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 협업 네트워크 특성에 대한 탐색: 서울 소재 A 대학병원 중심으로
Exploring Treatment Collaboration Network Characteristics: Focusing on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2, 2020년, pp.71 - 93  

송혜지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지홍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다양한 질병의 출현과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대학병원 내에서 여러 진료과들이 협업진료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협업진료는 매우 중요하며 의료 현장에서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 특히 진료과들이 어떻게 협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병원 내의 진료과 간의 협업진료 관계를 탐색하여 진료협업 네트워크 특성들이 연도별 및 계절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A대학교 대학병원에서 이루어진 29개 진료과 사이의 협업 진료를 연도별 및 계절별로 나누어 29개 진료과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협업진료의 요청 및 피요청에 따라 방향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매개중심성, 아이겐벡터중심성, 근접중심성 분석, 에고 네트워크 분석 및 팩션분석과 더불어 추후 인터뷰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최초의 진료과 간의 협업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의료기관 내에서의 동선을 고려한 진료과의 위치 및 공간 구성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cope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diseases and the rapidly-changing medical environment, several medical departments are conducting treatment collaborations within the university hospital. This collaborative care is very important and is already common in the med...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학 분야 연구자 및 연구 주제분야에 초점을 둔 계량정보학적 네트워크 분석은 선행되어 왔으나, 진료과 간의 협업진료네트워크는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왔던 현상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료과 간의 협업진료 관계를 탐색하여 의학이라는 전문분야의 지식공유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에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림 1>과 같이 의학 진료 협업 네트워크의 특성이 연도별 및 계절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 1996년~2013년 사이에 발행된 논문 분석 결과, 정신건강의학과 공저자 네트워크는 불균일한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보이며, 영향력이 높은 저자와 공저관계를 맺을수록 높은 연구 성과를, 반복적인 공저자 관계를 맺을수록 낮은 연구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분야에서 발행된 학술지의 공저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사회 구성원이 네트워크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개인이 포함된 네트워크 구조 형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김성완, 최범성, 김봉석, 김경민, 2017). 비연구자들의 협업네트워크 연구 사례도 존재한다.
  • 본 연구에서 활용한 소셜네트워크 분석의 개념과 중심성 지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소셜네트워크 분석은 노드(node) 간의 관계적 집합으로 하나 이상의 관계 유형에 의해 연결된 네트워크 구성원(들)의 집합이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과 같이 의학 진료 협업 네트워크의 특성이 연도별 및 계절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네트워크의 응집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네트워크의 응집성(cohesion)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연결정도, 밀도, 포괄성, 군집화계수, 이행성 등이 있다(박종학, 조윤호, 2011; Frank &Harary, 1982; Wasserman & Faust, 2009). 또한 네트워크에서 구조상 특정 액터가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연결정도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 있으며, 네트워크 전체 관점에서 각 중심성 값의 균등도를 측정하는 연결정도집중성(degree centralization),근접집중성(closeness centralization), 매개집중성(betweenness centralization) 등이 있다(곽기영, 2017; 손동원, 2002; Wasserman &Faust, 2009).
객관적인 분석결과를 얻기위해 수행한 것은 무엇인가?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A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공의를 대상으로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문적인 의학 분야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인 만큼 자의적인 해석이 아닌 객관적인 분석결과를 얻기 위해, 실제 협업 진료가 일어나고 있는 A대학병원 전공자들의 의학 지식과 견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인터뷰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들은 네트워크 분석 대상이 되는 A 대학병원에서 5년 이상의 근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인터뷰는 대상자와 마주 앉아서 미리 준비된 질문지와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질문하고 답변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결정도, 밀도, 포괄성, 군집화계수, 이행성 외에 네트워크의 응집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네트워크의 응집성(cohesion)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연결정도, 밀도, 포괄성, 군집화계수, 이행성 등이 있다(박종학, 조윤호, 2011; Frank &Harary, 1982; Wasserman & Faust, 2009). 또한 네트워크에서 구조상 특정 액터가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연결정도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 있으며, 네트워크 전체 관점에서 각 중심성 값의 균등도를 측정하는 연결정도집중성(degree centralization),근접집중성(closeness centralization), 매개집중성(betweenness centralization) 등이 있다(곽기영, 2017; 손동원, 2002; Wasserman &Faust,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wak, Ki-young (2017). Social network analysis (2nd edition). Seoul: Cheongram Publishing. 

  2. Kim, Soungwan, Choi, Bum-Sung, Kim, Bongseog, & Kim, Kyoung-Min. (2017). Co-author networks i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8(2), 149-154. http://dx.doi.org/10.5765/jkacap.2017.28.2.149 

  3. Kim, Yonghak (2003).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rk Young-sa. 

  4. Park, Jong Hak, & Cho, Yoonho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for the effective adoption of recommender system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7(4), 305-316. 

  5. Bae, Sang Soo (2016). The network analysis for school health program.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3(3), 1-11. http://dx.doi.org/10.14367/kjhep.2016.33.3.1 

  6. Seo, Moungseock, Cho, Myeongji, & Son, Hyeonseok (2018). Investigation of cardiomyopathic marker genes using gene network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55(1), 43-55. 

  7. Sohn, Dae Kyung (2011). Generation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network for colorectal neoplasms. Doctoral Dissertation, Dept. of Medical Informatics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8. Son, Dongwon (2002).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Gyeongmunsa. 

  9. Lee, Jae Chul, & Jin, Hee Jeong (2012). Review of subhealth and Mee-byung research trend as a method of network analysis from 2007 to 2011 in China.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6(5), 615-620. 

  10. Jang, Hae Lan (2011). Analysis of research and researcher network for health technology -Oncogene, Colorectal Neoplasms, Influenza-. Master's thesis, Dept. of Medical Informatics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1. Jang, Hae Lan (2015). Generation of collaboration network and analysis of researcher’s role in national cancer cent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0), 387-399. http://dx.doi.org/10.5392/JKCA.2015.15.10.387 

  12. Choi, Myoungje (2015). The characteristics of a research network for psychiatry in Korea. Master's thesis, Dep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13. Frank, O., & Harary, F. (1982). Cluster inference by using transitivity indices in empirical graph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7(380), 835-840. http://dx.doi.org/10.2307/2287315 

  14. Wasserman, S., & Faust, K. (2009).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