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천장관절가동술 후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이 정상성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ified Wall Squat Exercise after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on Balance in Normal Adul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160 - 167  

공원태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게 있어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실시하였다. 34명의 대상자를 선발하여 실험군 17명(여자 10명, 남자 7명) 또는 대조군 17명(여자 10명, 남자 7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으며, 실험군은 6주간 주 3회, 회당 3세트의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을 받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 그룹 내 균형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체중분포지수와 우측 발 뒷부분과 발 앞부분(힘 판 CD), 좌, 우 발 뒷부분(힘 판 AC)과 좌측 발 뒷부분과 우측 발 앞부분(힘판 AD)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대조군은 전체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ed wall squat exercise after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on balance in normal adult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4, and 17 were randomly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15 in the control group (CG). The subjects in the 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절의 움직임에 역학적 최적화에 도움이 되는 천장관절가동술과 관절의 안정성 증진에 효과적인 딥 스쿼트 운동을 병행한다면 균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게 있어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 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게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을 적용하였을 때 균형에 효과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Kapandji[9]는 골반은 보행 및 운동의 중요 구성요소이고 하지는 크게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로 구성되어 있으며[22], 그 중 어느 한 관절의 손상은 하지관절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로 비정상적인 통증과 보행이 나타난다.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게 있어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실시하였다. 34명의 대상자를 선발하여 실험군 17명(여자 10명, 남자 7명) 또는 대조군 17명(여자 10명, 남자 7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으며, 실험군은 6주간 주 3회, 회당 3세트의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을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능력은 무엇인가? 최근 현대인들은 학교와 직장 등 다양한 사회적 활동들을 하고 있으나 운동능력과 균형능력이 점차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1]. 그 중 균형능력은 하지 근력을 기본으로 체간의 중력 중심을 유지하는 개인의 능력이다[2,3]. 균형은 크게 정적, 동적 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4].
최근 현대인의 운동능력과 균형능력의 실태는 어떤가? 최근 현대인들은 학교와 직장 등 다양한 사회적 활동들을 하고 있으나 운동능력과 균형능력이 점차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1]. 그 중 균형능력은 하지 근력을 기본으로 체간의 중력 중심을 유지하는 개인의 능력이다[2,3].
균형능력의 제고를 위한 운동은 어떤 운동인가? 그 중 균형능력은 하지 근력을 기본으로 체간의 중력 중심을 유지하는 개인의 능력이다[2,3]. 균형은 크게 정적, 동적 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4]. 균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는 심부근육과 표재근의 상호작용이 필요하고 특히 심부근육 또는 국소안정근인 복횡근과 다열근 등이 척추안정에 기여하여야 한다[5]. 스쿼트 운동은 대표적인 닫힌 사슬 운동 으로서 고관절과 슬관절, 족관절을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운동이다[6], 어디서나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운동선수의 상해 후 재활 프로그램으로 많이 활용되고있다[7]. 수정된 월스쿼트 운동은 체중을 벽에 지지한 채로 스쿼트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쿼트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허리 및 무릎의 상해를 피할 수 있어 안전한 닫힌 사슬 운동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M. Kim. (2011).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between men and women after 12 week aerobic exercise. master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2. K. D. Jones, F. B. Horak, K. Winters-Stone, J. M. Irvine & R. M. Bennett. (2009). Fibromyalgia is associated with i mpaired balance and falls. J Clin Rheumatol, 15(1), 16-21. DOI : 10.1097/RHU.0b013e318190f991. 

  3. L. N. Russek & G. D. Fulk. (2009). Pilot study assessing balance in women with fibromyalgia syndrome. Physiother Theory Pract, 25(8), 555-65. DOI : 10.3109/09593980802668050. 

  4. M. G. Wade & G. Jones. (1997). The rloe of vision and spatial orientation in the maintenance of posture. Phys Ther, 77(6), 619-628. DOI : 10.1093/ptj/77.6.619 

  5. C. J. Standaert, S. M. Weinstein & J. Rumpeltes. (2008). Evidence informed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he Spine J, 8(1). 114-120. DOI : 10.1016/j.spinee.2007.10.015 

  6. L. Goldberg, D. L. Elliot & K. S. Kuehl. (1994). A comparison of the cardiovascular effects of running and weight training.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8(4), 219-224. 

  7. M. J. Stuart, D. A. Meglan, G. E. Lutz, E. S. Growney & K. N. An. (1996). Comparison of intersegmental tibiofemoral joint forces and muscle activity during various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4(6), 792-799. DOI : 10.1177/036354659602400615 

  8. W. T. Gong, J. n. Lee & J. m. Park. (2016). The influence of unstable modified wall squat exercises on the gait variables of healthy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22(1), 9-15. 

  9. I. A. Kapandji. (2007). The Physiology of the Joints. Philadelphia : Churchill Livingstone. 

  10. M. K. Kim. (2002). The effect of kaltenborn-evjenth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upon improvement of sacroiliac joint dysfinction. master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11. G. Cummings, J. P. Scholz & K. Barnes. (1993). The effect of imposed leg length difference on pelvic bone symmetry. Spine, 18(3), 368-373. DOI : 10.1097/00007632-199303000-00012 

  12. R. L. Dontigny. (1985). Function and Pathomechanics of the Sacroiliac Joint. A Review. Physical Therapy, 65(1), 35-44. DOI : 10.1093/ptj/65.1.35 

  13. T. R. Jordan. (2006). Conceptual and treatment models in osteopath II: sacroiliac mechanics revisited. J Am Osteopath Assoc, 16(2), 11-7. 

  14. S. V. Paris. (1979). Mobilization of the spine. Physical Therapy, 59(8), 988-995. 

  15. K. A. Shearar, C. J. Colloca & H. L. White. (2005).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manual versus mechanical force manipulation in the treatment of sacroiliac joint syndrome. J Manipulatice Physiol Ther, 28(7), 493-501. 

  16. Y. E. Nilsagard, L. K. von Koch, M. Nilsson & A. S. Forsberg. (2014). Balance exercise program reduced falls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5(12), 2428-34. DOI : 10.1016/j.apmr.2014.06.016 

  17. J. Wang, J. Xu & R. An. (2019). Ruopeng. Effectiveness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on balance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ait & Posture, 68, 466-475. DOI : 10.1016/j.gaitpost.2019.01.002 

  18. C. S. Cayco, E. J. R. Gorgon & R. T. Lazaro. (2017).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balance, strength, and mobility of an older adult with chronic stroke: A case report. Journal of Bodywork & Movement Therapies, 21(4), 767-774. DOI : 10.1016/j.jbmt.2016.10.008 

  19. P. Methajarunon, C. Eitivipart, C. Diver & A. Foongchomcheay. (2016).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on aquatic exercise for balance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Parkinson''s disease, and hemiplegia. Hong Kong Physiotherapy Journal, 7(35), 12-20. DOI : 10.1016/j.hkpj.2016.03.002 

  20. W. T. Gong, Y. W. Jung & S. S, Bae. (2005). The effects of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and lumbopelvic stabilizing exercise on the equilibrium ability.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7(3). 285-295. 

  21. R. Kohen-Raz. (1991). Application of tetra-ataxiametric posturography in clinical and developmental diagnosis. Percept Mot Skill, 73(2), 635-656. DOI : 10.2466/pms..73.2.635 

  22. D. J. Magee. (2008).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5th edition. St. Louis. Missouri : Elsevier Inc. 

  23. O. Friberg. (1983). clinical symptoms and biomechanics of lumbar spine hip joint in leg-length in equality. Spine, 8(6), 643-650. DOI : 10.1097/00007632-198309000-00010 

  24. J. Cleement, N. Hagemeister, R. Aissaoui & J. A. de Guise. (2014). Comparison of quasi-static and dynamic squats: A three-dimensional kinematic, kinetic and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lower limbs. Gait& posture, 40(1), 94-100. DOI : 10.1016/j.gaitpost.2014.02.016 

  25. J. H. Son. (2013). The effects of mobilization with movement technique & functional training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pelvis malposition, pain and static stability control. master thesis. Namseoul university, Cheonan. 

  26. M. S. Cho. (2013). The effects of modified wall squat exercises on average adults' deep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lumbar stability. J Phys Ther Sci, 25, 689-6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