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 진단 X선 검사 시 태아 및 임산부의 선량 평가
Dose Assessment during Pregnancy in Abdominal X-ray Examinations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4 no.3, 2020년, pp.261 - 270  

우리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영상의학과) ,  조용인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영상의학과)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단 방사선 검사에서 임산부와 태아에 대한 선량 평가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관련된 연구 자료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복부 X선 검사 시 임산부에 대한 선량과 태아선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RP 89에서 제시하는 자료를 토대로 기존의 임산부 팬텀을 재구성한 팬텀을 제작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임신 주 수에 따른 임산부의 장기선량 및 태아선량에 대한 평가와 기존 팬텀과 재구성된 팬텀의 선량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부 X선 검사 시, 입사되는 선원방향에 가까운 장기일수록 높은 선량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후전방향 촬영 시, 전후방향 촬영보다 태아 선량이 약 65%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diagnostic X-ray examinations, dose assessments for pregnant female and fetus are realistically difficult, and related research is also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imulation was to analyze the dose and fetal dose for pregnant female during abdominal X-ray examination. B...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산부라는 그 특성상 실제 측정을 통한 선량 평가에는 제한점이 많고, 태아가 받는 선량에 대한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산부 및 태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복부 X선 검사를 중심으로 의료방사선선량위원회(MIRD, committee on Medical Internal Radiation Dose)에서 제안하는 임산부 모의 피폭체[4,5]와 ICRP Report 89[6]를 토대로 재구성된 모의 피폭체를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부 X선 검사 시 태아와 임산부의 장기선량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의실험을 통해 복부 X선 검사 시 임산부 장기선량 및 태아선량을 평가 하였다. 복부 전후방향 촬영 시 태아는 약 1 mGy 이상의 선량에 노출되며, 확률적 영향에 대한 측면을 간과할 수없으므로 가능한 복부 후전방향 촬영을 통해 태아선량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산부 및 태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복부 X선 검사를 중심으로 의료방사선선량위원회(MIRD, committee on Medical Internal Radiation Dose)에서 제안하는 임산부 모의 피폭체[4,5]와 ICRP Report 89[6]를 토대로 재구성된 모의 피폭체를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부 X선 검사 시 태아와 임산부의 장기선량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 하지만 임산부의 경우 일반적으로 의료 방사선 검사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예외적으로 불가피하게 피폭을 수반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부 X선 검사 시 임산부와 태아에 대한 선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몬테카를로 기법을 기반으로 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복부 X선 검사에 대해 구성한 기하학적 조건을 토대로 기존의 MIRD형 팬텀과 새롭게 재구성된 팬텀의 장기 및 태아 선량을 평가하였으며, 임신 주 수에 따른 선량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3개월 팬텀의 경우, 태아는 위치나 형태가 완전히 발달되지 않아 태아선량의 정확한 평가가 어려우며, 태아에 대한 별도의 팬텀 모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태아가 자궁내용물에 포함된다고 가정하였다. 6, 9개월 팬텀의 경우 태아 연조직과 태반, 태아 뼈, 자궁부속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아 뼈와 태아연 조직을 태아로 가정하고 태아 주변 장기를 나누어 평가하였다.
  • 3개월 팬텀의 경우, 태아는 위치나 형태가 완전히 발달되지 않아 태아선량의 정확한 평가가 어려우며, 태아에 대한 별도의 팬텀 모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태아가 자궁내용물에 포함된다고 가정하였다. 6, 9개월 팬텀의 경우 태아 연조직과 태반, 태아 뼈, 자궁부속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아 뼈와 태아연 조직을 태아로 가정하고 태아 주변 장기를 나누어 평가하였다. 또한 태아 연조직이 임신 주 수가 지남에 따라 밀도와 성분이 달라졌으며, 태아 구성에 대한 그림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I. Choi, "Prospects on the increase of radiological examinati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63, No. 3, pp. 136-139, 2020. http://dx.doi.org/10.5124/jkma.2020.63.3.136 

  2. J. Valentin, "Pregnancy and Medical Radiation", ICRP(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ublication 84, Annals of the ICRP, Vol. 30, No. 1, 2000. 

  3. S. Menees, G. Elta,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during pregnancy", Gastrointestinal Endoscopy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16, No. 1, pp. 41-57, 2006. http://dx.doi.org/10.1016/j.giec.2006.01.004 

  4. M. Cristy, K. F. Eckerman, "Mathematical Phantoms for Use in Reassessment of Radiation Dose to Japanese Atomic-Bomb Survivors",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Report ORNL/TM-9487, 1985. 

  5. M. G. Stabin, E. E. Watson, M. Cristy, J. C. Ryman, K. F. Eckerman, J. L. Davis, D. Marshall, M. K. Gehlen, "Mathematical Models and Specific Absorbed Fractions of Photon Energy in Nonpregnant Adult Female and at the End of Each Trimester of Pregnancy",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OSTI), 1995. http://dx.doi.org/10.2172/91944 

  6. J. Valentin, "Basic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data for use in radiological protection: reference values", ICRP(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ublication 89, Annals of the ICRP, Vol. 32, No. 3-4, 2002. http://dx.doi.org/10.1016/S0146-6453(03)00002-2 

  7. Philips Healthcare, "Create a premium DR room like no other, Digital radiography solutions specifications (Release 4.1)", Philips. 2014. 

  8.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Standard imaging techniques for imaging medical examinations",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eries No. 38, 2014. 

  9. T. W. Sadler, Largmans Medical Embryology, 12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ins, 2012. 

  10. F. A. Duck, Physical Properties of Tissues: A comprehensive Reference Book, Academic Press, 2013. 

  11. E. E. Ziegler, A. M. O'Donnell, S. E. Nelson, S. J. Fomon, "Body Composition of the reference fetus", Growth, Vol. 40, No. 4, pp. 329-41, 1976. 

  12. D. R. White, R. V. Griffith, and I. J. Wilson, "ICRU Report 46: Photon, Electron, Proton and Neutron Interaction Data for Body Tissue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Units and Measurements, Vol. os24, No. 1, 1992. 

  13. K. Cranley, B. J. Gilmore, G. W. A. Fogarty, "Catalogue of Diagnostic X-ray Spectra and Other Data", IPEM Report 78, The Institute of Physics and Engineering in Medicine, 1997. 

  14. W. R. Kim, "Construction of Pregnant Female Phantoms and Assessment of Radiation Doses to Fetus and Mother Due to Diagnostic X-ray Examination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Han Yang University, 2001. 

  15. A. Chaparian, M. Aghabagheri, "Fetal Radiation Doses and Subsequent Risks From X-ray Examinations: Should We Be Concerned?", Irani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ol. 11, No. 11, pp. 899-904, 2013. 

  16. H. Lee, "A Study on the Usefulness for Measure of Effective dose and Exposure Dose of Radiography for Examination Purpose and Surrounding Organs during Radiography",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medical physics, Korea University,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