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디 디자인 경험기간에 따른 몸의 인식과 의복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국내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Perception of the Body and Clothing Style according to the Period of Body Design Experience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3, 2020년, pp.287 - 295  

이주형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하지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body perception, body design behavior and clothing style for women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period of body design experience. Body perception was analyzed from the two viewpoints of seeing the body as the subject of social suppression and as the means of self-expression. Th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셸 푸코는 몸을 어떻게 보았는가? 부르디외(Bourdieu), 들뢰즈(Deleuze)를 비롯한 많은 철학자들은 몸에 있어 다양한 해석을 내놓았다. 이 중, 미셸 푸코(Michael Foucault)는 몸을 사회적 구성물로서 바라보며, 권력의 작용으로 길들일 수 있는 존재로, 몸은 결국 규율에 의해 개인적인 통제보다는 외부적 통제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시간적 공간적 변화에 따라 의미가 재구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푸코의 관점에서 권력은 사회체제 안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대상이 스스로 권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마치 자발적이고 주체적으로 몸이 어떠한 실천을 행한다고 생각하게 만들지만 결국 이 면에는 권력에 종속되거나 정복당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작용되고 있는 것이다.
바디 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바디 디자인한다는 의미에서의 접근한가면 어떤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는가? 바디 디자인에 대한 개념은 사람들에 따라 내리는 정의가 다양하다. 하지만 바디 디자인한다는 의미에서의 접근을 한다면, 신체를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행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Choi and Jang(2009)는 바디 디자인에 대해서 ‘개인이 신체상을 아름답게 하기위한 모든 노력과 행동을 뜻한다고 정의 내린 바 있다.
현대에서 몸을 바라보는 관점은? 패션에도 트렌드가 있듯이 특정 시대의 몸에도 사람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기준의 트렌드가 존재한다. 과거에 몸은 자연적이고 생리적인 의미의 관점에서 해석된 것과 달리 현대에서 몸은 사회, 문화적 영향을 받는 사회 구성물로서의 몸과 개인의 자아로서 실현되는 능동적인 몸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강하다. 오늘날, 몸은 자아를 실현하는 대상으로서 개인의 개성에 따라 변형 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une, R. K., & Aune, K. S. (1994). The influence of culture, gender, and relational status on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25(2), 258-272. doi:10.1177/0022022194252006 

  2. Bloch, P. H., & Richins, M. L. (1992). You look “marvelous”: The pursuit of beauty and the marketing concept. Psychology & Marketing, 9(1), 3-15. doi:10.1002/mar.4220090103 

  3. Choi, W. S., & Jang, M. R. (2009).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personal factor affecting formation of body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5(4), 576-589. 

  4. Cre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5. Entwistle, J. (2000). The fashioned body: Fashion, dress and modern social theory. Cambridge: Polity Press. 

  6. Giorgi, A. (1994).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n certa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5(2), 190-220. doi:10.1163/156916294X00034 

  7. Hatfield, E., & Sprecher, S. (1986). Mirror, mirror: The importance of looks in everyday life.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 Horn, M. J., & Gurel, L. M. (1988).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H. Y. Lee, D. W. Min, & M. Y. Son, Trans.). Seoul: Kachi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1) 

  9. Jeon, K. R., & Lee, M. H. (2003). The influence of body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appearance elevation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643- 653. 

  10. Jung, I. H., & Lee, E. H. (1999). The interaction between clothing- wearing motive and fashion phenomenon: A qualitative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1), 128- 139. 

  11. Kang, M. R. (2013). Body, subject, power, Merleau-Ponty and foucault's body concept. Seoul: Ehaksa. 

  12. Kang, J. H. (2004). Exercise therapy of obesit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47(4), 303-308. 

  13. Kang, M. R. (200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body-subject in Merleau-Ponty with body power in Foucaul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14. Kim, B. H., Kim, K. J., Park, I. S., Lee, K. J., Kim, J. K., Hong, J. J., ... & Lee, H. Y. (1999).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6), 1208- 1220. doi:10.4040/jkan.1999.29.6.1208 

  15. Kim, E. S. (2001). 여성의 몸, 몸의 문화 정치학 [Women's body, cultural politics of body]. Seoul: Tommon. 

  16. Kim, G. R. (2020, March 3). 새로운 트렌드 '바디프로필' 촬영 팁 [Shooting tip for the body profile]. Gvalley News. Retrieved March 3, 2020, from http://www.gvalle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9892 

  17. Kwon, K. N., Ku, H. C., & Jeon, B. D. (2018). The significance and body building of female body fitness player.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72, 307-320. 

  18. Lee, A. R. (2013). An interpretative approach to the body perception of female bodybuil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Lee, J. Y. (2012).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apparel management behavior and weight (figure) control behavio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4), 123-136. doi:10.12940/jfb.2012.16.4.123 

  20. Lee, J. Y. (2011).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r, body attitude, and obesity stress of a women’s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3), 461-467. 

  21. Lee, M. (2016). Intimate standardization: Body and sexuality among obese and large-sized women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Lim, I. S. (2002). The body project in Korea: Focused on cosmetic surger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6(3), 183-204. 

  23. McKinley, N. M., & Hy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2), 181-215. doi:10.1111/j.1471-6402.1996. tb00467.x 

  2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January 20). 2015 Survey on citizens' sports participatio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trieved December 15, 2018, from https:// 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DataCD0417000000&pSeq905 

  25. Park, H. K. (2001). Die abwesende mutter im mutterschaftsdiskurs. Korea Women’s Studies Institute, 1, 223-262. 

  26. Park, S. Y. (1998). The adult females' body images and clothing styles: Mainly in fatness degree and ag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Rhee, Y. J., & Lim, S. J. (2002). The effect of body cathexis, weight control behavior on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1), 1491-1501. 

  28. Ryou, J. W., Jang, M. H., & Lee, S. O. (2000). Beauty coordination. Seoul: Komoonsa. 

  29. Sontag, M. S., & Schlater, J. D. (1982).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Evolution of a concep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 1-8. doi:10.1177/0887302X8200100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