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 과학 실험 결과 불일치 상황을 중심으로 -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Focusing on the Anomalous Situa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2 no.2, 2023년, pp.211 - 226  

조은진 (서초고등학교) ,  최취임 (서울대학교) ,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을 '개념 이해', '활동', '과정기능', '과학적 실천', '공학적 실천'의 5가지로 구분하고 초등 예비교사가 가진 일반적, 맥락적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을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초등 예비교사의 일반적인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어떠한지 일반적인 상황의 질문을 통해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른 불일치 상황(anomalous situation)에서 다시 이들의 교수 지향을 조사하여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의 맥락 의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과학적 실천' 교수 지향이 많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수업 상황인 불일치 상황에서는 '개념 이해' 교수 지향이 많이 나타났다. 또 일반적인 상황과 구체적인 상황에서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일관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구체적인 수업 상황인 불일치 상황에서도 전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르게 나오는 경우(응결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경우)와 모둠별로 실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일부 모둠에서만 응결이 일어난 경우),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다른 패턴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는 '개념 이해' 교수 지향이 더 많이 나타났고, 모둠별로 결과가 다르며 일부 모둠에서만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는 '과학적 실천' 교수 지향이 좀 더 많이 나타났다. 즉,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며 상황 의존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namely, 'concept understanding', 'activity driven', 'process skills', 'scientific practice', and 'engineering practice', and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of pre-service elemen...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52)

  1. 방은정, 백성혜(2010). 중학교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30(6), 719-738. 

  2. 안영돈, 임희준(2014). 초등 교사의 과학 학습에 대한 신념과 수업 내용, 방법, 환경 측면에서의 교수 실제에?관한 사례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8(3), 555-568. 

  3. 양일호, 한기갑, 최현동, 오창호, 조현준(2005). 초등 초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과 과학 교수-학습 활동과의 관련성. 초등과학교육, 24(4), 399-416. 

  4. 양정은, 최애란(2020).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대한화학회지, 64(4). 210-224. 

  5.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6. 윤혜경(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7. 윤혜경, 강남화, 김병석(2015).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과학학습,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인식론적 신념의 맥락 의존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1), 15-25. 

  8.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9. 정원우(1998). 고등학교 지구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 대한?조사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9(5), 439-448. 

  10. 조은진(2020).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교수 의지 사례 연구: 지식과 신념의 상호작용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21-50. 

  11. 팽애진, 백성혜(2005).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146-161. 

  12. 한수진, 이인혜, 강석진, 노태희(2011). 위기 상황에의 대처 전략을 통한 초등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연구. 초등과학교육, 30(1), 61-70. 

  13.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mproving?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A?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Science Education, 22(7), 665-701. 

  14.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G., Mamlok-Naaman, R., Hofstein, A., ... & Tuan,?H. L.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15. Adey, P., & Shayer, M. (1993). An exploration of?long-term far-transfer effects following an extended?intervention programme in the high school science?curriculum. Cognition and Instruction, 11(1), 1-29. 

  16.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17. Anderson, C. W., & Smith, E. L. (1987). Teaching?science. In V. Richardson-Koehler (Ed.), Educators'?handbook: A research perspective (pp. 84-111).?Longman. 

  18.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Education, 13(1), 1-12. 

  19. Ball, D. L., & Bass, H. (2002, May). Toward a practice-based theory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Proceedings of the 2002 annual meeting of the?Canadian Mathematics Education Study Group (pp.?3-14). Edmonton Alberta. 

  20. Bartos, S. A., & Lederman, N. G. (2014). Teachers'?knowledge structures for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inquiry: Conceptions and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9), 1150-1184. 

  21. Brickhouse, N. W. (1990). Teachers' beliefs about the?nature of sci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classroom?practi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53-62. 

  22. Cochran-Smith, M., & Lytle, S. L. (1999). Relationships?of knowledge and practice: Teacher learning in?communitie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4(1),?249-305. 

  23. Crawford, B. (2007). Learning to teach science as inquiry?in the rough and tumble of practice.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4), 613-642. 

  24. Driver, R. (1983). The Pupil as Scientist. Open University?Press. 

  25. Eick, C. J., & Reed, C. J. (2002). What makes an?inquiry-oriented science teacher? The influence of?learning histories on student teacher role identity and?practice. Science Education, 86(3), 401-416. 

  26. Ernest, P. (1989). The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of?the mathematics teacher: A model. Journal of Education?for Teaching, 15(1), 13-33. 

  27. Forzani, F. M. (2014). Understanding "core practices" and?"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Learning from the?past.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5(4), 357-368. 

  28. Friedrichsen, P., & Dana, T. (2005). A substantive-level?theory of highly-regarded secondary biology teachers'?science teaching orientations. Journal of Research in?Science Teaching, 42(2), 218-244. 

  29. Gess-Newsome, J. (2015). A Model of Teacher?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cluding PCK:?Results of the Thinking from the PCK Summit. In A.?Berry, P. M. Friedrichsen, & J. Loughran (Eds.),?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cience Education (pp. 14-27). Routledge. 

  30. Gess-Newsome, J., & Carlson, J. (2013, September). The?PCK summit consensus model and definition of?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Newsome?(Chair), Symposium. The European Science Education?Research Association (ESERA) Conference, Nicosia,?Cyprus. 

  31. Gess-Newsome, J., Taylor, J. A., Carlson, J., Gardner, A.?L., Wilson, C. D., & Stuhlsatz, M. A. (2017). Teacher?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actice, and student?achie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39(1), 1-20. 

  32.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NY:?Teachers College Press. 

  33. Helms, J., & Stokes, L. (2013). A Meeting of Minds?arou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signing an?International PCK Summit for Professional,?Community, and Field Development. Inverness?Research. (PCK Summit Report). Retrieved from?http://www.inverness-research.org/reports/2013-05_RptPCK-Summit-Eval-final_03-2013.pdf 

  34. Hofer, B. K., & Pintrich, P. R. (2002). Personal?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knowledge and know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5. Jones, M. G., & Carter, G. (2007). Science teacher attitudes?and beliefs.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Vol. 1, pp.?1067-1104). Routledge. 

  36. Kang, N. H. (2008). Learning to teach science: Personal?epistemologies, teaching goals, and practices of?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 478-498. 

  37. Kind, V. (2016).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cience?teaching orientations and beliefs about science. Science?Education, 100(1), 122-152. 

  38. Leach, J., Millar, R., Ryder, J., & Sere, M. G. (2000).?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in science learning: The?consistency of representations across contexts. Learning?and Instruction, 10(6), 497-527. 

  39. Levin, B. (2004). Reforming education: From origins to?outcomes. Routledge. 

  40. Lucero, M., Valcke, M., & Schellens, T. (2013). Teachers'?beliefs and self-reported use of inquiry in science?education in public primary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of Science Education, 35(8), 1407-1423. 

  41.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Springer. 

  42. Melville, W., Fazio, X., Bartley, A., & Jones, D. (2008).?Experience and reflecti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capacity for teaching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Education, 19(5), 477-494. 

  4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ies Press. 

  44. Nott, M., & Wellington, J. (1998). Eliciting, interpreting?and developing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7(6), 579-594. 

  45.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46. Park, S., & Chen, Y.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47. Richardson, V. (1996). The role of attitudes and beliefs in?learning to teach. In J. Sikula (Ed.), Handbook of?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nd ed., pp. 102-119).?New York: Macmillan. 

  48. Roehrig, G. H., & Luft, J. A. (2004). Constraints?experienced by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in implementing scientific inquiry lessons. International?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3-24. 

  49. Ryan, G. W., & Bernard, H. R. (2000). Data management?and analysis methods. Handbook of Qualitative?Research, 2(1), 769-802. 

  50. Schwab, J. J.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In J. J. Schwab & P. F. Brandwein (Eds.), The teaching?of science (pp. 3-103). Simon and Schuster. 

  51. Wallace, C. S., & Kang, N. H. (2004). An investigation of?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beliefs about?inquiry: An examination of competing belief sets.?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936-960. 

  52. White, C. S. (1982). A validation study of the Barth-Shermis 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 Theory and?Research in Social Education, 10(2),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