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조직학적 변화
Effect of starvation on tissues in Far Eastern catfish(Silurus asotu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2, 2020년, pp.315 - 322  

구인본 ((주)서준바이오) ,  김영수 ((주)서준바이오) ,  박인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기(Silurus asotus)의 기아 시 생존율,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및 장 중량지수(intestinosomatic index; ISI)와 신장세포, 장 상피세포 및 간세포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섭이군이 92.2±0.47%, 기아군이 74.4±2.59%를 보였으며, GSI, HSI 및 ISI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신장세포 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간세포 핵의 크기 및 간세포의 크기는 섭이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신장세포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및 간세포 핵의 크기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멜라닌대식세포(melano-macrophages; MMs)는 기아 동안 신장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신장의 MMs 증가 및 간세포의 수축현상은 메기의 기아 상태를 식별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메기의 영양 상태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210-da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arvation on survival, the gonadosomatic index (GSI), hepatosomatic index (HSI), and the intestinosomatic index (ISI), and histological changes in the renal tubule epithelium, midgut epithelium, and hepatocytes in Far Eastern catfish (S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메기에서 기아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기아 상태를 극단적으로 적용하여 생존율, 암·수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장 중량지수(intestinosomatic index; ISI), 신장세포와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및 간세포의 크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메기에서의 기아 효과를 생존율, 각 내장 조직의 중량지수 및 일부 조직의 변화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GSI, HSI 및 ISI와 신장, 장 상피 및 간의 조직학적 변화 결과들은 국내 주요 양식대상 종인 메기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으며, 기아에 의한 일부 조직의 변화에 대한 정보는 어류의 영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기란 무엇인가? 메기(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는 메기목(Siluri formes) 메기과(Silur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2019년 국내 연간 생산량이 4,700톤(내수면 어업 생산량의 약 15%)에 이르는 내수면 주요 양식 종이다(KOSIS 2019). 대부분의 어류는 계절 변화에 의한 월동, 생리적 변화에 의한 산란기 및 회유 등으로 인한 자연 기아 상태를 겪으며, 생화학적, 생리학적 및 행동학적 전략을 통해 이러한 기아를 극복한다(Hur et al.
2019년 국내 메기의 연간생산량은? 메기(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는 메기목(Siluri formes) 메기과(Silur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2019년 국내 연간 생산량이 4,700톤(내수면 어업 생산량의 약 15%)에 이르는 내수면 주요 양식 종이다(KOSIS 2019). 대부분의 어류는 계절 변화에 의한 월동, 생리적 변화에 의한 산란기 및 회유 등으로 인한 자연 기아 상태를 겪으며, 생화학적, 생리학적 및 행동학적 전략을 통해 이러한 기아를 극복한다(Hur et al.
일반적으로 어류의 기아 상태는 어떻게 극복되는가? 메기(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는 메기목(Siluri formes) 메기과(Silur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2019년 국내 연간 생산량이 4,700톤(내수면 어업 생산량의 약 15%)에 이르는 내수면 주요 양식 종이다(KOSIS 2019). 대부분의 어류는 계절 변화에 의한 월동, 생리적 변화에 의한 산란기 및 회유 등으로 인한 자연 기아 상태를 겪으며, 생화학적, 생리학적 및 행동학적 전략을 통해 이러한 기아를 극복한다(Hur et al. 2006). 어류는 기아 상태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기초 대사를 통해 축적한 자신 조직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Weatherley et al. 1987;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gius C and RJ Roberts. 1981. Effects of starvation on the melano- macrophage centres of fish. J. Fish Biol. 19:161-169. 

  2. Agius C and RJ Roberts. 2003. Melano-macrophage centres and their role in fish pathology. J. Fish Dis. 26:499-509. 

  3. Alvarez MR and RR Cowden. 1966. Karyometric and cytophotometric study of hepatocyte nuclei of frogs exposed to cold and prolonged starvation. Z. Zellfursch. 75:240-247. 

  4. Ehrlich KF, JHS Blaxter and R Pemberton. 1976.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during the growth and starvation of herring and plaice larvae. Mar. Biol. 35:105-118. 

  5. Hardy RW. 2012. Nutritional pathology of teleosts. pp. 402-424. In: Fish Pathology (Roberts RJ ed.). Wiley-blackwell. Chichester, England. 

  6. Hur JW, SR Woo, JH Jo and IS Park. 2006. Effects of starvation on kidney melano-macrophage centr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and Schlegel). Aquacult. Res. 37:821-825. 

  7. KOSIS. 2019. Fishery production survey.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8. Kostomarova AA. 1962. Effect of starv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larvae of bony fishes. Trudy Inst. Morf. Zhivot. 40:4-77. 

  9. Lee CK, IS Park and SB Hur. 1998. Influence of starvation on the variations of hepatocyte nucleus in larvae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 Aquacult. 11:11-17. 

  10. Lee JK, HK Lim, CH Han, JH Jeung, DJ Kim and K Aida. 2000. Changes of gonadosomatic index and sex steroid hormone of serum in cultured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J. Korean Fish. Soc. 33:302-306. 

  11. Lee KK, YH Kim and IS Park. 1999. Effect of starvation in some nutritional parameter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1. Characteristics of the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Korean J. Ichthyol. 11:33-41. 

  12. Park IS. 2006. Histological changes of hepatocyte and intestinal epithelium during starva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Korean Fish. Soc. 39:303-307. 

  13. Park IS, CK Lee, JH Im, JH Kim and SU Kim. 1998. Effect of starvation on the growth and hepatocyte unclear size of larval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larval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sp. J. Aquacult. 11:345-352. 

  14. Park IS, JH Im, DK Ryu, YK Nam and DS Kim. 2001. Effect of starvation on morphometric changes in Rhynchocypris oxycephalus (Sauvage and Darbry). J. Appl. Ichthyol. 17:277-281. 

  15. Roberts RJ. 1975. Melanin-containing cell of teleost fish and their relation to disease. pp. 399-428. In: The Pathology of Fishes (Ribelin WE and G Migaki ed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WI. 

  16. Robertson OH, S Hane, BC Wexler and AP Rinfret. 1963. The effect of hydrocortisone on immature rainbow trout (Salmo gairdneri). Gen. Comp. Endocrinol. 3:422-436. 

  17. Seol DW, JW Hur, DS Kim, YG Nam, IC Bang and IS Park. 2009. Effect of starvation on kidney melano-macrophage centre in sub-adult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Temminck and Schlegel). J. Fish. Sci. Technol. 12:49-53. 

  18. Seol DW, SY Im, JW Hur, MO Park, DS Kim, JY Jo and IS Park. 2008. Haematological parameters and respiratory function in diploid an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Gene Genom. 30:205-213. 

  19. Storch V and JV Juario. 1983. The effect of starvation and subsequent feeding on the hepatocytes of Chanos chanos (Forsskal) fingerlings and fry. J. Fish Biol. 23:95-103. 

  20. Strussmann CA and F Takashima. 1989. PNR, histology and morphometry of starved pejerry, Odontesthes bonariensis, larvae. Nippon Sui. Gakk. 55:237-246. 

  21. Theilacker GH. 1978. Effect of starvation on the hist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ck mackerel, Trachurus symmetricus, larvae. Fish. Bull. 78:789-791. 

  22. Theilacker GH. 1986. Starvation induced mortality of young seacaught jack mackerel, Trachurus symmetricus, determined with histological and morphological methods. Fish. Bull. 84:1-17. 

  23. Weatherley AH, HS Gill and JM Casselman. 1987. Protein, lipid and caloric contents. pp. 139-146. In: The Biology of Fish Growth.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