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랙패션마니아의 추구이미지와 패션스타일
Black Fashion-manias' Images and Fashion Style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2, 2020년, pp.139 - 148  

이정화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하지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lassifies black fashion-mania by each type based on their motivation for wearing black fashion as well as verifies how they express their styl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s of black fashion-manias are classified. Sec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다'의 의미은 무엇인가? 우리말에서 ‘검다’라는 색채어의 어원은 아궁이에 불을 지피어 낼 때 솥 밑 언저리에 엉키는 ‘검듸영’에서 유래 하였다. ‘검다’라는 단어는 ‘검듸영’의 ‘검’에 어미‘-다’가 결합 한 것으로, 그을려 생긴 검은색을 의미한다. 한자 ‘黑(검을 흑)’ 자는 굴뚝창과 불꽃염이 합쳐서 된 글자이다.
국내외 디자이너들에게 블랙이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GNAK, 이영곤 Noire, 이도연 Baroque, 김규식 QUCHIC 또한 블랙을 주요색으로 컬렉션을 전개한다. 이렇게 블랙이 주목받는 이유는 디자이너가 블랙을 통하여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동시에 블랙패션에 대한 소비자들 의 고정적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패션의 범위를 일상복으로 한정한 이유는? 패션의 범위는 소비자가 스스로 자유롭게 스타일링 할 수 있는 일상복으로 한정하였다. 이는 결혼식, 장례식과 같이 암묵적인 복식규범 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개인의 패션스타일 표현에 있어서 제약이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 유사한 이유로 특정한 상황에서 입어야하는 유니폼의 경우도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H. J. (2009). Features of goth style represented in the fashion of Kore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4), 626-639. doi:10.29049/rjcc.2009.17.4.626 

  2. Cho, Y. S. (2017). Cross-cultural association of colors. Seoul: Guardian. 

  3. Geum, K. S., Kim, M. J., Kim, Y. I., Kim, Y. H., Park, M. H., Park, M. Y., Bae, C. B., Shin, H. S., Yoo, H. Y., & Choi, H. J. (2002). Fashion 1900-2000. Seoul: Kyomunsa. 

  4. Go, B. J.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Korean lifestyle and clothing: 100years]. Seoul: Hyeonamsa. 

  5. Go, E. H. (1985). 응용 색채학 [Applied color science]. Seoul: Sangmisa. 

  6. Creswell, J. W. (201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Cho, H. S., Jung, S. W., Kim, J. S., Gwon, J. S. Trans.). Seoul: Hakjisa. 

  7. Harvey, J. (1995). Men in black.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Harvey, J. (2013). The story of black. London: Reaktion Books. 

  9. Hollander, A. (1993). Seeing through clothe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Horn, M. J. & Gurel, L. M. (1988). (The) Second skin: an inter- 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Lee, H. Y. Trans.). Seoul: Kkachi. 

  11. 'Issue style: urban techwear'. (2018, April 9). Samsungdesignnet. Retrieved April 23, 2018,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Fashion/Report/Content.asp?an40444&keyword%C5%D7%C5%A9%BF%FE%BE%EE 

  12. Kim, H. Y., Son, K. A., & Yeo, H. S. (2003). Color color color. Seoul: Aekyung. 

  13. Kim, N. Y. (2016). A study on the concept of Korean indie fashion.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4), 650-659. doi:10.5850/JKSCT.2016.40.4.650 

  14. Kim, Y. I., Kim, E. K., Kim, J. Y., Kim, H. S., Moon, Y. A., Lee, J. H., & Choo, S. H. (2009). Color language of fashion. Seoul: Kyomunsa. 

  15. Kim, G. S. (2016, September 9). 다크웨어란 [What is dark wear?]. Kim Guy Sik's fashion blog. Retrieved June 2, 2018, from http://quchic.com/220808643904. 

  16. Kwak, H. S., & Geum, K. S. (1998). A study on formality and symbolism in black dr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37, 213-252. 

  17. Kwon, S. H., Syn, H. Y., & Lee, I. S. (2015). Study on symbolism of black fashion in sportism fashion of Alexander Wa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3), 149-160. doi:10.18652/2015.15.3.10 

  18. Laurell, C. (2017). When bloggers become designers: on the role of professions in a fashion system undergoing change. Fashion Practice, 9(3), 310-328. doi:10.1080/17569370.2017.1358420 

  19. Lee, C. Y. (2017). Body consciousness and body-conscious fashion style of Korean 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Menkes, S. (2000, September 5). Fashion's poet of black: YAMAMOTO. New York Times. Retrieved April 9, 2018, from https://www.nytimes.com/2000/09/05/style/IHT-fashions-poet-of-black-yamamoto.html?searchResultPosition1 

  2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6). 2015 Korean fashion market index. Seoul: Author. 

  22. Moon, H. J., & Kim, M. J. (1998). The image of black expressed in western dress-from Renaissance to 19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1, 54-55. 

  23. Oh, S. J. (2015). Color therapy. Seoul: Dongmunsa. 

  24. Park, Y. S. (2006). 색채의 상징, 색채의 심리 [A symbol and psychology of color]. Seoul: Sallim 

  25. Pastoureau, M. (2009). Black: the history of a color.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Seok, S. H., & Geum, K. S. (2012). A study on black fashion preference of Korean women in modern e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1), 29-48. doi:10.7233/jksc.2012. 62.1.029 

  27. Song, M. H., & Cho, K. H. (1997). A study on the aesthetic con- sciousness of black o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 110-126. 

  28. Steele, V. (2007). The black dress. New York: Harper Collins. 

  29. Yang, M. K. (2003). Study on the styles of subcultural clothing : from 1930s to 199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