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리막을 이용한 공기 중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Membrane-based Direct Air Capture Technologie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30 no.3, 2020년, pp.173 - 180  

유승연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박호범 (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 화석 연료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공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수 세기에 걸쳐 증가하고 있다. 대기로의 CO2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주요 배출원인 발전소와 공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기후 변화 완화 정책에 따라 negative emission 기술로 언급되는 공기 중 CO2 직접 포집 기술(direct air capture, DAC)은 CO2 농도가 0.04%로 매우 낮기 때문에 기존의 CCS 기술에 적용된 기술과 달리 흡착제를 이용한 저농도 CO2 포집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DAC 분야는 주로 CO2의 흡착을 이용한 습식 흡착제, 건식 흡착제, 아민 기능화된 소재, 이온교환 수지 등이 연구되었다. 흡착제 기반 기술은 흡착제 재생에 따른 고온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가 없는 분리막 기반의 공기 중 CO2 포집 기술의 잠재력이 크다. 분리막은 특히 실내 공기 CO2 저감 환기 시스템 및 실내용 스마트팜(smart farm) 시스템의 연속적인 CO2 공급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2 처리 기술은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이 지속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공정 설계와 소재 성능 향상을 통해 공기 중 CO2 포집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emand for fossil fuels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 in the air has increased over the centuries. The way to reduce CO2 emissions to the atmosphere,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be applied to power pla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포집, 정제 및 150 bar에서의 압축비용은 톤당 $94~232로 보고하였다[29]. Climeworks는 공기 중 80%의 CO2를 포집하여 합성 디젤로 전환하는 파일럿 공정을 진행하였고, Global thermostat은 상업용 규모의 온실 CO2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Infinitree는 이온교환 흡착제 기반의 수분 스윙 공정을 통해 포집한 CO2를 농작물에 공급하는 도시 농업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Table 1).
  • 얇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아민계 음이온 교환 수지가 분산된 형태로 건조시 CO2를 흡착하고, 수분이 있을 때 CO2를 탈착하며, 수분 스윙을 사용하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고분자 이온성 액체(polymeric ion liquids) 가 CO2 흡수 메커니즘에서 CO32- 에서 HCO3- 로 변환하며 친수성이 감소될 때 물을 배출시켜, 열을 제거할 수있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흡착제를 설계하였다[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2 배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화석연료 기반의 대형 공정에 대해서 어떠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가? CO2 배출을 억제하려는 노력으로 화석 연료 기반의 발전소, 시멘트 공장, 정유 공장과 같은 대형 공정에서 발생하는 CO2 제거를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이 제안되고 있다. CCS 기술은 연소 가스로부터의 CO2 포집, 파이프라 인으로의 CO2 수송, 그리고 CO2 저장의 단계로 나눌 수있다.
CCS 기술은 어떻게 나누어 지는가? CO2 배출을 억제하려는 노력으로 화석 연료 기반의 발전소, 시멘트 공장, 정유 공장과 같은 대형 공정에서 발생하는 CO2 제거를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이 제안되고 있다. CCS 기술은 연소 가스로부터의 CO2 포집, 파이프라 인으로의 CO2 수송, 그리고 CO2 저장의 단계로 나눌 수있다. CCS 기술 중 CO2 포집 기술은 전체 비용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연소 전 포집(pre-combustion capture), 순산소 포집(oxy-fuel), 연소 후 포집(post-combustion capture)로 분류된다.
자연의 탄소 순환을 능가하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나타나는 기후변화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현재의 산업구조는 주로 화석 연료의 사용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화석 연료의 연소는 자연의 탄소 순환을 능가하는 수준의 온실가스(greenhouse gases)를 배출한다. 이로 인해 해수면 상승, 표면 온도 상승 등의 기후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보고자 료에 따르면, 온실 가스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공기 중 CO2 농도가 산업화 이전보다130 ppm 이상, 10년 전보다 25 ppm 이상 증가하여 2020 년 현재에는 417 ppm에 도달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ore Writing Team, R. K. Pachauri, and L. A. Meyer (eds.),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eneva, Switzerland (2014). 

  2. "https://www.esrl.noaa.gov/gmd/ccgg/trends/weekly.html", June 7 (2020). 

  3. V. Masson-Delmotte, P. Zhai, H.-O. Portner, D. Roberts, J. Skea, P. R. Shukla, A. Pirani, W. Moufouma-Okia, C. Pean, R. Pidcock, S. Connors, J. B. R. Matthews, Y. Chen, and X. Zhou (eds.)., "Global warming of $1.5^{\circ}C$ .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circ}C$ above pre-industrial levels and related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 pathways,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2018). 

  4. C. W. Jones, " $CO_2$ capture from dilute gases as a component of modern global carbon management", Annu. Rev. Chem. Biomol. Eng., 2, 31 (2011). 

  5. B. A. Oyenekan and G. T. Rochelle, "Alternative stripper configurations for $CO_2$ capture by aqueous amines", AlChE J., 53, 3144 (2007). 

  6. T. C. Merkel, H. Lin, X. Wei, and R. Baker, "Power plant post-combustion carbon dioxide capture: An opportunity for membranes", J. Membr. Sci., 359, 126 (2010). 

  7. D. J. Kim and S. Y. Nam,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f polyimide based material for gas separation", Membr. J., 23, 393 (2013). 

  8. S. J. Jeong, J.-g. Yeo, M. H. Han, and C. H. Cho, "A study on permeation of $CO_2-N_2-O_2$ mixed gases through a nay zeolite membrane under permeate evacuation mode", Membr. J., 23, 352 (2013). 

  9.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and Medicine, "Negative emissions technologies and reliable sequestration: A research agenda",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018). 

  10. K. S. Lackner, "Capture of carbon dioxide from ambient air", Eur. Phys. J. Special Topics., 176, 93 (2009). 

  11. D. W. Keith, "Why capture $CO_2$ from the atmosphere?", Science, 325, 1654 (2009). 

  12. J. Bao, W.-H. Lu, J. Zhao, and X. T. Bi, "Greenhouses for $CO_2$ sequestration from atmosphere", Carbon Resour. Convers., 1, 183 (2018). 

  13. P. Batog and M. Badura, "Dynamic of changes i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bedrooms", Procedia Eng., 57, 175 (2013). 

  14. F. Zeman, "Energy and material balance of $CO_2$ capture from ambient air", Environ. Sci. Technol., 41, 7558 (2007). 

  15. F. S. Zeman and K. S. Lackner, "Capturing carbon dioxide directly from the atmosphere", World Resour. Rev., 16, 157 (2004). 

  16. N. R. Stuckert and R. T. Yang, " $CO_2$ capture from the atmosphere and simultaneous concentration using zeolites and amine-grafted SBA-15", Environ. Sci. Technol., 45, 10257 (2011). 

  17. J. V. Veselovskaya, V. S. Derevschikov, T. Y. Kardash, O. A. Stonkus, T. A. Trubitsina, and A. G. Okunev, "Direct $CO_2$ capture from ambient air using $K_2CO_3/Al_2O_3$ composite sorbent", Int. J. Greenh. Gas Con., 17, 332 (2013). 

  18. C. Gebald, J. A. Wurzbacher, P. Tingaut, T. Zimmermann, and A. Steinfeld, "Amine-based nanofibrillated cellulose as adsorbent for $CO_2$ capture from air", Environ. Sci. Technol., 45, 9101 (2011). 

  19. T. Wang, K. S. Lackner, and A. Wright, "Moisture swing sorbent for carbon dioxide capture from ambient air", Environ. Sci. Technol., 45, 6670 (2011). 

  20. T. Wang, C. Hou, K. Ge, K. S. Lackner, X. Shi, J. Liu, M. Fang, and Z. Luo, "Spontaneous cooling absorption of $CO_2$ by a polymeric ionic liquid for direct air capture", J. Phys. Chem. Lett., 8, 3986 (2017). 

  21. M. S. A. Rahaman, L. Zhang, L.-H. Cheng, X.-H. Xu, and H.-L. Chen, "Capturing carbon dioxide from air using a fixed carrier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 RSC Adv., 2 (2012). 

  22. Y.-T. Zhang, L. Zhang, H.-L. Chen, and H.-M. Zhang, "Selective separation of low concentration $CO_2$ using hydrogel immobilized ca enzyme based hollow fiber membrane reactors", Chem. Eng. Sci., 65, 3199 (2010). 

  23. M. D. Eisaman, L. Alvarado, D. Larner, P. Wang, B. Garg, and K. A. Littau, " $CO_2$ separation using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Energy Environ. Sci., 4, 1319 (2011). 

  24. A. B. Wright and E. J. Peters, "Air collector with functionalized ion exchange membrane for capturing ambient $CO_2$ ", US Patent 7,993,432 B2, August 9 (2011). 

  25. A. B. Wright, K. S. Lackner, and U. Gin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carbon dioxide from air", US 8,337,589 B2, December 25 (2012). 

  26. J. H. Lim, C. S. Lee, H. E. Kim, M. W. Bae, Y. G. Mo, and S. Y. Ha, "Separation and simulation for carbon dioxide from flaring gas using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Membr. J., 25, 99 (2015). 

  27. A. Goeppert, M. Czaun, G. K. Surya Prakash, and G. A. Olah, "Air as the renewable carbon source of the future: An overview of $CO_2$ capture from the atmosphere", Energy Environ. Sci., 5 (2012). 

  28. R. B. Polak and M. Steinberg, "Carbon dioxide removal systems", US Patent 13/256,831, January 5 (2012). 

  29. D. W. Keith, G. Holmes, D. St. Angelo, and K. Heidel, "A process for capturing $CO_2$ from the atmosphere", Joule., 2, 1573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