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Scienc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4 no.4, 2020년, pp.210 - 224  

양정은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최애란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1년간 동료 교사들과 과학 탐구 수업을 협력적으로 계획하여 수행한 다섯 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교수 지향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 계획 및 성찰 대화, 개별 수업 관찰 및 수업 후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본 연구의 교사들은 학생이 과학 탐구를 수행하여 스스로 과학 개념을 형성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한 과학 교육 목표라는 '과학 탐구 교육 목표'에 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치밀한 수업 설계와 학생의 능동적인 과학 탐구 수행을 통해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과학 탐구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논의를 활용한 교수가 학생의 사고를 구체화하고 조직하여 과학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논의 기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가 과학적 증거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과학 지식을 형성한다는 '과학 지식 및 과학 탐구의 본성'에 관한 인식론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교수 지향을 가지게 된 것은 1년 동안 동료 교사와 함께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및 실행을 하고 성찰하며 수업을 개선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In this study, fiv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formed and participated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cientific inquiry-based instruction during one year. Data collection con...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수 지향이 무엇인가? 과학 교수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교수-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관한 교사의 믿음 즉, 과학 교수 지향(Orientation toward science teaching)은 교수 전략 선택 및 설계, 교육과정 자료의 조직 및 구성, 평가 계획 및 수행 등을 안내 또는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3 과학 교수 지향 중에서 과학 교육목표에 관한 것은 왜 과학을 가르쳐야 하고 과학 교수에서 무엇이 중요한지에 관한 교사의 믿음이며,2,3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것은 학생들이 과학을 배우는 방법, 과학 학습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믿음이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후 교사들의 변화는 어떤 것이 있나요?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정 교사는 학생들이 과학 탐구를 수행하여 과학 개념을 스스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믿음을 형성하였다. 사전 면담 시 과학 지식 학습과 과학 탐구를 별개로 인식하고 다양한 자료 제시는 학생의 흥미 유발 목적으로만 사용한다고 언급하였으나, 사후 면담에서는 자료 제시를 포함하여 여러 과학 탐구 활동이 학생의 과학 개념 형성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역학적 에너지에 관한 수업에서는 실험 수행, 데이터 분석 및 해석 등을 통해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개념을 학생 스스로 형성하는 것이 수업의 목적이라고 설명하였다.
NRC가 강조한 진정한 과학 학습이 무엇인가요? (1999)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결과 학생들이 자료의 의미를 파악하고 탐구 과정, 데이터, 증거 및 주장 간 논리적 연계를 구축할 수 있었고, 과학의 본성에 대해서도 명확하고 구체적인 이해를 하였다고 보고하였다.9 NRC(2012)는 실험,자료 수집과 같은 일부 기능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탐구 문제 제기, 모형의 구성과 사용, 탐구 계획 및 수행,자료 분석 및 해석, 수학 및 컴퓨팅 사고 사용, 설명 구성,증거 기반 논의, 정보 수집과 평가 및 의사소통 등 8가지 과학 실천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때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강조하였다.10 우리나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과학적 탐구 능력을 과학적 문제에 관해 다양한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 해석, 평가하여 과학 지식을 얻거나 의미를 구성해 가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문제 인식, 탐구 설계와 수행, 자료의 수집·분석 및 해석,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모형의 개발과 사용,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결론 도출 및 평가, 의사소통 등을 탐구 기능에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Friedrichsen, P.; Driel, J. H. V.; Abell, S. K. Science Education 2011, 95, 358. 

  2. Magnusson, S.; Krajcik, J.; Borko, H.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Springer: Dordrecht, 1999; pp. 95-132. 

  3. Schneider, R. M.; Plasman, 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2011, 81, 530. 

  4. Lederman, N. G. (2013).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Routledge, 2013, pp. 845-894. 

  5. Park, S.; Oliver, J. 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8, 38, 261. 

  6. Roehrig, G. H.; Luft, J. 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4, 26, 3. 

  7. Wallace, C. S.; Kang, N. 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4, 41, 936. 

  8. Minner, D. D.; Levy, A. J.; Century,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0, 47, 474. 

  9. Keys, C. W.; Hand, B.; Prain, V.; Collins,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9, 36, 1065. 

  10.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 

  11. Ministry of Education, 2015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eoul, 2015. 

  12. Pimentel, D. S.; McNeill, K. L. Science Education 2013, 97, 367. 

  13. Watson, J.; Swain, J. R.; McRobbie, C.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4, 26, 25. 

  14. Capps, D. K.; Crawford, B. A.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13, 24, 497. 

  15. Park, Y. S. Teacher Education Reasearch 2013, 52, 171. 

  16. Sampson, V.; Blanchard, M. 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2, 49, 1122. 

  17. Osborne, J.; Simon, S.; Christodoulou, A.; Howell-Richardson, C.; Richardson, 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3, 50, 315. 

  18. Bang, E. J.;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0, 30, 719. 

  19. Desimone, L. M. Educational Researcher 2009, 38, 181. 

  20. Garet, M. S.; Porter, A. C.; Desimone, L.; Birman, B. F.; Yoon, K. 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001, 38, 915. 

  21. Van Driel, J. H.; Beijaard, D.; Verloop, 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1, 38, 137. 

  22. Luft, J. 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1, 23, 517. 

  23. Seo, K. H.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9, 26, 243. 

  24. McLaughlin, M. W.; Talbert, J. E.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006. 

  25. Akerson, V. L.; Hanuscin, D. 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7, 44, 653. 

  26. Lin, H. S.; Hong, Z. R.; Yang, K. K.; Lee, S. 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3, 35, 3095. 

  27. Louis, K. S.; Marks, H. M.; Kruse, 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96, 33, 757. 

  28. Gao, S.; Wang, J.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14, 44, 1. 

  29.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2002. 

  30. Lincoln, Y. S.; Guba, E. 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85. 

  31. Osborne, J.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14, 25, 177. 

  32. Sadeh, I.; Zion, 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9, 46, 1137. 

  33. Lee, H. N.; Cho, H. J.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12, 5, 175. 

  34. Park, Y. 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10, 31, 798. 

  35. Demir, A.; Abell, S. 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0, 47, 716. 

  36. Crawford, B. 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0, 37, 916. 

  37. Park, Y. S.; Flick, L.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4, 25, 194. 

  38. Simon, S.; Erduran, S.; Osborne,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6, 28, 235. 

  39. In, S. J.; Choi, A. 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8, 38, 379. 

  40. Cho, H. 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98, 18, 283. 

  41. Ramey-Gassert, L.; Shroyer, M. G.; Staver, J. R. Science Education 1996, 80, 283. 

  42. Lee, S. K; Oh, P. S.; Kim, H. R.; Lee, G. H.; Kim, C. J.; Kim, H. B.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9, 26, 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