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외 근로자들의 카드뮴과 납 노출 영향요인
High Influential Factor of Cadmium and Lead Exposure in Outdoor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30 no.2, 2020년, pp.163 - 173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study was evaluated exposure variation and daily absorption level of cadmium, lead concentration of ambient air of monthly data from 1999 to 2017 for main exposure factor in outdoor workers. Methods: Based on the monthly data from 'The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from 1999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황사노출의 발생 시기에 따른 카드뮴과 납의 노출 농도를 월별로 조사하여 옥외 근로자들의 카드뮴과 납의 노출 요인으로서 황사의 노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사는 무엇인가? 황사는 몽골의 고비사막, 중국 내몽골 고원, 황화 중류의 황토 지역 등 아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한 사막과 황토 지대의 작은 모래나 황토가 저기압의 통과시에 발생하는 바람이나 난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 이송되는 모래 먼지현상이다. 이 모래먼지는 주로 3~5월에 많이 발생하고, 강한 서풍을 타고 한국을 거쳐 일본이나 태평양을 건너 북아메리카까지 날아간다.
카드뮴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 중 카드뮴과 납은 호흡을 통해 폐를 거쳐 간과 신장에 축적된다. 카드뮴은 발암성을 가지고 있으며, 호흡기 질환, 고혈압, 신경계 및 간과 신장의 세뇨관 기능에도 유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납은 조혈계를 비롯한 신경계, 신장 및 간장, 심혈관계, 생식기계 등에 독성을 나타낸다.
대기 중의 카드뮴과 납의 노출원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대기 중의 카드뮴과 납의 노출은 과거 1980년대의 경우 대기오염원으로서 고정배출원(화력발전소, 소각로 등) 이동배출원(차량 등)을 통하여 발생되었으며, 화석 연료(연탄)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며 가정생활에 사용되는 연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이 고정배출원 보다도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2000년대 이후에 가정에 서 화석연료나 석유(등유)의 사용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고정 배출원에서의 발생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들 지역 노출원과 함께 최근에는 황사현상도 중금속의 대기오염원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Moon & Ikeda, 1996; Ryo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yun JY, Cho SH, Kim HW, Han YJ. Long-term Characteristics of $PM_{2.5}$ and Its Metallic Components in Chuncheo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8;34(3):406-417 

  2. Chung YS, Kim HS, Natsagdorj L, Jugder D, Chen SJ. On Yellow Sand Occurred during 1997-2000. Asia-Pacific J Atmos Sci 2001;37(4):305-316 

  3. EPA. Part 243 Air Quality Standards. 2013. Available from: URL:https://www.epa.gov/sites/production/files/2017-12/documents/il_part_243.pdf 

  4. Hashizume M, Ueda K, Nishiwaki Y, Michikawa T and Onozuka D. Health Effects of Asian Dust Ev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pn J Hyg 2010;65:413-421 

  5. Higashisaka K, Fujimura M, Taira M, Yoshida T, Tsunoda S et al. Asian Dust Particles Induce Macrophage Inflammatory Responses vi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J Immunol Res 2014;2014:856154 

  6. Hong YC, Pan XC, Kim SY, Park K, Park EJ et al. Asian Dust Storm and pulmonary function of school children in Seoul. Sci Total Environ 2010;408:754-759 

  7. Ikeda M, Moon CS, Zhang ZW, Iguchi H, Watanabe T et al. Urinary ${\alpha}$ 1-Microglobulin, ${\beta}$ 2-microglobulin, and RBP levels in general population in Japan with reference to cadmium in urine, blood and 24-hour food duplicates. Environ Res 1995;70:35-46 

  8. Ikeda M, Zhang ZW, Shimbo S, Watanabe T, Nakatsuka H et al. Urban population exposure to lead and cadmium in east and south-east Asia. Sci Total Environ 2000;249(1-3):373-84 

  9. Kim IS, Jang JY, Kim TH, Park J, Shim J, et al.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ssociated with fine dust/Asian dust exposure. J Korean Med Assoc 2015;58(11):1044-1059 

  10. Kim K, Ra K, Shim J, Noh J, Yang W et al. Characteristics of Metals in Marine Aerosol of Shocheongcho Ocean Research Station in 2017. The Korean Soc Marine Environ & Energy. 2018;5:188-188 

  11. Kim KH, Kang CH, Lee JH, Choi KC, and Youn YH. The influence of the Asian Dust on the Springtime Distribution of Airborne Lead. J KOSAE 2004;20(6):833-838 

  12. Kim KJ, Lee SH, Hyeon DR, Ko HJ, Kim H et al. Composition comparison of $PM_{10}$ and $PM_{2.5}$ fine particulate matter for Asian dust and haze events of 2010-2011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Anal Sci & Tech 2014;27(1):1-10 

  13. Kim SW, Lee GH, Phee YG, Yang WH, Ha W et al. Exposure of Outdoor Workers to Particulate Matter in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7:27(1):46-58 

  14. Ko HJ, Song JM, Cha JW, Kim J, Ryoo SB et al.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Aerosols in Relation to Haze, Asian Dust and Mixed Haze-Asian Dust Episodes at Gosan Site in 2013.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6;32(3):289-304 

  15. Ko JC and Yang JH. The Investigation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the Content of Metal Components in Particulate Matter(PM) from Industrial Complex. J Korean Soc Environ Tech 2018;19(3):263-273 

  16. Kojima S, Michikawa T, Ueda K, Sakamoto T, Matsui K et al. Asian dust exposure trigger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uropean Heart Journal 2017;38:3202-3208 

  17. KOSHA.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Plan of Health Protection for Outdoor Workers in the wake of Climate Change. KOSHA 2019 

  18. Kyung SY, Kim YS, Kim WJ, Park MS, Song JW et al.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articulate matter/Asian dust particle- induced adverse health effect on the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s J Korean Med Assoc 2015;58(11):1060-1069 

  19. Lee BK, Lee HK, Jun HY. Analysis of region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 PM_{10}$ during an Asian dust episode in Korea. Chemosphere 2006;63:1106-1115 

  20. Lee JW, Lee CK, Moon CS, Choi IJ et al. Korea National Survey for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Human Body 2008: Heavy metals in the blood or urine of the Korean population. Int J Hyg Environ Health 2012;215:449-457 

  21. Lee MH. Heavy Metal Levels in the Outdoor Workers Exposed in Yellow Sand. Korean J Clin Lab Sci 2009;41(3):105-110 

  22. Lee PK, Youm SJ and Bae BG.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 of Asian Dust in Daejeon Area, 2007 (spring season). Econ Environ Geol 2012;45(3):217-235 

  23. Lim DI, Jung SW, Choi MS, Kang SM, Jung HS et al. Historical record of metal accumulation and lead source in the southea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2013;74:441-445 

  24. Ministry of Environment(MoE). Announcement of Analysis Results of Heavy Metal in Asian Dust in March and April, 2002. p.2 

  25. Ministry of Environment(MoE). Air quality standard of Korea. 2020. Available from: URL: http://www.me.go.kr/mamo/web/index.do?menuId586 

  26. Moon CS, and Ikeda M. Pollutant levels in ambient air and blood in Korea. Environ Health Prev Med 1996; 1:33-38 

  27. Moon CS, Lee CK, Hong YS, Ikeda M. Higher cadmium burden in coastal areas than in inland areas in Korea: implications for seafood intake. Asia Pac J Clin Nutr 2014;23(2):219-224 

  28. Moon CS, Yang HR, Nakatsuka H, Ikeda M. Time trend of cadmium intake in Korea. Environ Health Prev Med 2016;21(3):118-28 

  29. Moon CS, Zhang Z-W, Shimbo S, Watanabe T, Moon D-H et al. Dietary Intake of Cadmium and Lead among General Population in Korea. Environ Res 1995;71:46-54 

  30. Onishi K. Health Impact Assessment of Asian Dust/ Cross-border Air Pollutant and Necessary Preventive Measure. Jpn J Hyg 2017;72:43-48 

  31. Park MB, Lee TJ, Lee ES, Kim 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Strength among Korea, the U.S.A. and the EU.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6;32(6):559-574 

  32. Ryou H, Heo J, Kim SY. Source apportionment of $PM_{10}$ and $PM_{2.5}$ air pollution, and possible impacts of study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Pollution 2018;240:963-972 

  33. Sternberg T and Edwards M. Desert Dust and Health: A Central Asian Review and Steppe Case Stud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7;14:1342 

  34. Watanabe M, Kurai J, Shimizu E. Definition of Asian dust particles. Environ Res 2014;134:188-189 

  35. WHO. Ambient (outdoor) air pollution. 2018.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ambient-(outdoor)-air-quality-and-health 

  36. Yang HJ, Kim SH, Jang AS, Kim SH, Song WJ et al.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articulate matter/yellow dust-induced adverse health effects on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J Korean Med Assoc 2015;58(11):1034-10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