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arental Str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1, 2020년, pp.63 - 71  

정벼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가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향운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의과학과) ,  김의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대한 임상 및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뇌전증이 있는 소아청소년(n=90, age range 6~17 years)을 대상으로 뇌전증 관련 임상 변수를 조사하였고, 환아에게 우울 및 불안 증상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스트레스, 부모 불안 및 환아의 주의력 문제, 행동 문제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뇌전증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변수들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향성 분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부모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를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상관 분석에서 발작의 치료 기간(r=0.253, p=0.016), 환아의 지능(r=-0.544, p<0.001), 주의력 문제(r=0.602, p<0.001), 우울 증상(r=0.335, p=0.002), 불안 증상(r=0.306, p=0.004), 행동 문제(r=0.618, p<0.001) 및 부모의 불안(r=0.478, p<0.001)은 부모의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부모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환아의 행동 문제(β=0.241, p=0.010) 및 지능(β=-0.472, p<0.001) 그리고 부모의 불안(β=0.426, p<0.001)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해 61.9%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결 론 뇌전증을 가진 소아청소년 환아에서 부모의 스트레스는 환아의 행동문제와 인지기능 그리고 부모의 불안과 연관성이 높으며 따라서 임상의는 이에 주의를 기울이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뇌전증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뇌전증 환아의 지능과 행동문제를 조기에 평가하고 부모의 불안감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관찰하여 향후 뇌전증 치료에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lin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parental str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Methods :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n=90, age range=6-17 yea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epilepsy-related variabl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에서 뇌전증 치료를 받는 소아청소년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 스트레스를 평가하였고,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상적 요인과 정신건강의학적 요인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 네 번째로는 뇌전증 환아의 부모에 대해서는 불안에 대해서만 조사하여 뇌전증 환아의 부모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정신병리적 특성과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평가가 미흡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 뿐 아니라 가족의 정신심리적 요인을 같이 평가하였고, 특히 뇌전증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 뇌전증은 환아 및 가족, 지역 사회에 파괴적 효과를 나타내는데, 가장 즉각적인 영향은 환아 및 가족에 대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전증의 증상은 어떠한가? 뇌전증이 있는 소아청소년은 경련 발작 외에도 정서, 인지, 행동적 문제를 동반하는데, 학업 수행 능력 저하, 우울 및 불안, 행동 및 충동 조절 문제, 자존감 저하 및 과도한 심리 사회적 어려움을 겪을 위험이 증가하고,2) 40%에서 지적장애가 나타나며, 33%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21% 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18%에서 발달성 협응장애가 동반된다.3) 또한 당뇨병과 같이 만성질환이 있는 소아와 비교하였을 때도 새로 진단된 뇌전증 환아에서 행동 및 정서적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뇌전증 환아의 부모들의 고민은 무엇인가? 또한 Farrace 등9)의 보고에 의하면, 출생 후 소아의 뇌전증 진단은 육아 스트레스 수준을 증가시키고, 뇌전증 환아에 대한 육아 스트레스는 뇌전증의 조기 진단과는 밀접한 관련이 없어 뇌전증이 있는 모든 연령의 환아의 부모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더욱이 부모는 일, 개인 생활, 사회 생활, 독립적 생활 등의 측면에서 자녀의 미래에 대해 매우 걱정하며, 치료 모니터링 및 관리, 가족 유지, 재정적 안정과 같은 자녀의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전증의 특성은 무엇인가? 뇌전증은 아동기에 가장 흔한 신경질환 중 하나로, 국내연구에 따르면 뇌전증 유병률은 1,000명 당 4명으로 추정되며, 뇌전증 발병은 40% 이상에서 18세 미만으로 소아청소년 시기에 많고, 나이가 어릴수록 새롭게 진단되는 뇌전증 비율이 높고, 활동성 뇌전증 비율이 높으며, 20세까지는 점차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im DW, Lee SY, Chung SE, Cheong HK, Jung KY. Korean Epilepsy Societ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reated epilepsy in Korea: a nationwide epidemiologic study. Epilepsia 2014;55:67-75. 

  2. Sbarra DA, Rimm-Kaufman SE, Pianta RC.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orrelates of epilepsy in adolescence: a 7-year follow-up study. Epilepsy Behav 2002;3:358-367. 

  3. Reilly C, Atkinson P, Das KB, Chin RFMC, Aylett SE, Burch V, Gillberg C, Scott RC, Neville BGR. Neurobehavioral comorbidities in children with active epilepsy: a population-based study. Pediatrics 2014;133:e1586-1593. 

  4. Hoare P, Kelley S.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chronic epilepsy and their families. Dev Med Child Neurol 1991;33:201-255. 

  5. Chiou HH, Hsieh LP. Parenting stres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asthma. Journal of Child Neurology 2008;23:301-306. 

  6. Cushner-Weinstein S, Dassoulas K, Salpekar JA, Henderson SE, Pearl PL, Gaillard WD, Weinstein SL. Parenting stress and childhood epilepsy: the impact of depression, learning, and seizure-related factors. Epilepsy Behav 2008;13:109-114. 

  7. Iseri PK, Ozten E, Aker A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comm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epilepsy. Epilepsy Behav 2006;8:250-255. 

  8. Camfield C, Breau L, Camfield P. Impact of pediatric epilepsy on the family: a new scale for clinical and research use. Epilepsia 2001;42:104-112. 

  9. Farrace D, Tommasi M, Casadio C, Verrotti A. Parenting stress evaluation and behavioral syndromes in a group of pediatric patients with epilepsy. Epilepsy Behav 2013;29:222-227. 

  10. Holroyd J. The questionnaire on resources and stress: an instrument to measure family response to a handicapped family member. J Community Psychol 1974;2:92-94. 

  11. Friedrich WN, Greenberg MT, Crnic K. A short-form of the questionnaire on resources and stress. Am J Ment Defic 1983;88:41-48. 

  12. Achenbach TM, Edelbrock CS.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1983. 

  13. Lee HL, Oh KJ, Hong KE, Ha EH. Clinical validity study of Korean CBCL through item analysi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1;2:138-149. 

  14. Conners CK. Symptom patterns in hyperkinetic, neurotic, and normal children. Child Development 1970;41:667-682. 

  15. Goyette CH, Conners CK, Ulrich RF.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J Abnorm Child Psychol 1978;6:221-236. 

  16. Oh KJ, Lee HL. Assessment of ADHD with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 Kor J Clin Psychol 1989;8:135-142. 

  17. Spielberger CD.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1972. 

  18. Spielberger C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NY: Academic Press;1972. 

  19. Spielberger CD, Gorsuch RL, Lushene RE.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1970. 

  20.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 Med J 1978;21:69-75. 

  21. Kovacs M.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Psychopharmacol Bull 1985;21:995-998. 

  22.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e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943-956. 

  23. Reynolds CR, Richmond BO. What I think and feel: a revised measure of children's manifest anxiety. J Abnormal Child Psychol 1978;6:271-280. 

  24. Choi JS, Cho SC.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691-702. 

  25. Kwak KJ, Park HW, Kim CT. A pilot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WISC-3.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01;14:43-59. 

  26. Kwak KJ, Park HW, Kim CT. A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Korean WISC-3.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02;15:19-33. 

  27. Akay AP, Kurul SH, Ozek H, Cengizhan S, Emiroglu N, Ellidokuz H. Maternal reactions to a child with epilepsy : depression, anxiety, parental attitudes and family functions. Epilepsy Research 2011;95:213-220. 

  28. Dunn DW, Kronenberger WG. Childhood epilepsy, attention problems, and ADHD: review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Semin Pediatr Neurol 2005;12:222-228. 

  29. Shore CP, Austin JK, Dunn DW. Maternal adaptation to a child's epilepsy. Epilepsy Behav 2004;5:557-568. 

  30. Reilly CJ.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hood epilepsy. Res Dev Disabil 2011;32:883-893. 

  31. Berl MM, Terwilliger V, Scheller A, Sepeta L, Walkowiak J, Gaillard WD. Speed and complexity characterize attention problems in children with localization-related epilepsy. Epilepsia 2015;56:833-840. 

  32. Klassen AF, Miller A, Fine 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a diagnosi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s 2004;114:e541-e547. 

  33. Dunn DW, Kronenberger WG. Childhood epilepsy, attention problems, and ADHD: review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Semin Pediatr Neurol 2005;12:222-228. 

  34. Bailet LL, Turk WR. The impact of childhood epilepsy on neurocognitive and behavioral performance: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Epilepsia 2000;41:426-431. 

  35. Austin JK, Dunn DW, Huster GA. Childhood epilepsy and asthma: changes in behavior problems related to gender and change in condition severity. Epilepsia 2000;41:615-623. 

  36. Dunn DW. Neuropsychiatric aspects of epilepsy in children. Epilepsy Behav 2003;4:101-106. 

  37. Floyd FJ, Gallagher EM. Parental stress, care demands, and use of support services for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behavior problems. Family Reactions 1997;46:359-371. 

  38. Ettinger AB, Weisbrot DM, Nolan EE, Gadow KD, Vitale SA, Andriola MR, Lenn NJ, Novak GP, Hermann BP.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pediatric epilepsy patients. Epilepsia 1998;39:595-599. 

  39. Dunn DW, Austin JK, Huster GA. Symptoms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with epileps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38:1132-1138. 

  40. Alwash RH, Hussein MJ, Matloub FF.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with seizures in Irbid, northern Jordan. Seizure 2000;9:412-416. 

  41. Oguz A, Kurul S, Dirik E, Eylul D. Relationship of epilepsy-related factors to anxiety and depression scores in epileptic children. J Child Neurol 2002;17:37-40. 

  42. Shatla R, Sayyah HE, Azzam H, Elsayed RM. Correlates of parental stress and psychopathology in pediatric epilepsy. Ann Indian Acad Neurol 2011;14:252-256. 

  43. Jones C, Reilly C. Parental anxiety in childhood epilepsy: a systematic review. Epilepsia 2016:57:529-537. 

  44. Chapieski L, Brewer V, Evankovich K, Culhane-Shelburne K, Zelman K, Alexander A. Adap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seizures: impact of maternal anxiety about epilepsy. Epilepsy Behav 2005;7:246-252. 

  45. Seidenberg M, Berent S. Childhood epilepsy and the role of psychology. Am Psychol 1992;47:1130-1133. 

  46. Bernstein GA, Borchardt CM, Perwien AR.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1110-1119. 

  47. Rodenberg R, Wagner JL, Austin JK, Kerr M, Dunn DW. Psychosocial issues for children with epilepsy. Epilepsy Behav 2011;22: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