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가축분뇨 퇴액비 이용 분야 암모니아 배출량 인벤토리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mmonia emission inventor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pplication through a foreign case study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1, 2020년, pp.71 - 81  

김민석 (고려대학교 오정에코리질리언스연구원) ,  구남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육성복원연구과) ,  김정규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발생 암모니아 중 가축분뇨의 기여율이 높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 과정의 정확도와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가축분뇨 발생량의 정확한 집계, 가축분뇨의 퇴비화 및 액비화 과정에서 단계별 암모니아 전환량과 발생량 산출, 퇴액비의 저장 및 운송과정에서의 암모니아 발생량 산정 그리고 토양 살포 과정과 방법에 따른 암모니아 발생량 비교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미국과 유럽과 비교해 볼 때, 특히 국내 배출계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획일적이고 시공간적으로 세분화되지 못해 국내 실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암모니아 배출계수 산정의 정확도와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퇴액비의 특성, 토양의 특성 그리고 기후 특성의 복합적인 고려가 가능한 챔버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외 암모니아 배출과 관련한 자료의 검토와 비교를 통해 현재 국내 시스템의 부족한 점과 나아가야할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암모니아 배출유량 산정이 가능한 챔버 시스템을 제언하였다. 향후 누락배출원의 신규 배출계수 산정과 같은 실질적인 정책과의 연계를 위해서는 실내의 챔버 시스템에서 더 나아가 현장에서의 mesocosom 시스템의 방법론 구축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more than 70% of the ammonia(NH3)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s known to originate from livestock manure. The total emission (kg year-1)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mission factor (kg head-1 yr-1) and the activity data (hea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NH3 em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가축분뇨 퇴액비 이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인벤토리의 합리적인 구축을 위하여 국내외 인벤토리 자료를 비교 연구하고, 농경지 살포 시 암모니아 배출 과정 및 평가방법을 개선하는 데에 있다.

가설 설정

  •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정책지원시스템(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에서 제공하는 8가지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암모니아를 대상으로 그 배출량과 배출량산정을 위한 배출계수, 활동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CAPSS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을 13개 대분류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암모니아는 에너지산업 연소, 비산업 연소, 제조업 연소, 생산공정, 도로이동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 폐기물처리, 농업, 기타 면오염원, 그리고 생물성 연소 등 10개 부문에서만 배출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농업부문은 다시 비료사용농경지와 분뇨관리의 두 개의 소분류로 나뉘는데, 본 연구에서는 분뇨관리 부문만을 연구범위로 한정하고, 2015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JH, IH Song and MS Kang. 2013. Correlation between raw materials and chemical contents of livestock compost. J. Korean Soc. Agric. Eng. 55:37-45. 

  2. Behera SN, M Sharma, VP Aneja and R Balasubramanian. 2013. Ammonia in the atmosphere: a review on emission sources, atmospheric chemistry and deposition on terrestrial bodies. Environ. Sci. Pollut. Res. 20:8092-8131. 

  3. Eghball B. 2000. Nitrogen mineralization from field applied beef cattle feedlot manure or compost. Soil Sci. Soc. Am. J. 64:2024-2030. 

  4. EEA. 2007. EMEP/EEA Air Pollutant Emission Inventory Guidebook 2007. European Environment Agency. Copenhagen, Denmark. 

  5. EEA. 2016. EMEP/EEA Air Pollutant Emission Inventory Guidebook 2016. European Environment Agency. Copenhagen, Denmark. 

  6. EPA. 1994.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Ammonia Emission Factors (final re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7. EPA. 2016. 2014 National Emissions Inventory, Version 1.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8. Hodan WB and WR Barnard. 2004. 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PM_{2.5}$ precursor gases and re-entrained road emissions to mobile source $PM_{2.5}$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MACTEC Federal Programs, Research Triangle Park, NC. 

  9. Hristov AN. 2011. Contribution of ammonia emitted from livestock to atmospheric fine particulate matter ( $PM_{2.5}$ ) in the United States. J. Dairy Sci. 94:3130-3136. 

  10. Hwang OH, SK Park, MW Jung, DW Han, WG Nho and SB Cho. 2018. Effects of pH modulation on the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from pit slurry of a pig operation building. J. Odor Indoor Environ. 17:1-10. 

  11. Hyun J, SY Yoo, XY Yang, JE Lee and GY Yoo. 2017. Annual variability in nitrous oxide emission from agricultural field soils. J. Climate Chang. Res. 8:305-312. 

  12. Jeon EC, JH Sa and JH Park. 2005. Development of NH3 emission factors using a dynamic flux chamber in a sewage treatment plant. J. Environ. Impact Assess. 14:263-273. 

  13. Jeong YG and JS Kim. 2000. An assessment on the behavior of nitrogenous materials during the first high rate phase in composting process. J. Kor. Org. Resour. Recyc. Assoc. 8:81-88. 

  14. Kang TW, JN Halder, SR Kim, YM Yoon and MG Lee. 2017. Nutrient composition and heavy metal contents of matured livestock liquid fertilizer in Korea. J. Kor. Org. Resour. Recyc. Assoc. 25:31-39. 

  15. Kim DH. 2017. Improving livestock environment for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World Agric. 204:1-19. 

  16. Kim CG and TY Kim. 2006. Scheme for implementing regionally based maximum nutrients loading system. Korean J. Agric. Manage. Policy 33:326-350. 

  17. Kim MS, WK Oh and DH Kwak. 2017. Behavior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nimal liquid manure and urea in the rice field using an fugacity-based multimedia environmental fate model. J. Kor. Soc. Environ. Technol. 18:546-562. 

  18. Kim MS, YS Lee, HG Min and JG Kim. 2020. Applicability of the dynamic chamber-capture system (DCS) for estimating the flux of ammonia emission during liquid fertilizer spreading. Atmos. Pollut. Res. In press. DOI:10.1016/j.apr.2020.01.001. 

  19. Kim TY, AR Daquiado, F Alam and YB Lee. 2012. Effect of application ratge of hairy vetch on ammonia emission from paddy soil. Korean J. Environ. Agric. 31:375-377. 

  20. Lee JH and YM Yoon. 2019. Comparison of nutrient balance and nutrient loading index for cultivated land nutrient management. Korean J. Environ. Biol. 37:554-567. 

  21. MAFRA. 2018.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 Yearbook.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22. ME. 2018. White Paper of Environment 2018.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23. NIER. 2008.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 Estimation Manual (I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24. Nyord T, KM Schelde, HT Sogaard, LS Jensen and SG Sommer. 2008. A simple model for assessing ammonia emission from ammoniacal fertilisers as affected by pH and injection into soil. Atmos. Environ. 42:4656-4664. 

  25. Sa JH and EC Jeon. 2010. Estimation of ammonia flux and emission factor from cattle housing using dynamic flux chamber. J. Environ. Health Sci. 36:33-43. 

  26. Shim HY, KS Lee, DS Lee, DS Jeon, MS Park, JS Shin, YK Lee, JW Goo, SB Kim, SG Song and DY Chung. 2014. Infiltration rates of liquid pig manure with various dilution ratios in three different soil. Korean J. Environ. Agric. 33:164-168. 

  27. Shin DW, HS Joo, E Seo and CY Kim. 2017. Management Strategies to Reduce PM-2.5 Emission: Emphasis-Ammoni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Korea. 

  28. Sommer SG, JE Olesen and BT Christensen. 1991. Effects of temperature, wind speed and air humidity on ammonia volatilization from surface applied cattle slurry. J. Agric. Sci. 117:91-100. 

  29. Sommer SG and NJ Hutchings. 2001. Ammonia emission from field applied manure and its reduction invited paper. Eur. J. Agron. 15:1-15. 

  30. Sommer SG, S Genermont, P Cellier, NJ Hutchings, JE Oleson and T Morvan. 2003. Processes controlling ammonia emission from livestock slurry in the field. Eur. J. Agron. 19:465-486. 

  31. Sung KI, BW Kim and CW Chung. 2000. Development trend in sustainable and low input system for livestock production. Ann. Ani. Resour. Sci. 11:188-194. 

  32. Yoon YM, SE Lee, DY Chung, GY Cho, JD Kim and CH Kim. 2008.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loads and material recycling of the nutrients by the livestock wastewater originating from imported feeds. J. Korean Soc. Grassl. Forage Sci. 28:139-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