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한 소요산(逍遙散)과 그 변방(變方)의 효과 : 메타분석을 통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Effectiveness of Soyo-san (Xiaoyao-san) and its Modifications on Chronic Fatigu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4 no.3, 2020년, pp.117 - 125  

김준열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교실) ,  송정윤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교실) ,  남동현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confirm whether Soyo-san (Xiaoyao-san) and its modifications is effective on alleviating clinical symptoms in chronic fatigue syndrome (CFS) patients. We collected clinical trial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quasi-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ntrolled clinical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단계의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은 연구마다 상이하나, 효과 없음에 대한 기준은 본질적으로 동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고된 자료 중 효과 없음이거나 악화된 경우를 무효로, 증상이 개선되었다면 그 개선 정도에 관계없이 유효로 판단하여, 전반적인 임상증상 개선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분화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분형으로 범주화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우리의 선행연구10)에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 또한 동일 연구에 따르면 국내 한의사들이 만성피로에 자주 활용하는 한약에는 보중익기탕, 쌍화탕, 귀비탕, 소요산 등이 있었는데7), 본 연구에서는 그 중 간병증과 비병증 치료에 모두 유효할 것으로 판단되는 한약을 선택하여 그것이 만성피로증후군 치료에 어느 정도의 유효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부겸증 중 간과 비의 대표적인 겸증은 肝脾不和證 혹은 肝郁脾虚證이 있는데, 한의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 (Ⅱ)8)에서는 肝脾不和證의 치법으로 소요산을 제시하고 있다.
  • 그러나 현재로서는 만성피로증후군 혹은 만성피로 환자에 대한 소요산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는 체계적인 문헌고찰은 수행된 바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피로증후군 환자의 전반적인 증상및 피로도 등의 개선에 대한 소요산과 그 변방의 유효성 여부 및 그 정도를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피로의 유병률은? 만성 피로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약 11%에 달하고, 만성 피로증후군 진단기준에 해당되는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1%로 알려져 있다3).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만성 피로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없으나, 의료기관에 방문한 환자 중 평균적으로 17.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한 평가지표 중 유효성이란? 중국에서 수행된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한 임상연구 중 대부분은, 평가지표로 유효성(effectiveness)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임상증상 상태를 3~4 단계(치료, 현저한 개선, 개선, 효과 없음 등)로 범주화하여, 중재의 효과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각 단계의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은 연구마다 상이하나, 효과 없음에 대한 기준은 본질적으로 동일하였다.
만성피로증후군은 미국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의 진단기준에 따르면 어떻게 진단 될 수 있는가?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심한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만성피로증후군 또는 특발성 만성 피로로 진단될 수 있는데1) , 1994년 미국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진단기준에 따르면 기억력 또는 집중력 저하, 인후염, 근육통 등을 포함하는 8개의 주요 증상 중 4개 이상을 만족할 경우 만성피로증후군으로, 3개 이하를 만족할 경우 특발성 만성 피로로 진단할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orgensen R. Chronic fatigue: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 Adv Nurs. 2008;63(2):199-207. 

  2. Fukuda K, Straus SE, Hickie I, Sharpe MC, Dobbins JG, Komaroff A. The chronic fatigue syndrom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its definition and study. Ann Intern Med. 1994;121:953-9. 

  3. Son C. Review of the Prevalence of Chronic Fatigue Worldwide. J Korean Orient Med. 2012;33(2):25-33. 

  4. Martin A, Chalder T, Rief W, Braehler 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fatigue and somatization syndrome: A general population survey. J Psychosom Res. 2007;63(2):147-56.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myalgic encephalomyelitis (CFS/ME). 2019 November 19, 2019; Available from http://www.cdc.gov/me-cfs/treatment/index.html/. 

  6. Jones JF, Maloney EM, Boneva RS, Jones AB, Reeves W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therapy utilization by people with chronic fatiguing illnesses in the United State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07;7:12. 

  7. Kim J, Kim H, Jang E, Jung H, Hwang M, Nam D. Survey on pattern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in Korea medicine.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18;32(2):126-33. 

  8. Yang G, Choi S, Sin S, Choi H, Cho D, Park G at al.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terms and conditions used for diagnosis in oriental medicine(II). Seoul: Korea Inst Orient Med; 1996. 155-7. 

  9. Kim J.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functional dyspepsia. In: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7. 25-6, 

  10. Nam D. The effectiveness of Bojungikgi-tang and its modification on chronic fatigu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Korean Med. 2020;41(1):91-106. 

  11. Kim S, Park J, Seo H, Jang B, Son H, Suh H,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79-91. 

  12. Higgins JPT, Thomas J, Chandler J, Cumpston M, Li T, Page MJ, Welch VA (editor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6.0 (updated July 2019). Cochrane, 2019. Available from http://www.training.cochrane.org/handbook. 

  13. Mei C. The Clinical Study of Combined Therapy of Xiao Yao San Jia Wei and Massag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Caused by Liver-depression and Spleen-deficiency. [Nanjing]: Naniing Univ Chinese Med. Master thesis. 2007. Chinese. 

  14. Xu L, Wang X. Clinical analysis of Jiawei Xiaoyao Pills in trea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Nei Mong J Tradit Chinese Med. 2014;2014(6):12-3. 

  15. Chen F. Clinical Observation on Xiaoyao Pill Combined with Acupuncture and Massage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Chinese J Ethnomedicine Ethnopharmacy. 2016;25(15):118-9. 

  16. Li R. Observation on the effect of massage combined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chronic fatigue syndrome. J Pract Tradit chinese Med. 2017;33(11):1238-9. 

  17. Wei G. Clinical Effect of Xiaoyao Pill Combined With Acupuncture and Massag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China Contin Med Educ. 2018;10(4):136-8. 

  18. Shi J. Analysis of Clinical Curative Effect of Modified Xiaoyao San in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of Liver Depression and Spleen Deficiency. Syst Med. 2019;4(1):135-7. 

  19. Pang Y, Liu J. Therapeutic Effect of Shengmai Powder Plus Modified Xiaoyao Powder for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J Guangzhou Univ Tradit Chinese Med. 2013;30(3):316-9. 

  20. Xu W.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with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rient Diet-Therapy Heal Care. 2015;(8):81. 

  21. Li H, Zhen X, Bao S. Clinical study of Liuwei Dihuang pill combined with Xiaoyao pill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J Hunan Univ Chinese Med. 2009;29(6):51-3. 

  22. Yu B, Park J, Yu K, Park D, Yoon S, Kim J, et al. Gastroenterology. 10th ed. Seoul: Koonja; 2020. 305. 

  23. Kook YB. Kim SC, Park SD, Park SK, Seo BI SY et al. Bangjaehak. 1st ed. Seoul: Yeongrimsa; 1999. 144-6. 

  24. Yearbook NHI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Available from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20000 

  25. Liu J, Zhang Y, Han M, Liu Z, Wang J, He Q. Chinese herbal formula Xiao Yao San for treatment of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vidence-based Complement Altern Med. 2012;2012:931636 

  26. Qin F, Huang X, Ren P. Chinese herbal medicine modified xiaoyao san for functional dyspepsi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Gastroenterol Hepatol. 2009;24(8):1320-5. 

  27. Chen R, Moriya J, Yamakawa JI, Takahashi T, Kanda 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Evidence-based Complement Altern Med. 2010;7(1):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