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교과서가 제공하는 평면도형의 학습기회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A Semiotic Analysis of Opportunity to Learn about Plane Figures in Grade 1 and 2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4 no.1, 2020년, pp.129 - 149  

조진우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교과서가 제공하는 평면도형에 대한 학습기회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1~2학년에 포함된 평면도형에 대한 학습은 학교에서 다루어지는 기하교육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다. 수학학습은 의미의 문제와 관련되고 의미에 관한 활동은 기호 활동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호학적 분석은 의미에 대한 문제를 정교하게 기술하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호학의 관점과 도구를 채택하고, 사용한다. 교과서 활동이 요구하는 기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 활동이 제공하는 학습기회의 의의를 드러내 기술할 수 있고, 겉으로 유사해 보이는 학습기회가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학년과 2학년 수학교과서에서 제공되는 학습기회 사이의 연계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earning opportunities about the plane figures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The plane figures that students learn during this period are important in that it serves as the basis for the later geometric education. Wit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에서의 평면도형에 대한 학습이 이후 기하교육의 기초가 된다는 점과 수학교과서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1∼2학년에서 제공하는 평면도형에 대한 학습기회에 주목하였다.
  • 다음으로, 1학년 2학기 수학교과서와 2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평면도형에 대한 학습기회 중 일상적인 사물에서 평면도형으로의 추상화와 관련된 일부 사례들을 기호학의 관점과 도구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1학년과 2학년 수학교과서에서 제공되는 학습기회 사이의 연계성에 대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 첫 번째는 소재로부터 평면도형을 어떻게 추상하도록 할 것인가의 문제이고, 두 번째는 직관을 강조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직관을 강조한다는 것의 의미와 그 의미를 구체화하는 것에 관한 문제이다. 이와 같은 강조점과 관련된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지는 지는 교육과정 문서가 아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먼저, 1∼2학년에서 평면도형의 지도와 관련되는 1학년 2학기 3단원과 2학년 1학기 2단원의 학습 목표는 <표 2>에 제시된 것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에서의 평면도형에 대한 학습이 이후 기하교육의 기초가 된다는 점과 수학교과서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1∼2학년에서 제공하는 평면도형에 대한 학습기회에 주목하였다. 특히 교과서가 제공하는 기회가 학생들이 물체나 모양을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평면도형으로 조직하는 추상화 과정에 기여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교과서 활동에 포함되어 있는 기호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호작용에 주목한 것은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수학 학습의 일부일 뿐 아니라, 수학 학습을 그 자체로 기호화와 해석화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것(김선희, 이종희, 2003)을 고려한 것으로, 교과서 활동에서 요구하는 기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은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무엇을 어떻게 배우게 되는지를 기술하고 분석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문봉, 김정하 (2015).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귀납적 방법 대 문제해결식 방법. 수학교육학연구, 25(3), 461-472.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15-74호(별책8) 

  3. 교육부 (2017a). 수학 1-2. 서울: 천재교육. 

  4. 교육부 (2017b).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7c). 수학 교사용 지도서 1-2.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 (2017d). 수학 교사용 지도서 2-1. 서울: 천재교육. 

  7. 권석일, 박교식 (2011).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입체도형 관련 지도 내용에 대한 분석과 비판. 수학교육학연구, 21(3), 221-237. 

  8. 권유미, 안병곤 (2005). 초등 수학 교과서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2), 137-159. 

  9. 김구연, 전미현 (2017). 중학교 수학교과서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함수 학습기회 탐색. 학교수학, 19(2), 289-317. 

  10. 김선희, 이종희 (2003). 통계 자료의 정리와 표현에서 중학생들의 기호화와 해석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4), 463-483. 

  11. 김수미, 정은숙 (2005). 범례 제시를 통한 도형 개념 지도 방안. 수학교육학연구, 15(4), 401-417. 

  12. 김수민, 김선희 (2018). 수학 문제 해결 과정의 의사소통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학교수학, 20(1), 131-147. 

  13. 김지원 (2016). 초등학교 2 학년 학생들의 삼각형에 대한 개념 이미지 분석. 학교수학, 18(2), 425-440. 

  14. 박정일 (2013).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프레게 의미이론 비판. 논리연구, 16(3), 347-380. 

  15. 박진형, 이경화 (2013).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수학화의 기호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2), 95-116. 

  16. 우정호 (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중).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7. 최병훈, 방정숙, 송근영, 황현미, 구미진, 이성미 (2006).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8(1), 45-68. 

  18. 최병철 (2017). 개념 형성 과정에 관여하는 표현의 기호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7(4), 663-678. 

  19. 최수임, 김성준 (2012). 정의하기와 이름짓기를 통한 도형의 이해 고찰-초등학교 4 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719-745. 

  20. Banicky, L. (2000). Opportunity to learn (Education Policy Brief, vol. 7). College of Human Resources, Education, and Public Policy, University of Delaware. http://udspace.udel.edu/bitstream/handle/19716/2446/opp%20to?sequence1 에서 2020년 1월 15일 인출. 

  21. Begle, E. G. (1973). Some lessons learned by SMSG. Mathematics Teacher, 66(3), 207-14. 

  22. Charalambous, C. Y., Delaney, S., Hsu, H. Y., & Mesa, V.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in textbooks from three countri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2), 117-151. 

  23. Cohen, D. K., Raudenbush, S. W. & Ball, D. L. (2003). Resources, instruction, and research.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5(2), 119-142. 

  24. Ding, M., & Li, Xiaobao.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tributive property in U.S. and Chines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Cognition and Instruction, 28(2), 146-180. 

  25. Duval, R. (1995). Semiosis et pensee humaine. Berna: Peter Lang. 

  26. Duval, R. (2008). Eight problems for a semiotic approach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emiotics in mathematics education (pp. 39-61). Brill Sense. 

  27. Frege, G. (1948). Sense and reference. The Philosophical Review, 57(3), 209-230. 

  28. Grouws, D., Smith, M., & Sztajn, P. (2004). The preparation and teaching practices of United States mathematics teachers: Grades 4 and 8. In P. Kloosterman & F. Lester (Eds.), Results and interpretations of the 1990 through 2000 mathematics assessmen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9. Li, Y. (2000). A comparison of problems that follow selected content presentations in American and Chinese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2), 234-241. 

  30. McDonnell, L. M. (1995). Opportunity to learn as a research concept and a policy instrum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7(3), 305-322. 

  31. Peirce, C. S. (1998). The essential Peirce: selected philosophical writings. Vol. 2 (1893-1913). (Peirce Edition Project, ed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32. Pepin, B., & Haggarty, L. (2001).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ir use in English, French and German classrooms. ZDM, 33(5), 158-175. 

  33. Remillard, J. T. (2005). Examining key concepts in research on teachers' use of mathematics curricul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5(2), 211-246. 

  34. Reys, B. J., Reys, R. E., & Chavez, O. (2004). Why Mathematics Textbooks Matter. Educational Leadership, 61(5), 61-66. 

  35. Rezat, S. & Strasser, R. (2012). From the didactical triangle to the socio-didactical tetrahedron. ZDM , 44(5), 641-651. 

  36. Schmidt, W. H., McKnight, C. C., Valverde, G. A., Houang, R. T., & Wiley, D. E. (1997). Many visions, many aims: A cross-national investigation of curricular intentions in school mathematic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7. Schimidt, W. H., McKnihgt, C. C., Houang, R. T., Wang, H., Wiley, D. E., Cogan, L. S., & Wolfe, R. G. (2001). Why schools matter: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8. Seeger, F. (2008). Intentionality and sign. In L. Radford, G. Schubring, & F. Seeger (Eds.), Semiotics in mathematics education: Epistemology, history, classroom and culture (pp. 1-18). Rotterdam: Sense Publishers. 

  39. Stein, M. K., Remillard, J., & Smith, M. S. (2007). How curriculum influences student lear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319-369).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40. Tarr, J. E., Chavez, O., Reys, R. E., & Reys, B. J. (2006). From the written to the enacted curricula: The intermediary role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shaping students' opportunity to lear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4), 191-201. 

  41. Thompson, D. R., Senk, S. L., & Johnson, G. J. (2012). Opportunities to learn reasoning and proof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3), 253-295. 

  42. Thompson, D. R., & Huntley, M. A. (2014). Researching the enacted mathematics curriculum: learn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enactment. ZDM, 46(5), 701-704. 

  43. Tornroos, J. (2005). Mathematics textbooks, opportunity to learn and student achievement.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31(4), 315-327. 

  44. Valverde, G. and L. Bianchi and R. Wolfe and W. Schmidt and R. Houang,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45. Van Dormolen, J., (1986), Textual Analysis, In Christiansen, B and A.G. Howson and M. Otte, Perspectives on mathematical education. Dordrecht: Reidel, 141-171. 

  46. Vygotsky, L. S. (2011). The dynamics of the schoolchild’s mental development in rela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Cognitive Education and Psychology, 10(2), 198-2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