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elf-Concep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8 no.4, 2017년, pp.252 - 259  

하수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최희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향운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김의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lin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self-concep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Method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n=60; age range=9-17 yea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heir epilepsy-related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뇌전증 소아청소년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일 대학병원에서 뇌전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소아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뇌전증 소아청소년의 자아개념을 평가하고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뇌전증 클리닉에서 통원치료를 하고 있는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뇌전증 환아의 자아개념을 평가하였고,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향후 정상 소아청소년의 자아개념을 같이 평가하고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개념이란 무엇인가? 자아개념은 자아존중감의 한가지 결정요인으로서, 소아가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를 나타낸다.6) 자아개념은 환경에 대한 개인의 경험과 개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타인으로부터의 기대와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정체성의 중요한 측면으로, 사회적 수용, 신체 능력 및 외모, 학업 능력과 같은 개인적 특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며 청소년 심리적 건강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뇌전증 소아청소년에게 발생하는 경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7) 이전 연구에서 뇌전증이 있는 소아청소년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위험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는데,5,8) 경련으로 인해 학교 수업 참여가 제한되고 학업 성취도 저하되며 사회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현재 삶의 만족감이 떨어지게 되고,9)뇌전증 소아청소년의 부모는 과잉보호나 활동에 과도한 제한을 함으로써 독립성의 획득이나 사회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10) 또한 경련은 예측할 수 없고 갑자기 발작 행동을 일으킬 수 있어 불안감을 야기시키고, 경련으로 인한 외상뿐 아니라 내적으로 수치심과 불명예를 느낄 수 있어서, 경련 자체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상황이 소아청소년 스스로에게 낙인이 되고 또래로부터 사회적으로 격리되는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장기적인 치료과정에 순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뇌전증 소아청소년은 천식, 당뇨 등과 같은 다른 만성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에 비해 더 부정적인 자아상과 사회적 문제를 갖게 된다.
소아청소년의 뇌전증은 경련발작 외에도 추가로 어떤 문제들을 동반하는가? 소아기에 만성질환이나 장애가 있는 경우 정상 소아에 비해 성장하면서 정서 문제나 행동 장애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특히 중추신경계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뇌전증이나 뇌성마비와 같은 경우 더 낮은 학업적, 사회적 기능을 가질 위험이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3) 소아청소년의 뇌전증은 경련발작 외에도 여러 가지 정서, 인지, 행동적 문제를 동반하는데, 뇌전증 소아의 40%에서 지적 장애, 33%에서 ADHD, 21%에서 자폐 장애가 동반되며 이 외에도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같은 정서적 문제, 행동적 문제를 보인다.4) 또한 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 성숙하고 인지적 능력이 성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아 정체성의 확립이 중요한 발달 과업으로, 소아청소년기에 뇌전증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자아개념(self-concept)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im DW, Lee SY, Chung SE, Cheong HK, Jung KY; Korean Epilepsy Societ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reated epilepsy in Korea: a nationwide epidemiologic study. Epilepsia 2014;55:67-75. 

  2. Sbarra DA, Rimm-Kaufman SE, Pianta RC.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orrelates of epilepsy in adolescence: a 7-year follow-up study. Epilepsy Behav 2002;3:358-367. 

  3. Pinquart M, Teubert D. Academic, physical, and social function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a meta-analysis. J Pediatr Psychol 2012;37:376-389. 

  4. Reilly C, Atkinson P, Das KB, Chin RF, Aylett SE, Burch V, et al. Neurobehavioral comorbidities in children with active epilepsy: a population-based study. Pediatrics 2014;133:e1586-1593. 

  5. Austin JK. Comparison of child adaptation to epilepsy and asthma. J Child Adolesc Psychiatr Ment Health Nurs 1989;2:139-144. 

  6. Russo RN, Goodwin EJ, Miller MD, Haan EA, Connell TM, Crotty M. Self-esteem, self-concept,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J Pediatr 2008;153:473-477. 

  7. Swann WB Jr, Chang-Schneider C, Larsen McClarty K. Do people's self-views matter?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everyday life. Am Psychol 2007;62:84-94. 

  8. Hoare P, Mann H. Self-esteem and behavioural adjustment in children with epilepsy and children with diabetes. J Psychosom Res 1994;38:859-869. 

  9. Jalava M, Sillanpaa M, Camfield C, Camfield P. Social adjustment and competence 35 years after onset of childhood epilepsy: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Epilepsia 1997;38:708-715. 

  10. Seiffge-Krenke I. Chronic disease and perceived developmental progression in adolescence. Dev Psychol 1998;34:1073-1084. 

  11. Kobau R, Price P. Knowledge of epilepsy and familiarity with this disorder in the U.S. population: results from the 2002 HealthStyles Survey. Epilepsia 2003;44:1449-1454. 

  12. Cheung C, Wirrell E. Adolescents' perception of epilepsy compared with other chronic diseases: "through a teenager's eyes". J Child Neurol 2006;21:214-222. 

  13. Song IS.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self-concept. J Educ Eval 2004;17:1-25. 

  14. Han SB.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s and family systems as analyzed by the circumplex model. Korean J Child Stud 1992;13:145-160. 

  15. Kovacs M.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Psychopharmacol Bull 1985;21:995-998. 

  16.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e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943-956. 

  17. Reynolds CR, Richmond BO. Factor structure and construct validity of “what I think and feel”: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 Pers Assess 1979;43:281-283. 

  18. Choi JS, Cho SC.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691-702. 

  19. Achenbach TM, Edelbrock CS.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Dept. Psychiatry, University of Vermont;1983. 

  20. Lee HL, Oh KJ, Hong KE, Ha EH. Clinical validity study of Korean CBCL through item analysi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1;2:138-149. 

  21. Olson DH, Portner J, Lavee Y. FACES III. Family Social Science. S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1985. 

  22. Yoon BB, Lee HR, Kwak KW, Oh MK, Lim JH, Lee KR.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CES III. Korean J Fam Med 1990;11:8-17. 

  23. Harter S, Pike R.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 1984;55:1969-1982. 

  24. Marsh HW, Craven R, Debus R. Structur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lf-concepts: a multicohort-multioccasion study. Child Dev 1998;69:1030-1053. 

  25. Shields N, Loy Y, Murdoch A, Taylor NF, Dodd KJ.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ompared with that of children without impairment. Dev Med Child Neurol 2007;49:350-354. 

  26. Moore PM, Baker GA. The neuro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sequences of living with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implications for clinical management. Seizure 2002;11:224-230. 

  27. Helmstaedter C, Kurthen M, Lux S, Reuber M, Elger CE. Chronic epilepsy and cognition: a longitudinal study in temporal lobe epilepsy. Ann Neurol 2003;54:425-432. 

  28. de Boer HM, Mula M, Sander JW. The global burden and stigma of epilepsy. Epilepsy Behav 2008;12:540-546. 

  29. Hermann B, Jones J, Sheth R, Dow C, Koehn M, Seidenberg M. Children with new-onset epilepsy: neuropsychological status and brain structure. Brain 2006;129(Pt 10):2609-2619. 

  30. Aldenkamp A, Arends J. The relative influence of epileptic EEG discharges, short nonconvulsive seizures, and type of epilepsy on cognitive function. Epilepsia 2004;45:54-63. 

  31. Caplan R, Sagun J, Siddarth P, Gurbani S, Koh S, Gowrinathan R, et al. Social competence in pediatric epilepsy: insights into underlying mechanisms. Epilepsy Behav 2005;6:218-228. 

  32. Baker GA, Spector S, McGrath Y, Soteriou H. Impact of epilepsy in adolescence: a UK controlled study. Epilepsy Behav 2005;6:556-562. 

  33. Ekinci O, Titus JB, Rodopman AA, Berkem M, Trevathan E.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treatment. Epilepsy Behav 2009;14:8-18. 

  34. Jones JE, Watson R, Sheth R, Caplan R, Koehn M, Seidenberg M, et al. Psychiatric comorbidity in children with new onset epilepsy. Dev Med Child Neurol 2007;49:493-497. 

  35. Ferrari M, Matthews WS, Barabas G. The family and the child with epilepsy. Fam Process 1983;22:53-59. 

  36. Ekinci O, Isik U, Gunes S, Yildirim C, Killi Y, Guler G. Self-concep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the role of family functioning, mothers' emotional symptoms and ADHD. Brain Dev 2016; 38:714-722. 

  37. Oostrom KJ, van Teeseling H, Smeets-Schouten A, Peters AC, Jennekens-Schinkel A; Dutch Study of Epilepsy in Childhood (DuSECh). Three to four years after diagnosis: cognition and behaviour in children with 'epilepsy only'.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Brain 2005;128(Pt 7):1546-1555. 

  38. Lee A, Hamiwka LD, Sherman EM, Wirrell EC. Self-concept in adolescents with epilepsy: bi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Pediatr Neurol 2008;38:335-339. 

  39. Berl MM, Terwilliger V, Scheller A, Sepeta L, Walkowiak J, Gaillard WD. Speed and complexity characterize attention problems in children with localization-related epilepsy. Epilepsia 2015;56:833-840. 

  40. Dunn DW, Kronenberger WG. Childhood epilepsy, attention problems, and ADHD: review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Semin Pediatr Neurol 2005;12:222-228. 

  41. Austin JK, Huberty TJ. Development of the Child Attitude Toward Illness Scale. J Pediatr Psychol 1993;18:467-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