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골 골연골병변: 하지 정렬을 교정하면 거골 골연골병변이 좋아질까?
If the Lower Extremity Alignment is Corrected, Will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Improve?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4 no.2, 2020년, pp.42 - 47  

김유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산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경일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산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한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산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reased loading in a localized area is a possible cause of pain-related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OLT), but the reported effects of realignment surgery for OLT have been anecdotal. Moreover, no report of realignment surgery for OLT could be found in the English literature. This study 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거골의 골연골병변에 대한 확실한 치료법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가운데 병변 자체를 치료하는 고전적인 방법이 아닌, 현재 서서히 언급되고 있으나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하지 정렬의 교정에 대한 치료에 대하여 그 근거와 임상적 결과 등을 조사 및 정리하여 알아보고 향후 거골 골연골병변 치료의 새로운 축이 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 그러나 과거에 발표되었던 몇몇 보고들에서 부정 정렬을 교정하는 수술적 치료로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는 보고들을 찾을 수 있어 먼저 이들을 소개 분석하고자 한다.
  • 최근 국내에서는 몇몇 소수의 저자들에 의하여 하지 정렬을 정상으로 교정하면 거골의 골연골병변이 호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아직 문헌으로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연구에 대한 중간 보고가 국내 학회에서 발표된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관절의 특징은? 발목관절은 연골이 얇지만 상합성이 높아 넓은 부위로 압력이 분산되어 단위 면적당 연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감소한다. 그러나 골절의 부정 유합 등에 의하여 관절의 접촉 면적이 감소할 경우 남은 연골에 대한 부하는 크게 증가한다.
하지 정렬의 교정만으로 거골 골연골병변을 치료할 때에 고려해야 할 요소는?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지의 부정 정렬이 거골의 한 구획에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에는 여러 연구에서 대체로 동의하고 있 으며 다만 하지 정렬의 교정만으로 거골 골연골병변을 치료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저자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발목관절은 고관절, 슬관절 등의 다른 관절보다 많은 상하 인접 관절을 가지고 있어 다른 하지 인접 관절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그들로부터 영향을 받는 역학적으로 복잡한 관절이므로 거골 자체 의 문제를 그 자체로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인접 관절과 유기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거골 골연골병변과 하지 정렬과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를 치료에 도입할 수 있을지를 연 구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시도로 생각되며 특히 국내의 저자들이 이러한 새로운 시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 생각된다.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치료 방법들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거골의 골연골병변(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OLT)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대부분 병변 자체에 대한 치료 방법들로 전통적으로 손상된 연골의 회복을 유도하는 방법(repair), 연골을 재생시키는 방법(regeneration), 그리고 연골을 대체하는 방법(replacement) 등이 큰 축을 이루고 있으며1,2) 최근에는 연골에 대한 생물학적 강화 요법(biological augmentation)으로 연골의 자가 회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rich plasma), 농축 골수 추출액(concentrated bone marrow aspirate) 등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시도되어 점차 그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1-4) 앞에서 언급된 골연골병변 자체에 대한 치료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는 치료의 주된 축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ianakos AL, Yasui Y, Hannon CP, Kennedy JG. Current management of talar osteochondral lesions. World J Orthop. 2017;8:12-20. doi: 10.5312/wjo.v8.i1.12. 

  2. Steele JR, Dekker TJ, Federer AE, Liles JL, Adams SB, Easley ME.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current concepts in diagnosis and treatment. Foot Ankle Orthop. Published online July 27, 2018; doi: 10.1177/2473011418779559. 

  3. Hannon CP, Smyth NA, Murawski CD, Savage-Elliott BA, Deyer TW, Calder JD, et al.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aspects of current management. Bone Joint J. 2014;96:164-71. doi: 10.1302/0301-620X.96B2.31637. 

  4. Baums MH, Schultz W, Kostuj T, Klinger HM. Cartilage repair techniques of the talus: an update. World J Orthop. 2014;5:171-9. doi: 10.5312/wjo.v5.i3.171. 

  5. Easley ME, Vineyard JC. Varus ankle and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Foot Ankle Clin. 2012;17:21-38. doi: 10.1016/j.fcl.2011.11.011. 

  6. Paul J, Hinterwimmer S, Vavken P, Wortler K, Imhoff AB. [Association between hindfoot alignment and localisation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Z Orthop Unfall. 2014;152:389-92. German. doi: 10.1055/s-0034-1368604. 

  7. Lee WC, Kim JB. CT analysis of cystic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after realignment surgery for ankle pain. Paper presented at: 63rd Annual Congress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9 Oct 17-19; Seoul, Korea. p.190. 

  8. Takakura Y, Tanaka Y, Kumai T, Tamai S. Low tibial osteotomy for osteoarthritis of the ankle. Results of a new operation in 18 patients. J Bone Joint Surg Br. 1995;77:50-4. doi: 10.1302/0301-620X.77B1.7822395 

  9. Takakura Y, Takaoka T, Tanaka Y, Yajima H, Tamai S. Results of opening-wedge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a post-traumatic varus deformity of the ankle. J Bone Joint Surg Am. 1998;80:213-8. doi: 10.2106/00004623-199802000-00008. 

  10. Cheng YM, Huang PJ, Hung SH, Chen TB, Lin SY. The surgical treatment for degenerative disease of the ankle. Int Orthop. 2000;24:36-9. doi: 10.1007/s002640050009. 

  11. Stamatis ED, Cooper PS, Myerson MS. Supramalleolar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distal tibial angular deformities and arthritis of the ankle joint. Foot Ankle Int. 2003;24:754-64. doi: 10.1177/107110070302401004. 

  12. Tanaka Y, Takakura Y, Hayashi K, Taniguchi A, Kumai T, Sugimoto K. Low tibial osteotomy for varus-type osteoarthritis of the ankle. J Bone Joint Surg Br. 2006;88:909-13. doi: 10.1302/0301-620X.88B7. 

  13. Lee WC, Moon JS, Lee HS, Lee K. Alignment of ankle and hindfoot in early stage ankle osteoarthritis. Foot Ankle Int. 2011;32:693-9. doi: 10.3113/FAI.2011.0693. 

  14. Lee WC, Moon JS, Lee K, Byun WJ, Lee SH. Indications for supramalleolar osteotomy in patients with ankle osteoarthritis and varus deformity. J Bone Joint Surg Am. 2011;93:1243-8. doi: 10.2106/JBJS.J.00249. 

  15. Moon JS, Lee K, Lee HS, Lee WC. Cartilage lesions in anterior bony impingement of the ankle. Arthroscopy. 2010;26:984-9. doi: 10.1016/j.arthro.2009.11.021. 

  16. Moon JS, Shim JC, Suh JS, Lee WC. Radiographic predictability of cartilage damage in medial ankle osteoarthritis. Clin Orthop Relat Res. 2010;468:2188-97. doi: 10.1007/s11999-010-1352-2. 

  17. Steffensmeier SJ, Saltzman CL, Berbaum KS, Brown TD. Effects of medial and later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ies on tibiotalar joint contact stresses. J Orthop Res. 1996;14:980-5. doi: 10.1002/jor.1100140619. 

  18. Fairbank A, Myerson MS, Fortin P, Yu-Yahiro J. The effect of calcaneal osteotomy on contact characteristics of the tibiotalar joint. Foot. 1995;5:137-42. doi: 10.1016/0958-2592(95)90006-3. 

  19. Lee HS, Wapner KL, Park SS, Kim JS, Lee DH, Sohn DW. Ligament reconstruction and calcaneal osteotomy for osteoarthritis of the ankle. Foot Ankle Int. 2009;30:475-80. doi: 10.3113/FAI.2009.04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