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 융합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Spatial Equity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and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v.6 no.2, 2020년, pp.65 - 72  

이성진 (창원대학교 산업비즈니스과) ,  윤기혁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을 측정·분석하여 공간적 배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유형과 기능 등에 대한 사회복지학 및 공간 배치의 형평성에 대한 지리학 또는 지역개발학의 학문을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공간적 배치(욕구 대 서비스)의 경우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시·군지역 모두에 있었지만, 대체로 시지역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지역적 배분의 형평성의 경우 시지역과 군지역을 비교해보면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의 형평성이 높다. 셋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은 시설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며, 거리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공간적 형평성은 시와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보이며, 군지역에 비해 시지역의 공간적 형평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언을 하였고, 사물인터넷, AI 등의 기술을 접목한 융합 연구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measure and analysis the spatial equity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and services, and, based on this, to seek the plan to secure the fairness. To this en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converging the studies of geography and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equi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노인의료복지시설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도시와 농촌 간, 주민수 대비 노인 의료복지시설 배분의 비형평 정도, 접근성 등은 어떠한지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형평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서비스 가능 인원수와 지역의 인구사회통계적 특성을 대비하여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 하지만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공평성의 문제에 대한 융합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 실태 및 문제점을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서비스의 공간적 배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둘째, 접근성은 다른 기준들에 비해 사회서비스의 제공과 분배에 있어 불평등 문제를 내포하기에 공간적 형평성 또는 공간적 불평등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성과 접근성을 모두 고려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지역 내 각 시·군별 로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을 측정 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을 판단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 배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복지법 제34조의 노인의료복지시설인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융합연구로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노인의료복지시설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도시와 농촌 간, 주민수 대비 노인 의료복지시설 배분의 비형평 정도, 접근성 등은 어떠한지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을 측정·분석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공간적 배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 공간적 형평성 수준에 대한 분석은 박종화·윤대식·이종열(2016) 등이 제시한 욕구 대 서비스 비율, 상관관계분석을 중심으로 측정하고자 한다[12].
  • 본 연구는 노인복지법 제34조의 노인의료복지시설인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및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융합연구로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노인의료복지시설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도시와 농촌 간, 주민수 대비 노인 의료복지시설 배분의 비형평 정도, 접근성 등은 어떠한지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형평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둘째,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형평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서비스 가능 인원수와 지역의 인구사회통계적 특성을 대비하여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형평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첫째, 욕구 대 서비스 비율은 단순히 대상자 수와 각 시설의 개수 외에 시설의 정원과 이용자, 종사자도 살펴 보고자 한다. 지역적 배분의 형평성은 노인의료복지시설 대상자와 각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실제 사용자 또는 종사자들 간의 비율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형평성이란? 이 슬로건의 핵심 키워드인 평등, 공평, 정의는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이념이다. 특히 공정한 처우를 뜻하는 형평성(equity)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자원을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1].
현 정부의 슬로건은? 현 정부의 슬로건은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평하며, 결과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이 슬로건의 핵심 키워드인 평등, 공평, 정의는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이념이다.
예전의 사회복지 연구와 비교하여 현 사회복지 연구의 특징은? 그러나 최근에는 공간적 형평성이 배분적 또는 사회적 형평성 못지않게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왜냐하면 사회 복지시설 배치 또는 서비스 전달에서의 형평성 달리 공 간적 형평성은 클라이언트의 접근용이성과 비파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Park, "Social Welfare Policy," Gyeonggi-do: Community Publishing Company, 2016. 

  2. B.K.Shin, K.I.Park, and M.H.Le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Gyeonggi-do:Community Publishing Company, 2014. 

  3. H.S.Ahn, "Discussion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Social Welfare Policy, Vol.43, No.3, pp.59-83, 2016. 

  4. H.J.Noh and H.J.Kim, "Types of income movements of the poor after the economic crisi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35, No.2, pp.35-61, 2019. 

  5. S.J.Choi, and K.M.Nam,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Seoul: Nanam, 2014. 

  6. J.S.Choi and Y.R.Yang, "Welfare Experience and Needs of Rural elderly,"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Vol.9, No.1, pp.295-313, 2015. 

  7. K.W.Um, "A Study on the Equity of Welfare Programs for Elders Living at Home According to Area and Service Typ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20, pp.1-19, 2006. 

  8. K.H.Lee, "A Scheme on Anomaly Prevention for Systems in IoT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Vol.5, No.2, pp.95-101, 2019. 

  9. S.H.Lee, "A Study on an Improvement Method of Social Equity in Using the Public Space-Focused on Main Square in Seoul Cityl,"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17, No.1, pp.45-64, 2016. 

  10. K.S.Kim, "A Study on Spatial Equity of Opportunities to Use Public Childcare Services Focusing on National/Public Childcare Centers in Seoul," Seoul Studies, Vol.17, No.1, pp.45-64, 2016. 

  11. H.J.Kim, S.W.Lee, and D.H.Cho, "An Analysis of Spatial Equity and Locational Efficienc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Vol.34, No.4, pp.1-24, 2011. 

  12. J.W.Park, D.S.Yark, and J.Y.Lee, "Regional Development: Theory&Policy "Gyeonggi-do: Community Publishing Company, 2014 

  13. K.H.Youn and J.Y.Le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rvice Quality of Youth Training Facility Employees in Internet of Thing Environmen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Vol.6, No.1, pp.31-38, 2020. 

  14. Y.H.Lee, "The Internet of Things in Health and Welfare: Applications and Opportuniti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No.238, pp.31-43, 2016. 

  15. T.H.Jo and Y.J.Sohn, "Discussion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Vol.10, No.1, pp.51-63, 201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