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전통건축에서의 화방벽(火防壁) 사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ge of Hwabangbyeok wall i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Joeso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9 no.3, 2020년, pp.7 - 14  

조상순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can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use cases and forms based on the literature on the painting walls of the J oseon Dynasty, and attempted basic research to prevent disaster damage using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summarizes the use of the Hwabangbyeok wall of J oseo...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와 흰개미 등의 충해 등 문화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1) 본 연구는 전통 재료나 기법을 이용하여, 재해로 인한 문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전통적 감재’ 연구 관점에서 시작되었고, 먼저 회, 전돌 등 불연재로 시공된 방화시설인 화방벽의 기원과 사용 특성 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방벽의 특징은? 화방벽은 ‘방화 및 보안 등의 목적으로 쌓은 덧벽으로 보통 외기에 면한 벽면의 중방 이하에 기둥보다 튀어나오도록 설치하며, 사괴석, 벽돌, 자연석 등으로 쌓아 올린다’2)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화방장(火防墻)’은 ‘한식건물의 바깥벽에 사괴석을 벽체에 새끼로 얽어매면서 진흙으로 쌓은 벽, 방화의 목적으로 하였음’으로 정의되어 있고, ‘화방벽(火防壁)’과 같다.
화방벽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는 무엇인가? 둘째, 화방벽은 ‘화방’, ‘화방장’, ‘축중방’ 등 다양한 용어로 표기되었으며, 건물의 외부에 시공되어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종묘, 산릉 등 관영건축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다양한 전통건축물의 벽체에 화방벽이 사용된 이유는? 전통건축에서 화방벽은 종묘 정전과 향교 대성전을 비롯하여, 사찰, 민가 등 다양한 건축물의 벽체에 사용되어 있다. 특히 내부에서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촛불을 켜거나, 음식을 조리하는 등, 내부 발화원인에 대응하기 위한 벽체시공법으로 사용되어 왔다고 알려져 있다.5) 그러나 종묘 정전과 같은 제례 건축에서 알 수 있듯이, 전통건축에서 화방벽은 기본적으로 건물 외면에 축조되어 있으며, 비단 제사나 음식조리와 관련된 건축이 아닌 경우에도 벽체 외부에 화방벽을 구성한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明成皇后]洪陵山陵都監儀軌 

  2. [貞純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3. [獻敬惠嬪]顯隆園園所都監儀軌 

  4. 各陵謄錄 

  5. 各陵修理謄錄 

  6. 健陵山陵都監儀軌 

  7. 景慕宮改建都監義軌 

  8. 垂恩廟營建廳儀軌 

  9. 承政院日記 

  10. 懿昭世孫懿昭廟營建廳儀軌 

  11. 朝鮮王朝實錄 

  12. 宗廟修改謄錄 

  13. 宗廟儀軌 

  14. 追尊時儀軌 

  15. 華城城役儀軌 

  16. 국역 학교등록 

  17. 연려실기술 

  18.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옥건축기준 안내서, 2015 

  19. 김왕직, 조선왕릉 수라간(水刺間)의 건축형식 고찰, 동양예술 제25호, 2014 

  20. 이승환, 白土를 사용한 조선시대 전통미장기법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1. 장기인, 韓國建築辭典, 普成閣, 1993 

  22. 조영민, 17c 이후 니장(泥匠) 기법 변천 연구, 명지대학교 박론, 2014 

  23. 이상명, 산릉의궤 정자각을 통해 본 조선후기 관영건축의 시공기술,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4. 국립문화재연구소, 목조문화재 화재예방 방염제 성능평가 및 도포기준 연구, 2013 

  25. 타케유키 오쿠보(大窪健之), 歷史に學ぶ減災の知惠, 學芸出版社, 2012 

  26. 문화재관리국, 한국의 향교건축, 1998 

  27.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28. 박성형, 韓國建築의 ??[벽돌] 使用과 그에 따른 建築特性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9. 김지민, 한국의 유교건축, 발언, 1996 

  30. 조상순, 조선중기 이전의 향교건축의 형성과 전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1. 김도래, 한국 목조건축보존을 위한 단청기법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