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톱과 모발에서의 셀레노 화합물의 화학종 분석
Speciation Analysis of Seleno-Compounds in Hair and Finger Nail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4 no.4, 2020년, pp.203 - 209  

지영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학과) ,  금대섭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학과) ,  박용남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손톱과 모발에서 셀레늄을 추출하고 HPLC-ICP/MS로 셀레늄의 각 화학종을 분리한 뒤 분석하였다. 셀레노 화합물은 주로 SeCys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내었고 이 들 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인체에서의 셀레늄에 농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5명의 참가자들에 대한 손톱을 12개월간 모니터링한 결과, 농도는 평균 858.6 ± 201.2 ng g-1 이었는데 각 개인의 농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가 크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개인간의 평균값차이도 심하지 않았다. 모발의 경우, 평균농도는 205.3 ng g-1으로서 손톱보다는 낮았다. 지원자들에게 셀레늄 보조제 22 ㎍ day-1를 3개월씩 투여하였을 때에 섭취 전후(각 3개월의 기간)의 농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셀레늄보조제의 농도를 300 ㎍ day-1으로 증가시켜 2개월간 투여하였을 때에는 손톱에서의 셀레늄 농도가 1,230 ng g-1으로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손톱은 인체가 장기간(수 개월 이상)동안 노출되었거나 또는 흡수한 셀레늄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여 나타낼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lenium species in hair and nails were extracted, separated and analyzed with HPLC-ICP/MS. The result showed that Se species was mostly SeCys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nge of selenium concentration in a body could be obtained. The Se fortification study was performed for 5 participants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7개의 손톱 시료를 90 oC 온도 조건에서 추출한 셀레노화합물을 Fig. 2에 나타내고 그 농도와 총량 분석한 농도를비교하였다.
  • 5명의 실험참여자는 평소 식단 이외에 하루에 22 µg의 셀레늄을 섭취하였으며 3개월 섭취 3개월 휴식을 반복하였다. ICP-MS를 이용한 IDA로 총량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료의 질량이 0.03 g이상 필요하기 때문에 자란 손톱을 끝에서부터 잘라내는방식으로 채취하였다. Fig.
  • 셀레늄 영양보조제 섭취에 따른 모발 속 셀레늄 농도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개월 동안 22 µg day-1 섭취한 여성실험 참여자의 모발을 모근에서부터 6cm 가량 채취하였고,채취한 시료를 A (모근부터 2cm), B (2 cm ~ 4 cm), C (4 cm ~ 6 cm)로 3등분하여 IDA로 셀레늄 총량 분석하였다. 또한 모발 속 셀레노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발을90 oC에서 0.1 M NaOH 용액으로 3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액을 HPLC-ICP-MS로 분석하였다. 모발 시료 A, B, C에대한 셀레늄 총량을 Table 4에 나타냈다.
  • 상온인 37oC에서 추출되는 셀레노 화합물의 양을 알아내기 위해 하나의 시료를 반씩 나누어 마이크로파 산 분해와 상온추출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두 농도값을 비교하고 추출 효율결과를 다음의 Table 3에 나타내었다.
  • 셀레늄 영양보조제 섭취에 따른 모발 속 셀레늄 농도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개월 동안 22 µg day-1 섭취한 여성실험 참여자의 모발을 모근에서부터 6cm 가량 채취하였고,채취한 시료를 A (모근부터 2cm), B (2 cm ~ 4 cm), C (4 cm ~ 6 cm)로 3등분하여 IDA로 셀레늄 총량 분석하였다.
  • 셀레늄 영양보조제 섭취에 따른 손톱 속 셀레늄 농도변화 실험에 참여한 실험참여자들은 매일 22 µg 씩 매일 3개월 섭취하고 3개월 휴식하기를 2회 반복하였으며 실험은 1년간 진행되었다.
  • 셀레늄 영양보조제를 섭취한 5명의 실험참여자의 손톱을2017년 12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1년 동안 3주마다 채취하여 셀레늄 총량을 분석하였다. 5명의 실험참여자는 평소 식단 이외에 하루에 22 µg의 셀레늄을 섭취하였으며 3개월 섭취 3개월 휴식을 반복하였다.
  • C에서 아세톤-증류수-아세톤의 순서로 10분간 세척하였고 110 oC에서 2시간 건조하였다. 손톱 속 셀레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세라믹 가위를 이용하여 건조한 손톱 시료를 가로 세로 약 2 mm크기 이하로 조각내었다.
  • 1 M NaOH로 추출하였다. 이 때 온도는37oC와 90oC로 나누어 추출효율을 비교하였다.
  • 모발시료에 대해선 실험참여자의 모발 시료를 뿌리 부분에서부터 6 cm 가량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를 뿌리에서부터 2 cm씩 A, B, C 시료로 나누어 산 분해하였다.산 분해 조건은 손톱과 동일하였다.
  • 추가 실험에서는 300 µg day-1를 2개월 복용하였다.
  • 8% 정도로서 완전히 추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된 셀레늄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용액을 HNO3로중화한 후 HPLC-ICP-MS로 분석하였고 크로마토그램을 Fig. 1에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5명의 실험참여자는 평소 식단 이외에 하루에 22 µg의 셀레늄을 섭취하였으며 3개월 섭취 3개월 휴식을 반복하였다.
  • HPLC 이동상으로는 ammonium acetate (≥99.99%, trace metals basis)를 사용하였다.
  • 연구에 사용된 질산은 동우화인켐(Pyungtaek, Korea)의 반도체급시약을 사용하였다. Sodium selenite (Se IV, 99%), Sodium selenate decahydrate (Se VI, 99.999%) DL-SeMet, L-SeCys, MeSeCys는 모두 Sigma-Aldrich (Yongin, South Korea)에서 구입하였다. HPLC 이동상으로는 ammonium acetate (≥99.
  • 실험에 사용한 셀레늄 스파이크로는 76Se 동위원소(Trace Sciences International Corp, DE, USA)를 사용하였다. 아래표에 셀레늄의 %자연동위원소비와 76Se 동위원소의 비율을나타내었다.
  • 연구에 사용된 질산은 동우화인켐(Pyungtaek, Korea)의 반도체급시약을 사용하였다. Sodium selenite (Se IV, 99%), Sodium selenate decahydrate (Se VI, 99.
  • 이 때 평소의 식단 위에 효모(주로SeMet)에서 기인한 셀레늄 보조제(Natural Life Nutrition Inc., British Columbia, Canada)를 섭취하였다. 추가 실험에서는 300 µg day-1를 2개월 복용하였다.
  • 99%, trace metals basis)를 사용하였다. 충돌기체로는 H2(99.8 atom, %)를 삼성산소(Cheongju, South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45 µm 필터로 걸러서 사용하였다. Filtering한 시료는 HPLC-ICP-MS로 분석하여 PCID법으로 정량하였다.
  • 시료내의 총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 분해법을이용하여 손톱과 모발 시료를 처리하였다. 세척하고 건조시킨 손톱 시료 약 0.
  • 산 분해 조건은 손톱과 동일하였다. 시료의 총 셀레늄 농도는 동위원소희석법으로 정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가 셀레늄 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체내의 셀레늄은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분석이 필요하다.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는 ppb~ppt 단위의 낮은 농도까지 높은 정밀도로 측정가능하기 때문에 Se 분석에서 많이 사용된다.20 최근 휴대용 X선형광법으로분석법을 개발한 연구21가 있으나 간편하고 빠르기는 하지만 그 검출한계가 높아(~800 ppb) 본 연구와 같은 미량농도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셀레늄은 체내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1 셀레늄은 필수 미량 원소로 지정되었으며2,3 체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셀레노메티오닌(Selenomethionine, SeMet)이나 셀레노시스테인(Selenocysteine, SeCys)과 같은 아미노산, 신진대사물의 결과인 당류로도 존재하고, 또한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GPx)등의 단백질로도 존재하며 인체에서 항산화기능등  4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셀레늄은 결핍시 면역기능 이상, 갑상선기능 장애, 퇴행성 신경장애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수 있으나 과다 복용시에는 셀레노시스(Selenosis)를 유발하여 탈모, 손톱 손실, 피부 안면 신경계의 병변, 피로 및 과민증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건강과 관련한 중요한 모니터링 대상이다.
셀레늄의 결핍 혹은 과다 복용 시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셀레노메티오닌(Selenomethionine, SeMet)이나 셀레노시스테인(Selenocysteine, SeCys)과 같은 아미노산, 신진대사물의 결과인 당류로도 존재하고, 또한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GPx)등의 단백질로도 존재하며 인체에서 항산화기능등  4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셀레늄은 결핍시 면역기능 이상, 갑상선기능 장애, 퇴행성 신경장애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수 있으나 과다 복용시에는 셀레노시스(Selenosis)를 유발하여 탈모, 손톱 손실, 피부 안면 신경계의 병변, 피로 및 과민증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건강과 관련한 중요한 모니터링 대상이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ung, A. S.; Park, J. M.; Kim, 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2004, 9, 8. 

  2. Kumar, B. S.; Priyadarsini, K. I. Biomedicine & Preventive Nutrition 2014, 4, 333. 

  3. Tapiero, H.; Townsend, D. M.; Tew, K. D. Biomedicine &pharmacotherapy 2003, 57, 134. 

  4. Deagen, J. T.; Beilstein, M. A.; Whanger, P. D. Journal of inorganic biochemistry 1991, 41, 261. 

  5. Nuttall, K. L. Annals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06, 36, 409 

  6. Navarro-Alarcon, M.; Cabrera-Vique, C.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8, 400, 115. 

  7. Ashton, K.; Hooper, L.; Harvey, L. J.; Hurst, R.; Casgrain, A.; Fairweather-Tait, S. J.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9, 89, 2025S. 

  8. Vinceti, M.; Filippini, T.; Cilloni, S.; Crespi, C. M. Advances in cancer research 2017, 136, pp. 1-48 Academic Press. 

  9. Reyes, L. H.; Gayon, J. M.; Alonso, J. G.; Sanz-Medel, A. Journal of Analytical Atomic Spectrometry 2003, 18, 11. 

  10. Zhu, Y. S.; Xu, H. B.; Huang, K. X.; Hu, W. H.; Liu, M. L.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2002, 89, 155. 

  11. Navarro-Alarcon, M.; de la Serrana, H. L. G.; Perez-Valero, V.; Lopez-Marti'nez, C.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999, 228, 79. 

  12. Longnecker, M. P.; Stampfer, M. J.; Morris, J. S.; Spate, V.; Baskett, C.; Mason, M.; Willett, W. C.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93, 57, 408. 

  13. Kaluza. J., Jeruszka, M and Brzozowska, A. Roczniki Panstwowego Zakadu Higieny. 2001, 52, 111. 

  14. D'Ilos, S.; Violante, N.; Senefonte, O. Microchemical Journal 2000, 67, 343. 

  15. Rashed. M. N.; Hossam, F., Environmental Bioindicators 2007, 2, 131. 

  16. Rahman, L.; Corns, W. T.; Bryce, D. W.; Stockwell, P. B. Talanta 2000, 52, 833. 

  17. He, K. Eur. J. Clin. Invest. 2011, 41, 98. 

  18. Diskin, C. J.; Tomasso, C. L.; Alper, J. C.; Glaser, M. L.; Fliegel, S. 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79, 139, 824. 

  19. Allen, N. E.; Travis, R.; Appleby, P.; Albanes, D.; Barnett, M.; Black, A.; Bueno-de-Mesquita, H.; Deschasaux, M.; Galan, P.; Goodman, G.; Goodman, P.; Gunter, M.; Heliovaara, M.; Helzlsouer, K.; Henderson, B.; Hercberg, S.; Knekt, P.; Kolonel, L.; Lasheras, C.; Linseisen, J.; Metter, E.; Neuhouser, M.; Olsen, A.; Pala, V.; Platz, E.; Rissanen, H.; Reid, M.; Schenk, J.; Stampfer, M.; Stattin, P.; Tangen, C.; Touvier, M.; Trichopoulou, A.; van den Brandt, P.; Key, T.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6, 108, 153. 

  20. Liu, Y.; Hu, Z.; Gao, S.; Gunther, D.; Xu, J.; Gao, C.; Chen, H. Chemical Geology 2008, 257, 34. 

  21. Fleming, D. E.; Nader, M. N.; Foran, K. A.; Groskopf, C.; Reno, M. C.; Ware, C. S.; Tehrani, M.; Guimaraes, D.; Parsons, P. J. Appl. Radiat. Isot. 2017, 120, 1. 

  22. Jenner, F. E.; Holden, P.; Mavrogenes, J. A.; O'Neill, H. S. C.; Allen, C. Geostandards and Geoanalytical Research 2009, 33, 309. 

  23. Alonso, J. G. Analytica chimica acta 1995, 312, 57. 

  24. Rodriguez-Gonzalez, P.; Marchante-Gayon, J. M.; Alonso, J. I. G.; Sanz-Medel, A. Spectrochimica Acta B 2005, 60, 151. 

  25. Gine, M. F.; Packer, A. P. Journal of the Brazilian Chemical Society 2010, 21, 575. 

  26. Xia, Y.; Ha, P.; Hill, K.; Butler, J.; Whanger, P. The Journal of Trace Elements in Experimental Medicine 2000, 13, 333. 

  27. Choi, M. K.; Kank, M. H.; Kim, M. H. Biol. Trace Elem. Res. 2009, 128, 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