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트렌트(2010~2019)의 주요 요소로서 소재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분석 -

Material as a Key Element of Fashion Trend in 2010~2019 - Text Mining Analysis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5, 2020년, pp.551 - 560  

장남경 (한세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  김민정 (숙명여자대학교 소비자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nature of fashion design that responds quickly and sensitively to changes, accurate forecasting for upcoming fashion trend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fashion product planning.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phenomena of fashion trends by introducing text mining and a b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끊임없이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와 소비자 대상 뉴스 자료를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예측과 실제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생성된 시즌별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패션 산업의 패션 디자인 예측 트렌드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예측 트렌드가 소비자의 이슈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소비자 대상 뉴스 자료에서 실제로 등장하는지 또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생성된 시즌별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패션 산업의 패션 디자인 예측 트렌드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예측 트렌드가 소비자의 이슈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소비자 대상 뉴스 자료에서 실제로 등장하는지 또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패션 트렌드 예측이 실제로 소비자 시장에 반영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끊임없이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와 소비자 대상 뉴스 기사 자료를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을 도입하여 예측과 실제를 비교함으로써 패션 트렌드의 주요 현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끊임없이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와 소비자 대상 뉴스 자료를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예측과 실제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생성된 시즌별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패션 산업의 패션 디자인 예측 트렌드를 파악하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 2010SS부터 2019FW까지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 데이터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 핵심 용어는 무엇인가?
  • 또한 이러한 예측 트렌드가 소비자의 이슈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소비자 대상 뉴스 자료에서 실제로 등장하는지 또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패션 트렌드 예측이 실제로 소비자 시장에 반영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의 패션 디자인의 변화를 조망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되는 동시에 패션 디자인 전망에 대한 뉴스 기사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패션 트렌드 선행연구는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현재 또는 과거의 트렌드 경향을 요약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조형적인 측면에서 대상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분할하여 시대별로 흐름을 관찰하고 일정한 경향성을 도출하는 연구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H. S., & Park, M. J. (2017). A study on the user perception in fashion design through social media text-m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6), 1060-1070. doi:10.5850/jksct.2017.41.6.1060 

  2. An, J. Y., Ahn, K. B., & Song, M. (2016). Text mining driven content analysis of ebola on news media and scientific pub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2), 289-307. doi:10.4275/kslis.2016.50.2.289 

  3. Bae, S. J. (2011). An analysis on the color trend of street fashion in Dalian, China(paper no. 2) - Focused on 2010 winter, compare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 preferenc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5), 161-177. doi:10.12940/jfb.2011.15.5.161 

  4. Baek, M. Y., & Kim, Y. K.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fashion color tre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9(2), 75-88. 

  5. Choi, Y. H., & Lee, K. H. (2020a). Ethical fashion research trend using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of the published literature 2009-2019.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2(2), 181-191. doi:10.5805/sfti.2020.22.2.181 

  6. Choi, Y. H., & Lee, K. H. (2020b). Korean consumers’ political consumption of Japanese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4(2), 295-309. doi:10.5850/JKSCT.2020.44.2.295 

  7. Dimmick, J., Chen, Y., & Li, Z. (2004). Competition between the internet and traditional news media - The gratification-opportunities niche dimension.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 17(1), 19-33. doi:10.1207/s15327736me1701_2 

  8. Getman, R., Green, D., Bala, K., Mall, U., Rawat, N., Appasamy, S., & Hariharan, B. (2020). Machine learning(ML) for tracking fashion trends: Documenting the frequency of the baseball cap on social media and the runwa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6. doi:10.1177/0887302X20931195 

  9. Han, K. H. (2019). A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of HiSeoul fashion show using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5), 81-95. doi:10.12940/jfb.2019.23.5.81 

  10. Hinssen, P. (2014). The new normal (Y. J. Lee, Trans.). Seoul: Next Wave. (Original work published 2010) 

  11. Jang, N. K., & Kim, M. J. (2017). Research trend analysis in fashion design studies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415-423. doi:10.14400/JDC.2017.15.6.415 

  12. Jo, J. H., Chung, Y. T., Choi, S. W., & Ok, C. S. (2018). Unstructured data quantification scheme based on text mining for user feedback extraction.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41(4), 131-137. doi:10.11627/jkise.2018.41.4.131 

  13. Jung, H. (2018). A study on the megatrend of Korean fashion industry in the new normal era.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9(4), 391-404. 

  14. Kim, J. S. (2018).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shion streaming service using text mining analysis - Focused on PROJECT ANNE-. Journal of Fashion Design, 18(1), 107-118. doi:10.18652/2018.18.1.7 

  15. Kim, D. J., & Lee, S. H. (2019). A study of consumer perception on fashion show using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3), 85-100. doi:10.12940/jfb.2019.23.3.85 

  16. Ko, H. S., Lee, J. Y., & Lee, Y. H. (2017). Fashion trend acceptance and fabric planning in Dongdaemoon fabric marke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6), 773-786. doi:10.29049/rjcc.2017.25.6.773 

  17. Lee, E. J. (2011). Dialectical interpretation of the affect of globali- zation on twenty-first century fashion trends -Super-historicism and syncr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4), 41-59. 

  18. Lee, M. S. (2018). Dailiness in fashion - Focused on normcore, gorpcore, menocore.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3(4), 19-30. doi:10.21326/ksdt.2018.23.4.002 

  19. Lee, Y. M., & Chung, S. H. (2009). An analysis of trend acceptance of clothing items at an internet shopping mall specializing in fashion - Focusing on 08 S/S seas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4), 85-98. 

  20. Lin, Y., Zhou, Y., & Xu, H. (2015). Text-generated fashion influence model: An empirical study on style.com. Proceedings of the 48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3642-3650). IEEE. doi:10.1109/hicss.2015.438 

  21. Minner, S., & Kiesmuller, G. P. (2012). Dynamic product aquisition in closed loop supply chain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50(11), 2836-2851. doi:10.1080/00207543.2010.539280 

  22. Noh, G. H., & Lee, G. H. (2002). An analysis on the fashion trend acceptance through the consumer wearing styl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4(5), 465-472. 

  23. Park, J. S., & Lee, Y. R. (2014). Exploring fashion trends using network s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5), 611-626. doi:10.5850/JKSCT.2014.38.5.611 

  24. Shin, S. H., & Ryoo, S. H. (2005).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body cathexis on the acceptance of fashion trend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2), 280-288. 

  25. Sung, K. S. (2020). Research on the reaction to newtro fashion through social media.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3(2), 10-18. doi:10.35280/kotpm.2020.23.2.2 

  26. Tan, A. (1999). Text mining: The state of the art and the challenges. Proceedings of the PAKDD 1999 Workshop on Knowledge Disocovery from Advanced Databases, pp. 65-70. 

  27. Tian, Y., Zhang, Z., Yu, Y., Liu, X., & Huang, H. (2019). The construction of visual cognitive decision-making platform with user insight and the fashion trend in the era of big data. Proceedings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520, No. 1, p. 012012). IOP Publishing. doi:10.1088/1757-899X/520/1/012012 

  28. Way, E. (2018). Fabric in fashion. The museun at FIT. Retrieved June 01, 2020 from http://www.fitnyc.edu/museum/documents/fabric-in-fashion-brochure.pdf 

  29. Yang, Y. J., & Kim, M. H. (2019). Comparative study of street fashion in Seoul and Pari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trend forecast information.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58, 155-172. doi:10.18555/kicpd.2019.58.15 

  30. Yun, E. Y. (2017). A study on the big data utilization in domestic fashion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50, 191-200. doi:10.18555/kicpd.2017.50.17 

  31. Yun, J. S., & Kim, S. J. (2015).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shion fabric trend and the acceptance by collection - Focu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llections in 2007 S/S - 2010 S/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5), 704-717. doi:10.5805/sfti.2015.17.5.704 

  32. Zhao, L., & Min, C. (2019). The rise of fashion informatics: A case of data-mining-based social network analysis in fash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37(2), 87-102. doi:10.1177/0887302x18821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