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신성 활동불능증(Systemic Exertion Intolerance Disease) 진단 기준을 바탕으로 한 만성 피로 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 진단 설문지 개발 및 신뢰도 평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Questionnaire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CFS) Diagnosis Based on Systemic Exertion Intolerance Disease (SEID) Criteria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3, 2020년, pp.293 - 305  

임은진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동서생명과학연구원) ,  손창규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동서생명과학연구원) ,  장은수 (대전대학교 한의학과, 동서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the diagnosis of chronic fatigue syndrome (CFS) designed based on the systematic exertion intolerance disorder (SEID) criteria, an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Methods: A literature search on questionnaires for CFS diag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FS의 진단 도구의 하나로 SEID의 증례정의를 적용하여 임상에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설문지를 개발 하고 파일럿 설문 조사를 통해 설문 도구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설문지는 문헌조사와 리서치 팀 논의를 통해 수정과정을 거쳐 개발하고 신뢰도는 검사-재검사법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피로증후군의 진단 도구의 하나로 SEID-Q27 설문지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논문 문헌 조사와 만성피로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SEID 진단 알고리즘을 적용한 총 27문항의 설문지, SEID Questionnaire 27(SEID-Q 27) 을 개발하였으며(부록 2) 검사-재검사법(Test and retest method)을 통해 그 신뢰도를 평가해 임상에서의 그 유용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Institute of Medicine, Beyond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Redefining an Illness.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Medicine. Institute of medicine(IOM) 2015. 

  2. Hawk C, Jason LA, Torres-Harding S. Reliability of a chronic fatigue syndrome Questionnaire. Journal of Chronic Fatigue Syndrome 2006;13(4):41-66. 

  3. Shin HC. Overview of chronic fatigue syndrome for primary care physicians. Journal of Korean Family Medicine 2001;22(12):1717-42. 

  4. Nacul LC, Lacerda EM, Pheby D, Campion P, Molokhia M, Fayyaz S, et al. Prevalence of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ME/CFS) in three regions of England: a repeated cross-sectional study in primary care. BioMed Central Medicine 2011;9:91. 

  5. Speight N.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Review of history, clinical features, and controversies. Saudi J Med Med Sci 2013;1(1):11-3. 

  6. Christley Y, Duffy T, Martin CR. A review or the definitional criteria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12;18(1):25-31. 

  7. Morris G, Maes M. Case definitions and diagnostic criteria for Myalgic Encephalomyelitis and Chronic fatigue syndrome: from clinical-consensus to evidence-based case definitions. Act Nerv Super Rediviva 2013;55(1-2):64-78. 

  8. Johnston S, Brenu EW, Staines DR, Marshall-Gradisnik S. The adoption of chronic fatigue syndrome/myalgic encephalomyelitis case definitions to assess prevalence: a systematic review. Ann Epidemiol 2013;23(6):371-6. 

  9. 최종후, 전새봄. Poll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3rd ed. Paju: 자유아카데미; 2013, p. 77-8. 

  10. Chalder T, Berelowitz G, Pawlikowska T, Watts L, Wessely S, Wright D, et al.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 Psychosom Res 1993;37(2):147-53. 

  11. Cella M, Chalder T. Measuring fatigue in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s. J Psychosom Res 2010;69(1):17-22. 

  12. Jung JH, Park HK. Experiences of illness and socialization of suffering in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016;42(42):5-38. 

  13. Haney E, Smith MB, McDonagh M, Pappas M, Daeges M, Wasson N, et al. Diagnostic Methods for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for 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pathways to prevention workshop.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5;162(12):834-40. 

  14. Jason LA, So S, Brown AA, Sunnquist M, Evans M.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DePaul Symptom Questionnaire. Fatigue 2015;3(1):16-32. 

  15. Dijkers MP, Kropp GC, Esper RM, Yavuzer G, Cullen N, Bakdalieh Y. Reporting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utcome measures in medical rehabilitation research. Disabil Rehabil 2002;24(16):819-27. 

  16. Nijs J, Vaes P, De Meirleir K. The Chronic Fatigue Syndrom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Questionnaire (CFS-APQ): an overview. Occup Ther Int 2005;12(2):107-721. 

  17. Hyde B. Are myalgic encephalomyelitis and chronic fatigue syndrome synonymous?. They Syndrome Sentinel 1999;3:5-8. 

  18. Vaes JP, McGregor N, Van Hoof E, De Meirleir K.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Dutch Chronic Fatigue Syndrome-Activities and Participation Questionnaire (CFS-APQ). Phys Ther 2003;83(5):444-54. 

  19. Jason LA, Evans M, Brown M, Porter N, Brown A, Hunnell J, et al. Fatigue Scales and Chronic Fatigue Syndrome: Issue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Disabil Stud Q 2011;31(1):1375. 

  20. CFS/ME Working Group. Report to the Chief Medical Officer of an Independent working group. Department of health 2001. Available from; www.doh.gov.uk/cmo/cfsmer 

  21. Lim EJ, Ahn YC, Jang ES, Lee SW, Lee SH, Son C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chronic fatigue syndrome/myalgic encephalomyelitis (CFS/ME). J Translational Medicine 2020;18(1):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