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층모형을 활용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Multi-level Models i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 Moderating Effect of Elderly's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5, 2017년, pp.89 - 98  

강종필 (서울시립대학교) ,  윤지영 (대한상공회의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연구로, 인구학적 배경, 경제 활동과 함께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 지지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5차 국민노후보장패널의 독거노인 890명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지역에 따른 무선효과를 가져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은 도에 사는 경우 광역시나 서울시에 사는 경우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생활비가 많을수록, 경제활동을 하고, 경제적으로 독립된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뿐만 아니라, 생산적 여가에 참여할 경우 그렇지 못한 경우 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으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산적 여가참여를 하는 경우 사회적 지지를 받을수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생산적 여가참여의 촉진책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influenced by demographic background, economic activity, productive leisure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in this study was from 5th Korean Retirement Income Study, and 890 el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에서 고찰한 것처럼,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져왔으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생산적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토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생산적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가 미미한 ‘독거노인’을 주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삶의 만족에 초점을 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향후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로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모형 검증 전에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Table 2]와 같이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지역, 교육수준, 경제활동 유무, 경제적 독립 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수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소득이 낮은 경우 여가의 한계효용은 음의 값을 보이기도 하는데[37], 노년기가 되면 사회와 가정에서의 역할 축소로 여가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늘어난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여가활동은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되고, 단순하고 분석이 용이한 Erik과 Koen의 생산적 여가활동과 소비적 여가활동 분류유형을 사용하고자 한다[38]. 생산적 여가활동은 능동적, 창의적 활동으로서 스포츠 활동, 취미․학습활동, 종교․사회참여활동 등이 해당된다.
  •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노인의 삶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노년기를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보내는지를 측정하는 지표가 되는데, 급속한 고령화와 독거노인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삶의 만족도가 매우 낮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도 의미가 있고, 정책적으로도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 정책 수립과 집행 등 실천적 측면에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23,24].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노인부부나 가족동거 노인에 비해 여가활동이 부족하고, 사회적 지지가 적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여가활동 중에서 영향력이 큰 생산적 여가활동에 대해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생산적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부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독거노인 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usa와 Lyubomirsky가 말한 삶의 만족도란 무엇인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노인의 삶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며, 만족도는 노년기를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보내는지를 측정하는 지표가 된다. Sousa와 Lyubomirsky[18]는 삶의 만족도를 자신의 환경을 받아들이거나 자신이 바라는 것과 삶의 전분야에서 욕구충족이 되어 만족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19].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높아진다는 연구와 낮아진다는 연구가 함께 제시되어 왔다[20,21,22].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생산적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를 보면, 여가활동이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그 자체로서 영향을 주고, 동시에 조절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여가활동 중에서 영향력이 큰 생산적 여가활동에 대해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생산적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부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독거노인 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독거노인의 추이는 어떻게 되는가? 노인의 증가와 더불어 독거노인도 증가하고 있는데 그 증가 속도는 전체 노인 증가속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하면 독거노인이 2005년 약 776천명에서 2015년 약 1,379천명으로 1.8배 증가하였고, 전체 노인 중 독거노인 비율은 2005년 17.8%에서 2015년에는 20.8%, 2025년 21.8%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Mi-Hye Kim, Je-Ran Chun, Seong-Ae Hong, "Factors of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Influencing Old Patient's Decision of Advance Directives Attitud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y, Vol. 6, No. 4, pp. 123-129, 2016. 

  2. DOI: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5/index.board?bmoderead&aSeq352215 

  3. DOI:http://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periodical/focus/list.jsp 

  4. Sung Ho Hu, Jong Dae Kim, "Analysis of Multi-level Effectivenes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t KLIPS 2006,"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1 No. 2, 2011. 

  5. Joo-Yeon Lee, Young-Sook, Moon, “Effects of Chronic Pain an 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uicide in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445-458, 2015. 

  6. Hee-Seung S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Walk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Walk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 515-525, 2016. 

  7. Nam Hee Kim, Sun Young Lim, “Convergence Study on Diabetes Self-Management Knowledge, Social Support, Educational Needs of the diabetes in rura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 79-89, 2017. 

  8. Gab-Suk Lee, Wang-Kyu Lim,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0, pp. 291-306, 2012. 

  9. Ye Sung Kim, Woong Yong Ha, "A Study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on the Suicide Ide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5 No .4, pp. 344-374, 2015. 

  10. Young Choi, "Household Types an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29, pp. 123-149, 2005. 

  11. Ji-Sun Park, Young-Ju Yu, “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 63-70, 2016. 

  12. Sung-Hui Cho,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2, pp. 423-431, 2015. 

  13. Min-Ah Lee, Jibum Kim, Jeong-han Kang, "Living Arrange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29, pp. 41-67, 2011. 

  14. Hye Kyung Han, Yu Ri Lee, “A Study on Factors Impacting on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3, pp. 805-822, 2009. 

  15. Soon-Mi Yang, Sook-Ja Hong, “Living Arrangement and Psychological Loneliness of Rural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1, No. 6, pp. 129-139, 2003. 

  16. Hyun Jung Kang, "Social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21, pp. 1-26, 2009. 

  17. Suk-Hee Choi, Sun-Hee Song, “The Effect of elderly Wisdom on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Child Relationshi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2, pp. 49-59, 2014. 

  18. Sousa, L., Lyubomirsky, S. "Life satisfaction." Encylopedia of women and gender :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 and impact of society on gender, Vol. 2, pp. 667-676, 2001. 

  19. Soo-young Kim, Kyung-joo Moon, Su-jie Chang, Exploring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Baby Boomers by Using Multi-Level Analysi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1, No. 4, pp. 391-421, 2016. 

  20. Dong Bae Kim, Ene Young Park, Seong Ung Kim, The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by the Asset Types: Focused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Economic Activity, Social Welfare Policy, Vol. 36, No. 3, pp. 471-494, 2009. 

  21. Jeong Hwa Lee, Gyeong Hye Han, The Effects of Work and Leisure Activiti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Vol. 13, No. 1, pp. 209-238, 2003. 

  22. McClelland, K. A., “Self-conception and life satifaction: Integrating aged subculture and activity theory,” Journal of Gerontology, Vol. 37, No. 6, pp. 723-732, 1982. 

  23. Jung Ui Le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S. Korea: 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3, pp. 709-726, 2010. 

  24. Sungwon Kim, Eunjin Lee, Soondool Chung,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using Hierarchical Model Analysis focused on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6 No. 3, pp. 581-594, 2016. 

  25. Seong Gyu Lee,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 73-86, 2014. 

  26. Yi-cheol Kim, Jina Paik, “The Effects of 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7, pp. 279-287, 2016. 

  27. Tae Hyun Kim, Eun Joo Han, "Relationship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Experience to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Living-Alone Elderly Peopl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9, No. 3, pp. 81-106, 2004. 

  28. Gaymu, J., & Springer, S.,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Ageing and Society, Vol. 30, pp. 1153-1175, 2010. 

  29. Jung Don Kwon, Ju Yeon Cho,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0, No. 3, pp. 61-76, 2000. 

  30. Ki Nam Park, “Gender Difference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4, No. 3, pp. 13-29, 2004. 

  31. Young Bum Kim, Joon Shik Park, “The Family Network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4, No. 1, pp. 169-185, 2004. 

  32. Min-Ah Lee, Jibum Kim, Jeong-han Kang, "Living Arrange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29, pp. 41-67, 2011. 

  33. Yong Min Choe, Sang Ju Le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for Single Home-owned Old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22, pp. 193-217, 2003. 

  34. Hays, J. C., George, L. K., “The Life-Course Trajectory Toward Living Alone,” Research on aging, Vol. 24, No. 3, pp. 283-307, 2002. 

  35. Kwuy Bun Kim, Yun Jung Lee, So hyune Sok,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0, No. 5, pp. 765-777. 2008. 

  36. Hee Kyung Kim, Hyun Ju Lee, Soon Mi Park,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279-292, 2010. 

  37. Yu-Mi Jang, “A Study on Labor Market Policy according Wage and Labor time in the Kore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y, Vol. 3, No. 1, pp. 7-13, 2013. 

  38. Erik Van Ingen, Koen Van Eijck, "Leisure and SocialCapital, Leisure Sciences," Vol. 31, No. 2, pp. 192-206, 2009. 

  39. Sang-Shik Shin, "The Effects of Elderly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Ph.D.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2011. 

  40. Havinghurst, R. J., and Albrecht, R.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pp. 316, 1953. 

  41. Ragheb, M. G., Griffith, C. A.,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of older pers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 14, No. 4, pp. 295-306, 1982. 

  42. Riddick, C. C., “Leisure satisfaction precursor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 18, No. 4, pp. 259-265, 1986. 

  43. Hye Young Baek,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ged Participating in Senior Citizen's Cent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8, No. 4, pp. 73-92, 2012. 

  44. Hye-Jung Choi, Soon-Ki Back, “A Study on Depressive disposition by Convergence approach of Leisure History and Family situat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295-302, 2015. 

  45. Sun Woo Lee, “Effects of Positive Attitude of Laughter Recreation Convergence Educa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37-49, 2015. 

  46. Hyunji Lee, "The impact of social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comparing living arrangement,"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48, pp. 269-290, 2014. 

  47. Ok Hee Kim, "Analysis of Effects which Social Supports and Cohabiting Influence on the Elderly's Mental Health,"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2, pp. 234-255, 2013. 

  48. Jae Yop Kim, Yun Kyung Chung, Jeen Suk Le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ive Relationship in the Contribution of Adolescents' Experience of Domestic Child Abuse to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21, pp. 119-144, 2009. 

  49. Rusell, D., Taylor, J., “Living alon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influence of gender, physical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among hispanic and non-hispanic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 Vol. 64, No. 1, pp. 95-104, 2009. 

  50. Ki Tae Kim, Bong Gil Park, “Life Satisfaction and Soc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0, No. 1, pp. 153-168, 2000. 

  51. Hee Kyung Kim, Qin Lan Lin, Jung Sun An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1 No. 1, pp. 33-47, 2011. 

  52. Sangchul Lee, Heejeong Jeon, "The Effects of Combined Indicator in Income Level and Living Arrangement,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51, pp. 53-76, 2016. 

  53. Eun Surk Yi, “The Effects Suicide-Buffering Testing of Leisure Activity for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Vol. 23, No. 3, pp. 179-203, 2010. 

  54. E. Saito, Y. Sagawa, K. Kanagawa, "Social support as a predictor of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Japa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Vol. 7, pp. 29-63, 2005. 

  55. J. C. Hays, W. B. Saunders, E. P. Flint, B. H. Kaplan, D. G. Blazer,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s risk factors for loss of physical function in late life.,” Aging and Mental Health, Vol. 1, No. 3, pp. 209-220, 1997. 

  56. Sang Hee Jo,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of the Aged at the Leisure to the Social Network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Hanyoung Academic Journal, Vol. 4, pp. 431-456, 2012. 

  57. DOI: http://institute.nps.or.kr/jsppage/recearch/panel/panel_01.jsp 

  58. Jae Eun Seok, Eun Jin Jang,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Resource by Gend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1, No. 2, pp. 321-349, 2016. 

  59. Na Rae Bae, Chung Sun Park,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2, pp. 761-779, 2009. 

  60. Young Choi, “Economic an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4, No. 4, pp. 103-123, 2008. 

  61. Yoo-Mee Song, Sun-Ja Lee, Mi-Sook Ko,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Alone-Living Elder's Isolat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Vol. 16, No. 4, pp. 369-391,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