https://doi.org/10.1177/2055102918755046 

  7. S. S. Aljomaa, M. F. A. Qudah, I. S. Albursan, S. F. Bakhiet, A. S. Abduljabbar,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light of some variabl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1, pp.155-164, 2016. DOI: https://doi.org/10.1016/j.chb.2016.03.041 

  8. S. Haug, R. P. Castro, M. Kwon, A. Filler, T. Kowatsch, M. P. Schaub,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young people in Switzerland",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4, No.4, pp.299-307, 2015. DOI: https://doi.org/10.1556/2006.4.2015.037 

  9. D. J. Kuss, M. D. Griffiths,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8, No.9, pp.3528-3552, 2011. DOI: https://doi.org/10.3390/ijerph8093528 

  10. C. Johansen, J. D. Boice Jr, J. K. McLaughlin, J. H. Olsen, "Cellular telephones and cancer-a nationwide cohort study in Denmark",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Vol.93, No.3, pp.203-207, 2001. 

  11. K. Demirci, M. AkgonulA. Akpinar,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4, No.2, pp.85-92, 2015. DOI: https://doi.org/10.1556/2006.4.2015.010 

  12. S. Thomee, A. Harenstam, M. Hagberg,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Vol.11, No.1, pp.66, 2011.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11-66 

  13. S. Goyal, G. Gupta, B. Thomas, K. Bhat, G. Bhat, "Stress and periodontal disease: The link and logic!!", Industrial psychiatry journal, Vol.22, No.1, pp.4, 2013. 

  14. T. Kvist, E. M. Annerback, L. Sahlqvist, O. Flodmark, G. Dahllof,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selfperceived oral health and self­reported experiences of abuse",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s, Vol.121, No.6, pp.594-599, 2013. DOI: https://doi.org/10.1111/eos.12084 

  15. M. A. B. Rebelo, J. M. Rebelo Vieira, J. V. Pereira, L. N. Quadros, M. V. Vettore, "Does oral health influence school performance and school attenda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aediatric Dentistry, Vol.29, No.2, pp.138-148, 2019. DOI: https://doi.org/10.1111/ipd.12441 

  16. S. O. Griffin, J. A. Jones, D. Brunson, P. M. Griffin, W. D. Bailey, "Burden of oral disease among older adult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priori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2, No.3, pp.411-418, 2012. DOI: https://doi.org/10.2105/AJPH.2011.300362 

  17. J. M. Broadbent, J. Zeng, L. A. Foster Page, S. R. Baker, S. Ramrakha, W. M. Thomson, "Oral health- related beliefs, behaviors, and outcomes through the life course", Journal of dental research, Vol.95, No.7, pp.808-813, 2016. DOI: https://doi.org/10.1177/0022034516634663 

  18. K.-Y. Do, K.-S. Le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atic Internet use, sleep problems, and or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a na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5, No.9, pp.1870, 2018. DOI: https://doi.org/10.3390/ijerph15091870 

  19. E.-J. Namkoong, D.-S. Ma,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problematic experiences associated with smartphone use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43, No.3, pp.157-162, 2019. DOI: https://doi.org/10.11149/jkaoh.2019.43.3.157 

  20. M. H. Park, H. Y. Song, "Relationship among the Korean Adolescents Obesity, Health Behavior and Smart phone Usag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3, No.1, pp.47-58, 2019.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9.33.1.47 

  21. H. Tamura, T. Nishida, A. Tsuji, H. Sakakibara, "Association between excessive use of mobile phone and insomnia and depression among Japanese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4, No.7, pp.701, 2017. DOI: https://doi.org/10.3390/ijerph14070701 

  22. A. Oulasvirta, T. Rattenbury, L. Ma, E. Raita, "Habits make smartphone use more pervasive", 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 Vol.16, No.1, pp.105-114, 2012. DOI: https://doi.org/10.1007/s00779-011-0412-2 

  23. E. L. Kenney, S. L. Gortmaker, "United States adolescents' television, computer, videogame, smartphone, and tablet use: associations with sugary drinks, sleep,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The Journal of pediatrics, Vol.182, pp.144-149, 2017. DOI: https://doi.org/10.1016/j.jpeds.2016.11.015 

  24. A. B. Cinar, L. B. Christensen, B. Hede, "Clustering of obesity and dental caries with lifestyle factors among Danish adolescents", Oral Health & Preventive Dentistry, Vol.9, No.2, pp.123-30, 2011. 

  25. Y. H. Lin, Y. C. Lin, Y. H. Lee, P. H. Lin, S.-H. Lin et al, "Time distortion associ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Identifying smartphone addiction via a mobile application (App)",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65, pp.139-145, 2015. DOI: https://doi.org/10.1016/j.jpsychires.2015.04.003 

  26. R. Soni, R. Upadhyay, M. Jain, "Preval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sleep quality and associated behaviour problems in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edical Sciences, Vol.5, No.2, pp.515-519, 2017. DOI: https://doi.org/10.18203/2320-6012.ijrms20170142 

  27. K. Y. Do, K. S. Le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risk factors and oral symptoms in adolescents: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3", Community dental health, Vol.34, No.2, pp.88-92, 2017. DOI: https://doi.org/10.1922/cdh_3954do05 

  28. S. J. Park, K. D. Ko, S. I. Shin, Y. J. Ha, G. Y. Kim, H. A. Kim, "Association of oral health behaviors and status with depression: results from the K 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 Vol.74, No.2, pp.127-138, 2014. DOI: https://doi.org/10.1111/jphd.12036 

  29. K. Ishii, "Examining the adverse effects of mobile phone use among Japanese adolescents", Keio Communication Review, Vol.33, No.33, pp.69-83, 2011. 

  30. O. Lopez-Fernandez, L. Honrubia-Serrano, M. Freixa-Blanxart, W. Gibson, "Prevalence of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in British adolescent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7, No.2, pp.91-98, 2014. DOI: https://doi.org/10.1089/cyber.2012.0260 

  31. M. Samaha, N. S. Hawi,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7, pp.321-325, 2016. DOI: https://doi.org/10.1016/j.chb.2015.12.045 

  32. S. Lemola, N. Perkinson-Gloor, S. Brand, J. F. Dewald-Kaufmann, A. Grob, "Adolescents' electronic media use at night, sleep disturbance,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smartphone ag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44, No.2, pp.405-418, 2015. DOI: https://doi.org/10.1007/s10964-014-0176-x 

  33. Y. K. Lee, C. T. Chang, Y. Lin, Z. H. Cheng, "The dark side of smartphone usage: Psychological traits, compulsive behavior and technostr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1, pp.373-383, 2014. DOI: https://doi.org/10.1016/j.chb.2013.10.0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