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슈퍼비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98 - 107  

신문영 (마들종합사회복지관 지역사회조직팀) ,  박종두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클라이언트 삶의 질 향상 및 자립을 위해 힘쓰는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직무만족은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슈퍼비전이 조절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으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슈퍼비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및 서울북부권역 지역사회복지관 10곳의 사회복지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PASW(SPSS) 25.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사회복지사들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기능(행정적, 교육적, 지지적)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함을 확인하여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슈퍼비전 기능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part of social workers who str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ndependence of their clien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supervision to determine whether supervision regulat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슈퍼비전의 기능(행정, 교육, 지지)가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침을 확인함으로써 슈퍼비전의 기능이 모두 직무만족에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들의 자기존중감 증진 및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슈퍼비전의 조절효과에 따른 직무만족의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및 슈퍼비전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환경을 제공하고 기여하는 방향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슈퍼비전(행정, 교육, 지지)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주요 결과들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서 도출한 가설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양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 설문조사 협조를 통하여 경기도 및 서울북부권역 지역사회복지관 10곳의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슈퍼비전이 조절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며,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사회복지현장에서 슈퍼비전은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업무 및 개인의 정서적인 부분, 사회복지사로써의 가치까지도 연계되는 밀접한 영역이다. 앞선 선행연구[9-13]를 통하여 슈퍼비전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의 역할을 강화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나타내고자 한다.
  • 이에, 자기효능감 향상을 통한 직무만족 향상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조절변인인 슈퍼비전 매개를 통하여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복지현장에서 슈퍼비전은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업무 및 개인의 정서적인 부분, 사회복지사로써의 가치까지도 연계되는 밀접한 영역이다.
  •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슈퍼비전의 조절효과에 따른 직무만족의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및 슈퍼비전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환경을 제공하고 기여하는 방향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셋째,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슈퍼비전(행정, 교육, 지지)이 정(+)적인 조절작용을 할 것이다.
  • 첫째,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슈퍼비전(행정, 교육, 지지)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사회복지조직체계는 클라이언트 중심으로서, 클라이언트와의 직접적인 대면관계를 통해 서비스를 전달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는 대인관계기술이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의 감정적 관여가 서비스의 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다 나은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여 사회에 적응하도록 사회복지 서비스의 선택 및 직접적인 수혜의 도움을 주는 지지자, 촉진자, 중개자, 조정자, 옹호자, 변화매개자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의 일방적인 요구와 요청, 인격을 무시하는 발언, 폭언과 폭설, 성희롱 발언, 민원제기, 불평과 불만, 하소연 등의 감정노동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클라이언트와의 업무 중 ‘클라이언트의 하소연’을 가장 큰 고충으로 여기고 있다.
사회복지조직체계는 무엇인가? 사회복지조직체계는 클라이언트 중심으로서, 클라이언트와의 직접적인 대면관계를 통해 서비스를 전달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는 대인관계기술이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의 감정적 관여가 서비스의 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다 나은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여 사회에 적응하도록 사회복지 서비스의 선택 및 직접적인 수혜의 도움을 주는 지지자, 촉진자, 중개자, 조정자, 옹호자, 변화매개자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의 하소연은 결국 무엇으로 나타나는가 하지만 클라이언트의 일방적인 요구와 요청, 인격을 무시하는 발언, 폭언과 폭설, 성희롱 발언, 민원제기, 불평과 불만, 하소연 등의 감정노동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클라이언트와의 업무 중 ‘클라이언트의 하소연’을 가장 큰 고충으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감정노동에 대한 엄청난 정신적인 스트레스 경험은 결국 소진(burnout)으로 나타나게 된다[1].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 안에서의 자립을 위해 힘쓰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작용되는 감정노동과 소진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H. Kim. (2016).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The Social Worker. 

  2. V. H. Vroom. (1964). Work & Motivation. New York : JohnWiley. 

  3. B. H. Gilmer. (1966). Industrial Pschoogy. Tokyo: McGrew - Hill Kogakuha. 

  4.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 cognitiveview, Engle wood Cliffs. NJ : Prentice-Hal. 

  5. H. J. Kim. (2019). Empirical Study of Social Worker's Self-leadership on Empowerment, Self-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Welfare Management Major The Graduate School Sehan University, Jeonnam. 

  6. S. W. Jeon.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Sa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Kangnam University, Yongin. 

  7. G. H. Kim.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Super Vision Function of Social Welfare in Long-Term Care Accommodations on Job Satisfaction.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aegu University Gyeongbuk, Daegu. 

  8. A. Kadushin. (1992). Supervision in social Work(2nd ed). New York: Colmbia University Press. 

  9. J. J. William. (2001). The impact of surpervision on social worker perception of self - efficac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Ph D., Dissertation. 

  10. Field Education. (1994).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knowledge. NY : Columbia University Press, 83-90. 

  11. H. J. Sung. (2007). The Influence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s' Self-Efficacy :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12. H. J. Kim. (2005).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 Perception of Self-Efficacy -Focused on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Master dissertation.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Seoul. 

  13. S. K. Bae.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upervisory Function on the Burnout of Social Welfare Service Practitioners for the Elderly: The Mediated Effect of the Supervisory Func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Major in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Public Policy Graduate School of Mokwon University, Daejeon. 

  14. J. Guidubaldi. & H. K. Cleminshaw.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eminshaw- Guidubaldi Parent-Satisfaction Scale. In M. J. Fine (E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eminshaw-Guidubaldi Parent-Satisfaction Scale. In M. J. Fine (Ed.). 

  15. Y. S. Lee. (2017). A Path Analysis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of Social Workers and Case Advo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Suwon. 

  16. M. Shere. & C. H. Adams. (1983).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53(3), 899-902. 

  17. H. Y. Hong. (1995).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Y. L. Kim. (1988). A study on the framework of educational supervision models.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J. A. Noh. (2007). Solutions of Welfare Center Workers' Burnout by Supervision.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Daegu. 

  20. J. E. Mun.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supervision on the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 focused on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Master dissertation.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Seoul. 

  21. Y. S. Yu. (2004).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upervision and the social workers' burnout in the mental health area.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Busan. 

  22. E. A. Lee. (2010). A study on influenc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of Supervision in Local social welfare center. Master dissertation.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Anyang, Seoul. 

  23. S. K. Bae.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upervisory Function on the Burnout of Social Welfare Service Practitioners for the Elderly: The Mediated Effect of the Supervisory Func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Major in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Public Policy Graduate School of Mokwon University, Daejeon. 

  24. K. H. Kim. (2019).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Social worker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5. H. J. Kim. (2005).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 Perception of Self-Efficacy -Focused on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Master dissertation.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Seoul. 

  26. J. Y. Kim. (2007).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supervision for school social worker' self-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m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7. S. Y. Jung. & Y. H. Lee. (2013). A Study of Estimating the Role of Diversity in Structure and Function of Supervision in the Promotion of Self-Efficacy for Preliminar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Korea Association Of Community Welfare Studie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