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독 관련 사망에서의 사망진단서 오류
Errors of Death Certificate for Poisoning Related Death 원문보기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v.18 no.1, 2020년, pp.11 - 17  

박찬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김선휴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s errors in death certificates (DCs) issued to cases of poisoning. Methods: DCs issued in poisoning cas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Errors in the DC were classified as major and minor errors, and wer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ir impact on the process of sel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외상 관련 사망에 대한 사망진단서 오류를 다룬 연구가 있었고 이 경우 사망의 원인을 많이 기술할수록 오히려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점을 발견하였다14). 이번 연구는 중독 관련 사망에 한정하여 흔히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 조사하였고 단순히 중독 관련 외인사로 사망진단서가 작성된 환자 뿐만 아니라 병사로 사망한 환자들의 의무기록도 검토함으로써 진단 자체의 오류도 조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 수가 적어 중독 발생시점으로부터 사망까지의 기간과 사망의 종류 판정에 대한 오류 발생 가능성과의 연관성에 관해서는 충분히 검증을 하지 못하였다.
  • 작성된 사망진단서에 많은 오류가 있음은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바가 있지만1,3-13), 사망의 원인이 주로 중독인 경우에 작성된 사망진단서의 특징적인 오류에 대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번 연구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 JI, Lee YJ, Kim HS, Min BW, Kim HJ, Chung SH, et al. Discrepant causes of death between medical death certificates and autopsy reports (II). Korean J Leg Med 2012;36:27-33. 

  2. Kim YJ, Park SJ. Official category of death changed for farmer Baek Nam-ki, from "illness" to "external causes". The Hankyoreh. 2017 June 16 Available at: http://www.hani.co.kr/arti/english_edition/e_national/799101.html Accessed May 14 2020. 

  3. Akakpo PK, Awuku YA, Derkyi-Kwarteng L, Gyamera KA, Eliason S. Review of errors in the issue of medical certificates of cause of death in a tertiary hospital in Ghana. Ghana Med J 2017;51:30-5. 

  4. Al-Kubaisi NJ, Said H, Horeesh NA. Death certification practice in Qatar. Public Health 2013;127:854-9. 

  5. Cambridge B, Cina SJ. The accuracy of death certificate completion in a suburban community. Am J Forensic Med Pathol 2010;31:232-5. 

  6. Filippatos G, Andriopoulos P, Panoutsopoulos G, Zyga S, Souliotis K, Gennimata V, et al. The quality of death certification practice in Greece. Hippokratia 2016;20:19-25. 

  7. Kang E, Lee H, Kim SH. The effect of education on 'how to write the death certificate' for resident trainees of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18;29:529-50. 

  8. Kim HA, Kim KY, Kam S, Oh GJ, Shin MH, Sohn SJ, et al. Accuracy of death certificates completed by medical student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0;35:89-98. 

  9. Lu TH, Shau WY, Shih TP, Lee MC, Chou MC, Lin CK. Factors associated with errors in death certificate completion. A national study in Taiwan. J Clin Epidemiol 2001;54:232-8. 

  10. Maharjan L, Shah A, Shrestha KB, Shrestha G. Errors in cause-of-death statement on death certificates in intensive care unit of Kathmandu, Nepal. BMC Health Serv Res 2015;15:507. 

  11. Myers KA, Farquhar DR. Improving the accuracy of death certification. CMAJ 1998;158:1317-23. 

  12. Yoon SH, Kim R, Lee CS. Analysis of death certificate errors of a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Korean J Leg Med 2017;41:61-6. 

  13. Statistics Korea.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Daejeon; 2015. 

  14. Chang J, Kim SH, Lee H, Choi B. Analysis of Errors on Death Certificate for Trauma Related Death. J Trauma Inj 2019;32:127-35. 

  15. Lee H, Kim SH, Choi B, Ock M, Park EJ. Concordance between the underlying causes of death on death certificates written by three emergency physicians. Clin Exp Emerg Med 2019;6:218-25.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 ICD-10. 5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17. Korean Medical Association. How to write and issue medical certificates: Seoul; 2015. 

  18. Kim MY, Lee SD. A proposal for writing a better death certificate. J Korean Med Assoc 2018;61:259-67. 

  19. Madadin M, Alhumam AS, Bushulaybi NA, Alotaibi AR, Aldakhil HA, Alghamdi AY, et al. Common errors in writing the cause of death certificate in the Middle East. J Forensic Leg Med 2019;68:101864. 

  20. Schuppener LM, Olson K, Brooks EG. Death Certification: Errors and Interventions. Clin Med Res 2020;18:21-6. 

  21. Park DK, Kim SY, Kang JH, Han SH, Kim CH, Lee MC, et al. Errors in death certificates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1992;13:442-9. 

  22. Wood KA, Weinberg SH, Weinberg ML. Death Certification in Northern Alberta: Error Occurrence Rate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Am J Forensic Med Pathol 2020;4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